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일보 16일자 1면
지난 15일 열린 민주통합당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결과에 대해 16일 각각의 언론은 친노의 부활, 호남의 몰락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날 도출된 경선 결과를 정리해보면 이 같은 범주로 한정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경선에서 대표적인 친노 인사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 문성근 후보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으며 구 민주당 출신의 박영선, 박지원, 이인영, 김부겸 후보 등이 나머지 순위를 이었다. 이 가운데 호남 출신 정치인으로 박지원 의원이 유일하다.

따라서 당 대표와 5인의 최고위원을 선출한 경선 결과는 앞으로 민주통합당에서 호남당이라는 지역적 기반이 약화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당대표를 포함한 6인의 지도부가 친노와 구 민주당의 2대4 구조라고 하지만 1, 2위가 친노인사라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다. 혹자에 따라서는 ‘도로 열린우리당’이라는 오명에서 피할 수 없게 됐다고 말할 수 있는 경선 결과다.

문제는 친노 인사가 키를 쥐게 된 민주통합당이 오는 4월 총선과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는 가의 여부다. 이는 지도부 선출로 새롭게 출범한 민주통합당에게 각각의 언론이 던지는 과제와 반응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물론 각각의 언론은 차이점을 드러냈다.

정치가 현실의 제반 조건 위에서 벌어지는 경쟁이라는 점에서 민주통합당은 넓은 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친노, 호남당, 한국노총, 시민단체 등과 통합이라는 시대적 아이템까지, 펼쳐 구분해낼 수 있는 요소는 많다. 언론사마다 천착하는 게 다를 수 있으며 어디까지나 그들의 자유다.

언제나 그랬듯이 16일 신문은 한겨레, 경향 대 조중동이라는 양 진영으로 나눠졌다. 한겨레, 경향은 민주통합당 내부를 바꿔 밖으로 나가라고 했고 조중동은 ‘죽은 노무현’을 끌어들여 부활한 친노를 경계했다.

중앙일보의 1면 제목은 ‘노무현 돌아오다’였다. 조선일보는 ‘친노 부활…초강성 야당 등장’이라며 “깨끗이 갈아엎겠다…당한 만큼 되돌려 주겠다”라고 제목을 뽑았다. 동아일보는 ‘4월총선 박근혜 vs 노무현 구도로’라며 ‘살아있는 박근혜’의 경쟁자로 ‘죽은 노무현’을 끌어올렸다. 어디까지나 친노가 속했던 참여정부의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다. ‘당한 만큼 되돌려 주겠다’는 조선일보의 제목은 선정성의 극치를 나타내고 있다. 조중동에게 ‘죽은 노무현’은 ‘죽은 제갈공명’쯤 되는 모양이다. 아니면 약방의 감초던가.

물론 꼬투리가 없는 게 아니다. 참여정부의 실정을 이야기하자는 게 아니다. 이명박 정부 실정이라는 반대급부 위에서 ‘죽은 노무현’만 되뇌는 친노의 오늘이 빌미라는 얘기다. 얼마 전 유력 대선 후보인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방송에서 자신이 아닌 노무현을 말했다. 한명숙이라고 쓰고 노무현이라는 읽는 조중동만 탓할 문제가 아니다. 말 몇 마디 하지 않은 안철수의 콘텐츠가 훌륭해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정치적 자산 중에는 이어갈 것도 있고 평가할 것도 있다. 지금 친노에게 필요한 것은 정치적 자산에 대한 평가다. 기회도 힘도 시간도 생겼다.

한겨레, 경향은 민주통합당을 향해 안을 바꾸라고 했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공천혁명이다. 경향은 사설에서 ‘과분하리 만큼 쏟아지는 민주통합당에 대한 관심과 지지는 조건부 지지’라며 ‘앞으로 진정한 혁신과 통합을 통해 국민의 시선을 잡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타당한 주문이다. 하지만 혁신과 통합에는 반드시 반성이 뒤따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 대목과 관련해 서울신문의 사설은 하나의 경구로 시사점을 던진다. 문제점이 반복될 가능성에 대해 유권자는 싫어하고 경계한다.

"민주당 내 호남세력의 약화는 친노무현 세력의 약진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386’으로 대표되던 친노 세력은 정책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상태에서 집권하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노무현 정부가 끝난 뒤 5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486’으로 변화한 친노 세력이 정책적‧정치적으로 얼마나 성숙했는가를 유권자들은 유심히 지켜볼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