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①에서 이어집니다.

[미디어스=박정환] ‘소년심판’의 외양은 법정드라마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마트료시카’ 같다. 몇몇 에피소드는 외견상으로 보이는 소년범이 진범이 아니라 또 다른 숨겨진 범인을 찾아야 진실이 풀리는 추리 형식을 갖는다. 표면적으로 밝혀진 결과가 다가 아니라, 제3의 인물을 찾아야 온전한 진실이 밝혀진다.

‘소년심판’의 마트료시카적 구조는 촉법소년 사건의 숨겨진 범인을 찾는 게 다가 아니다. 판사 캐릭터 묘사에 있어서도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양태 뒤에 숨겨진 동기라는, 마트료시카 속의 또 다른 마트료시카를 제시한다.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 (사진제공=넷플릭스)

“이래서 내가 혐오하는 거야, 갱생이 안 돼서”라며 소년범을 향한 적개심을 적나라하게 표출하는 심은석이 왜 소년범을 이토록 증오하고, 반대로 차태주는 왜 소년범과의 교류를 중요시하고 갱생을 최우선으로 여기는가 하는 속사정을 드라마는 면밀하면서도 촘촘하게 묘사한다.

‘소년심판’은 숨겨진 범인을 찾거나 겉으로 드러난 행동 뒤에 숨겨진 동기를 찾는 마트료시카적 재미와 함께, ‘대물림’이라는 관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드라마다. 넷플릭스의 전작 ‘D.P.’는 상사의 괴롭힘이 막사 안에서 돌고 도는, 병영 폭력의 대물림 구조를 함의하고 있었다.

‘소년심판’ 속 첫 번째 대물림은 폭력의 대물림이다. 극중 두 번째 에피소드가 발화하는 원인은 가정폭력이다. ‘소년심판’은 소년범의 비행과 범죄라는 외면에만 천착하지 않고, 이들이 왜 범죄를 저지르는가에 대한 동기를 짚는데 그중 가장 큰 원인인 가정폭력의 굴레를 드라마는 정확하게 짚고 있다.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 (사진제공=넷플릭스)

문제는 가정폭력의 대물림이다. 선대에게 당한 학대와 폭력을 자식에게 대물림하며 결과적으로 가정은 안식처가 되지 못한다. ‘폭력의 대물림’이 끊어져야 소년범의 갱생이 가능한데 뫼비우스의 띠처럼 가계(家系)에 돌고 도는 폭력의 대물림이 소년범의 갱생을 차단한단 점을 짚어낸다.

드라마 속 대물림 구조는 이뿐만이 아니다. 차태주가 어두운 과거를 극복하고 사법고시에 합격해 갱생에 성공하기까지에는, 차태주를 신뢰하고 엇나가게 만들지 않게 만들어준 조력자가 있었다. 이 조력자 덕분에 갱생에 성공한 차태주는 수혜 받은 ‘선한 영향력’을 소년범들에게 적극적으로 베풀고 진심 어린 교류를 나눈다.

이러한 차태주의 온정주의는 ‘선한 영향력’의 대물림 양태를 보여준다. ‘가정폭력의 대물림’이라는 어두운 대물림뿐만이 아니라, ‘선한 영향력’의 대물림이 드라마에서 양립하고 있다.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 (사진제공=넷플릭스)

“드라마는 작가 놀음”이란 말이 있다. 배우의 명연기 이전에 드라마의 뼈대를 이루는 이야기의 완성도가 드라마의 성패를 가늠한다는 의미인데, 넷플릭스가 공개한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콘텐츠 가운데서 ‘소년심판’은 작년 하반기 ‘D.P.’ 이후 가장 작품성이 빼어난 드라마로 보인다. 놀라운 점은 ‘소년심판’이 김민석 작가의 데뷔작이란 점이다. 김민석 작가의 차기 행보가 더욱 기대되는 대목이다.

다만 ‘옥에 티’도 있다. 편집 과정에서 놓친 옥에 티로, 7회 러닝타임 59분에서 한 간호사가 환자를 향해 “곽도식”이라고 발음한다. 해당 환자의 이름은 곽도‘식’이 아닌 곽도‘석’이다. 단역배우가 잘못된 대사를 발음한 분량을 재촬영했어야 하는데 이를 간과한 결과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