조중동 보도가 전적으로 다 그른 것은 아니다.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건 아니다. 괜한 오해는 사절이다.

박근혜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출범 이후 조중동은 권력에게 매서웠다. 물론 하이에나 습성에 따른 4대강사업 보도도 있었지만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에 조중동은 상당한 기여를 했다. 그들이 국무총리로서, 헌재소장으로서 적합하지 않는 이유를 끈질기게 찾아 보도했다.

이를 박근혜 당선인은 신상털기라고 깎아내렸다. 새누리당 나성린 의원 같은 이는 “이동흡에 대한 국민 눈높이는 좌파 언론에 의해 왜곡됐다”고 말했다. 바르게 말하면 박근혜 당선인과 새누리당에게 조중동도 좌파 언론인 셈이다. 유불리에 따라 집권층의 언론 규정이 달라진다는 점을 여실히 나타냈다.

14일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또다시 박근혜 당선인에게 좌파 언론적인 목소리를 쏟아냈다. 중앙·동아는 이날 정부조직개편에서 핵심 쟁점인 방송정책의 독임제 부처 이관을 반대했다.

중앙·동아일보는 각각 ‘방송정책은 방통위가 맡아야’, ‘방송 관장 부처 둘로 쪼개선 안 된다’ 사설을 통해 인수위와 새누리당의 정부조직 개편안을 비판했다.

우선 동아일보는 해당 사설에서 “정부조직이 개편될 경우 방송 정책의 혼선은 물론이고 행정의 통합성에 문제가 생길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회의에서 이인용 수석전문위원은 ‘방송의 자유와 독립, 방송의 공적 책임, 민주적 여론 형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고 전했다.

중앙일보는 “우선 효율성과 함께 공공성을 강조해야 하는 방송 특성을 무시했다”며 “방송은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공재 성격이 강해 독임제 부처인 미래부보다는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가 맡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이유로 “장관 한 사람이 정책을 주무르거나, 정치적 압력에 굴복할 가능성이 커져 방송의 공공성·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인수위는 개편안을 철회하고 현재 방통위의 문제점만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당부했다.

물론 중앙·동아에게 의도가 없는 건 아니다. 중앙·동아의 경우, 종합편성채널을 통해 유료방송에 한 발 담그고 있는 사정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사설에서 방송정책이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게 넘어가게 되면 유료방송시장은 독점화되고 공정경쟁의 틀이 무너질 것이라는 우려로 나타나고 있다.

저마다의 이해는 있기 마련이다. 특히 방송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이 복잡하다. 하지만 조중동도 생존권적 차원에서 방송시장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풀어나가는 것은 독임제가 아니라 합의제가 낫다고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경쟁관계인 조중동 종편, 케이블, IPTV가 그리는 공정경쟁의 상은 다를 수 있다. 관건은 공정경쟁의 틀을 누가 정할까이다.

중앙·동아 이날 사설의 핵심은 공정경쟁의 틀을 장관의 독단이 아니라 합의를 통해 마련하자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꼭 겪어봐야 아는 것은 아니다. 조중동을 반대하더라도 전적으로 틀렸다며 내칠 수만은 없는 지적이다.

이마저도 힘 있는 조중동이기에 가능한 문제제기다.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는 지상파, 입마저 없는 케이블은 가능하지 않는 지적이다. 정부조직개편의 최대 수혜주인 통신은 표정관리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동아가 유료방송시장의 공정경쟁을 위해 총대를 멨다고 생각했으면 한다. 의도가 있건 없건 말이다. 또한 중앙·동아는 이해의 차원에서도 박근혜 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그러면 좌파 언론인가? 이에 대한 답은 박근혜 당선인과 새누리당에게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