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혜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G7 정상회의 참석은 국제사회에서 달라진 한국 위상을 체감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 대통령은 G7 각국 정상들과 신형 백신 개발 협력을 논의하고, 첨단 핵심기술 분야 협력을 요청받았다.

하지만 언론의 평가는 박했다. G7 관련 보도는 2010년 이명박 정부 당시 서울에서 열렸던 G20 보도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보수신문의 경우, 논란과 갈등 위주로 다뤘다.

6월 14일 조선, 중앙, 동아, 경향, 한겨레 1면. G7 정상회담이 끝난 날인 13일은 일요일로 신문이 발행되지 않았다.

15일 한일 정상회담이 불발된 것과 관련해 조선일보는 6면에 <G7서 정상회담 불발 韓·日 서로 네탓 공방>과 함께 사설<文 돋보이게 하려 G7 사진 분식, 한심하고 치졸하다>로 청와대의 사진 편집 논란을 전했다. 전날 사설을 통해 G7 정상들이 중국을 겨냥한 공동성명을 발표한 것을 두고 “문재인 대통령은 무엇을 느꼈을까”라고 물었다.

이날 동아일보는 국방외교면(8면)을 통째로 할애해 논란과 갈등 위주로 보도했다. <韓 “日, 독도훈련 트집 약식회담 일방 취소”…日 “사실 아니다”>, <“사실상 G8” 자찬한 靑, 中견제 공동성명엔 “서명안해” 선그어>, <남아공 대통령 잘라내고 文중앙쪽에…靑 “대한민국 위상” G7사진 편집 논란> 등이다. 사설 <G7 中견제 성명에 “우린 초청국일 뿐” 굳이 덧붙인 靑>을 통해 “G7 정상회의에 당당히 초청받고도 중국을 의식해 민주주의와 인권 같은 보편적 원칙에 한목소리를 내지 못해서 스스로 그 위상을 깎아내리는 것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중앙일보는 1면 <정상회담 불발 네 탓 한·일 대놓고 비난전>에서 “주요 7개국 정상회의라는 다자 행사를 계기로 모처럼 마련됐던 화해의 기회를 놓친 것도 모자라 양국 간 위기가 증폭되고 있다”고 썼다. 사설 <G7의 중국 견제와 북한 압박, 냉엄한 현실이다>에서는 이번 정상회의의 성과를 언급하는 동시에 한일 정상회담 무산에 대한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같은날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한국 위상 높였다’고 평가했다. 한겨레는 1면 <한·일 회담 뭉갠 스가 약속 깨고 ‘외교 결례’>에서 한일 정상회담 불발 책임이 일본에 있다고 전했다. 6면 기사 제목은 <높아진 한국 위상 국제적 책임도 커져>였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신형 백신 개발 협력을 논의했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으로부터 반도체·전기차 등 첨단 핵심기술 분야 협력을 요청받았다. 한겨레는 확대회의장에서 의장국인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오른편에 앉아 논의하는 장면이 보도돼 한국의 위상이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왔다고 보도했다. 또한 높아진 ‘국격’만큼 국제사회 책임도 커졌다고 언급했다.

경향신문은 <한국 위상 높인 ‘G7 회의’ 참석…대중 외교 부담은 커져> 기사를 1면에 게재했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체감하고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백신의 생산·보급 과정에 한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기회가 됐지만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 밀착한 한국이 또다시 서방국가들의 대중국 견제 전선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제·안보 측면에서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중국과의 외교적 부담이 더 커지게 됐다”고 평가했다.

KBS '뉴스9'의 12, 13일 보도, MBC '뉴스데스크'의 12일 보도, SBS '8뉴스'의 13일 보도 화면 갈무리

지상파 3사는 문 대통령의 ‘백신 외교’ 성과에 초점을 맞췄다. 12일 KBS ‘뉴스9’는 광주 건물 붕괴 사고 소식 이후 <G7 초대, 높아진 한국 위상…“중국 견제” 난처>를 배치했다. 13일 <문 대통령 “코백스에 올해 1억 달러 지원…백신 허브 역할할 것”>을 다섯 번째 뉴스로 전했다. 14일 북한이 동의하면 북한에 백신을 공급하겠다는 발언을, 15일 오스트리아 국빈방문 일정 도중 독일 큐어백사 베르너 하스 대표에게 ‘아시아 태평양지역’ 생산 거점으로 한국을 우선 고려해달라고 당부한 소식을 전했다.

MBC ‘뉴스데스크’는 13일 첫 번째 뉴스로 문 대통령이 한국에서의 백신 생산을 요청했다는 소식과 함께 G7의 신 대서양 헌장 내용을 보도했다.

같은 시기 언론은 이준석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에 집중했다. 이 대표는 11일 원내교섭단체 최초로 30대 당대표로 선출됐다. 14일은 이 대표의 공식 업무 첫날이었다. 언론은 세대교체에 방점을 찍고 그의 발언을 주요하게 다뤘다. 14, 15일 이틀간 신문 1, 2면은 이 대표 소식으로 채워졌다.

하지만 ‘이준석 돌풍’을 고려하더라도 문재인 대통령의 G7 보도는 2010년 G20에 비해 4배가량 적었다. <뉴스톱>이 분석한 결과, G7은 845건, G20은 3645건(조선일보 126건, YTN 180건 포함시 4000건)이었다.

지면 기사 배치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G7 정상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기간에 주요 신문사들은 관련 기사를 1면에 배치하지 았았다. 반면 G20 정상회담의 경우 개최일이었던 2010년 11월 11일 조선, 동아, 중앙일보는 1면에 모두 관련 기사를 배치했다. 다음날인 12일 G20 기사로 1면이 채워졌으며 ‘G20 환율 갈등’과 ‘한미FTA 합의 불발’ 소식을 주로 다뤘다.

<뉴스톱>은 “G20 정상회의 서울 개최는 G7 소속 국가가 아닌 나라 중 최초이자 동시에 아시아 최초라는 점에서 상징성을 가졌지만 과도한 보도량과 ‘G20 정상회의 개최로 450조원 이상 경제효과와 240만명 이상 고용 증가에 기여할 것’이라는 식의 지나친 평가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며 “G20에 대해서는 지나칠 정도의 호평이 대부분이었던 데 비해 G7참석 성과에 대해서는 아쉬운 부분만 강조하는 보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