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국내 이용자들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 뉴스리포트 2021’에 따르면 포털을 통해 디지털뉴스를 접하는 국내 이용자는 72%에 달한다. 디지털뉴스 이용경로가 포털에 집중됨에 따라 언론사들은 이용자를 잡기 위해 저품질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한국기자협회 조사에 따르면 페이지뷰(PV) 상위 50개 기사 대다수는 어뷰징·연성 기사였다.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는 23일 열린 <언론 본질 회복을 위한 차기 정부의 미디어정책 방향을 논하다> 토론회에서 포털의 자율규제를 강화해 저널리즘 품질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심 교수는 “포털 사업자가 협력규제와 자율규제를 강화할 경우, 이에 대한 제도적 혜택을 입법을 통해 보장할 필요가 있다”며 “사업자들이 자진해서 내용규제를 사전·사후적으로 수행할 때 이중 규제를 하지 않아야 한다. 행정기구는 자율규제가 미흡하거나 이의신청이 있을 때 2차적으로 이를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또한 심영섭 교수는 알고리즘을 악용해 저널리즘 가치를 훼손하는 언론사가 있을 경우 포털이 이를 시정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심 교수는 “뉴스생산자의 입점 계약 귀책 의무와 계약관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며 “위험을 외주화하는 방식의 자율규제로는 시장 교란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심영섭 교수는 포털을 인터넷뉴스중개사업자로 등록하도록 의무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 교수는 “이를 통해 뉴스유통이 사회적으로 파생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준경 미디어오늘 기자는 “종이신문에선 좋은 기사가 있지만, 온라인에선 저품질 기사가 많다”며 “조선일보의 온라인 대응 자회사 조선NS의 조선닷컴 PV 점유율이 50%를 넘어섰다. 기이한 구조가 일상화됐다”고 지적했다. 금 기자는 포털이 NG팩터(저품질 기사가 있을 경우 언론사 수익을 떨어뜨리는 조치)의 실효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 기자는 “현재의 NG팩터로는 언론사 타격이 크지 않다”며 “포털이 NG팩터를 수익감소뿐 아니라 제휴 심사에 연동해야 한다”고 했다.

박찬경 경북대 교수는 포털의 언론사 자율규제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온라인 플랫폼에게 콘텐츠 생산자(언론사)에 대한 관리 감독을 위임하여 이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는 방안에 대해 참조해 볼 수 있다”며 “FTC(미국 연방거래위원회)는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 IT 기업들에게 플랫폼 이용업체 관리 감독 책임을 증명할 수 있는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강제한 바 있다”고 밝혔다.

황용석 건국대 교수는 “언론보도물인 뉴스는 가장 높은 수준의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므로, 포털과 같은 매개사업자의 자체적 내용규제는 지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언론사가 포털에서 탈피해 새 뉴스포털 만들어야"

강미혜 퍼블리시 뉴스와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언론사들이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에서 탈피해 새로운 형태의 뉴스포털을 만들어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 연구원은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 포털이 아니라, 언론사 차원에서 뉴스포털을 만드는 것만이 답”이라면서 “언론사가 협의체나 공동체를 꾸려 뉴스포털을 만들어내야 한다. 이런 식으로 가면 언론은 전통만 부르짖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미혜 연구원은 포털 개혁만으론 저널리즘 품질이 올라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강 연구원은 “언론사가 변하려는 의지가 없기 때문에 실효성이 있을 수 없다”며 “광고인들은 소비자의 불편을 알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지만, 언론인들은 공공재라는 탈을 써서 그런지 (시장의 외면을)위기로 느끼지 않는다. 이런 문제의식으로 뉴스 개혁이 안 된다”고 말했다.

박혜령 이화여대 석사과정은 이용자 중심적 포털뉴스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씨는 “대선이 한 달여 남은 시점에서 포털 규제에 대한 논의는 ‘아웃링크 의무화’에 멈춰 있다”며 “플랫폼 이용자를 위한 진지한 고민이 없는 정책은 반쪽짜리 정책”이라고 말했다. 박 씨는 “이용자를 위한 규제 내용과 정책적 뒷받침에 관한 논의들이 깊어져야 한다”며 “이용자의 권익을 저해하는 문제를 방치하면 민주주의 실현은 멀어진다. 이용자들의 플랫폼 여정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고 고민하는 정책적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