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저는 소년범을 혐오합니다.” 넷플릭스 시리즈 <소년심판>은 심은석(김혜수 분)의 이 한 마디로 시작된다. 우수한 성적으로 가장 먼저 서울중앙지법에 입성했고, 법관 해외 연수까지 다녀온 능력자. 하지만 그녀는 법원 내에서 한직으로 여겨지는, 소년범을 전담하는 연화지방법원 소년형사 합의부 판사이다.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 (사진제공=넷플릭스)

표정 하나 없는 얼굴, 자비라고는 느껴지지 않는 태도에서 '혐오'를 그대로 드러낸 심 판사의 생각이 고스란히 읽힌다. 이른바 '촉법소년'. 범죄를 저질렀어도 만 10세 이상 14세 이하의 형사미성년자는 형사처분 대신 소년법에 의거 보호처분을 받는다. 이 보호처분을 담당하는 사람이 바로 '소년형사 합의부'의 판사들이다.

대놓고 소년범을 '혐오'한다고 말하는 심은석 판사, 혐오라는 단어 자체에 감정이 실렸다. '극혐'이라는 말이 있듯, 우리 사회는 혐오스러운 대상에게 그에 합당한 혐오스러운 태도를 보이는 것을 문제시하지 않는다. 그런데 드라마 <소년심판>은 이 혐오라는 감정과, 이를 드러내는 사회적 행위 사이의 딜레마를 소년법 심판 제도를 통해 묻는다.

혐오를 법으로 승화시킨 심은석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 (사진제공=넷플릭스)

심은석 판사와 같은 방을 쓰는 차태주 판사는 휴머니스트다. 그는 미성년인 아이들을 어떻게든 보호하고 교화하려 애쓴다. 하지만 그런 차태주의 태도에 심은석은 냉소적이다 못해 냉담하다. 이제 막 보호소를 떠날 처지의 소년범이 다시 지갑에 손을 대자, 어떻게든 수습해 보려는 차태주 판사와 달리 심은석은 경찰을 호출하고 법대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정머리 없어 보이는 태도, 하지만 결국 그가 지갑에 손을 댔다는 사실을 통해 우리의 인정이라는 것이 얼마나 ‘자의적’인 것인가를 드라마는 드러낸다. 그리고 <소년심판>을 연 첫 번째 사건은 초등 2학년 아이를 납치 살인한 후 자수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맡게 된 심은석 판사. 촉법소년인 범인이 잔인하게 살인하고 시체까지 훼손한 사건에 온 사회가 떠들썩하다. 심지어 범인 백성우는 자신이 촉법소년이며 조현병이란 점을 내세워 법의 심판에서 빗겨갈 것임에 당당하다. 거기에 법의 심판에 앞서 여론 재판이 끝나버린 상황, 정치적 야심을 얹은 강원중 부장판사(이성민 분)는 적당히 마무리할 것을 종용한다.

심은석의 ‘소년범에 대한 혐오’에 의거하면 백성우 처벌로 마무리하고 말 사안이다. 그런데 심은석은 외려 백성우의 단독범행을 의심한다. 그리고 결국, 시체 유기까지 한 잔인한 촉법소년 범죄 뒤에 숨은, 촉법소년이 아닌 한예은의 존재를 밝힌다. 즉 그녀의 혐오는 그녀를 감정적으로 몰아가는 대신 가장 이성적이고 냉철한 잣대로 사건의 실체를 밝혀냈던 것이다. 덕분에 자칫 여론에 밀려 그저 한 소년에 대한 분노로 마무리될 뻔했던 재판은 숨겨진 진실에 다가갈 수 있게 됐다.

악의 심연에 자신을 던진 송하영

SBS 금토드라마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혐오에 대한 이성적 접근과 법에 의거한 해결 방식은 SBS 드라마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의 송하영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빌딩이 높아지면 그림자는 깊어진다'는 혜안으로 불특정 대중을 대상으로 한 연쇄살인범죄 등장을 예견한 국영수 팀장은 범죄심리 분석팀을 구성한다. 하지만 범죄라면 치정, 금전 등의 이유로만 수사를 하는 시대에 새로운 범죄에 대비하는 길을 쉽지 않다. 교도소를 찾아가 연쇄살인범을 면담하며 새로운 시대의 범죄 데이터를 축적하는 과정. 그런데 정작 팀장인 국영수조차도 파렴치하다 못해, 차마 인간이라 할 수 없는 범죄자들과의 면담이 쉽지 않다. 그때 총대를 멘 사람이 범죄행동분석관 송하영이다.

어린 시절 물속에 빠졌다가 시신을 발견하게 된 송하영은 그 시절 이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감정을 상실해서가 아니라, 너무 예민해서 감정을 수면 아래로 숨겨버린 것이다. 범죄행동분석관이 된 그는 살인마들과의 인터뷰를 자처한다. 그들과의 인터뷰가 편해서가 아니다. 물속에서 숨진 여성이 얼마나 추웠을까라고 느꼈던 그 마음처럼, 하루빨리 범인을 잡아 피해자들의 고통을 줄여야 한다는, 피해자 가족의 아픔을 덜어주어야 한다는 사명감이 그로 하여금 연쇄살인범에 대한 혐오를 삼키도록 만든다. '심리 분석'을 무기로, 법의 테두리 내에서 범죄에 대한 자신의 혐오를 풀어내려 애쓴다.

SBS 금토드라마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하지만 10회에 이른 <악의 마음을 쫓는 자들>에서 송하영은 그 자신이 말하듯, 악의 심연이라는 구덩이에 빠져버리고 만다. 혐오를 숨기려 하지만, 마치 뱀이 또아리를 틀어 그의 목을 조르듯 연쇄살인마와 면담을 하며 그는 고통스러워한다. 또한 연쇄살인범을 잡고자 하는 그의 열의가 연쇄살인범의 마음을 읽기 위한 '범인화'의 과정에서 그를 혼돈에 빠뜨린다. 결국, 그 정신적 딜레마는 사고를 일으킨다.

<소년심판>과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은 신선한 수사물이다. 지금까지 우리 수사물의 기조는 늘 '뜨거운 마음'과 그 마음을 행동으로 옮기는 방식이었다. <비밀의 숲>에서 한여진의 방식이 전형적인 우리 수사물의 태도였다. 그런데 <소년심판>과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은 <비밀의 숲> 황시목의 태세를 취한다.

뇌수술까지 해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황시목이 그 누구보다 객관적이며 이성적으로 사건에 접근해 가듯, 심은석 판사와 송하영 범죄 분석관은 법이라는 제도 앞에 가장 이성적인 포지션을 취한다. 물론 황시목과 달리 이들은 '인간적(?)'이기에 <악의 마음을 쫓는 자들> 10화 송하영은 악의 심연에 빠지고, 심은석 판사는 피해자 어머니의 도시락을 거절하지 못한다.

송하영과 심은석이 서릿발 같은 무표정 속에 숨긴 뜨거운 혐오. 하지만 그들은 그 뜨거움을 넘어 자신들이 가진 법이라는 무기로 범죄의 숲을 헤쳐나간다. 그들의 이성적 '혐오'가 있기에 최초의 프로파일링과 소년범에 대한 제대로 된 법의 심판이 가능한 것이다. 냄비 같은 뜨거움이 범람하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들의 프로페셔널한 임무가 그래서 더욱 신선하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