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혜인 기자] 여의도 면적의 3배가 넘는 산림이 파괴된 강원도 고성 산불 사태가 발생한 지 2년이 지났다. 이재민 126명은 여전히 임시주택에 머물고 있으며 피해지역은 복구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산불 발생 당시 1400건이 넘는 보도를 쏟아내던 언론은 관심을 갖지 않았다.

25일 KBS <질문하는 기자들Q>는 ‘재난 발생’ 이후 상황을 조명했다. 3월 말 기준 54개 동에 이주민 126명이 7평짜리 임시 주택에서 생활하고 있다. 고성 산불의 원인이 된 전신주 개폐기 관리 책임자인 한국전력공사(한전)는 주민들에게 약 1000억 원의 피해보상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한전은 일부만 지급했다. 정부가 상대로 재난지원금 300억 원을 회수하기 위한 재판을 제기해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KBS <질문하는 기자들Q> 4월 25일 방송분 (사진=KBS)

지난 2월 이재민들은 100km 트랙터 시위를 진행했지만, 언론의 관심은 적었다. 시위가 진행된 2월 22일부터 3일간 전국 7개 매체가 13건의 기사를 썼다. 이재민 함영순 씨는 <질문하는 기자들Q> 취재기자에게 “처음(화재 당시)에는 하도 많이 다니니까 기자들 보고 우리가 말했어 '와서 사진만 찍으면 뭐하냐'고. (한동안 안 오다가)지금 이렇게 온 것 보니까...똑바로 알아보려고 오셨구먼”이라고 말했다.

화재 발생 당시 언론의 집중도는 높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로 신문·방송 44개 매체를 분석한 결과 화재 당일인 2019년 4월 4일 199건의 보도가 나왔다. 다음날 보도는 1428건이었다. 산불이 진화된 셋째 날부터 보도는 큰 폭으로 줄었다.

임주현 KBS기자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2014년 언론의 재난보도준칙이 마련된 후 일부 개선된 점도 있지만, 재난·재해를 보도하는 방식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며 “여전히 사건 사고식 보도에 집중할 뿐 복구나 원인 해결에 대한 보도는 소홀했다는 지적”이라고 말했다.

(사진=KBS)

재난보도준칙 제정에 참여한 이연 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은 언론이 3가지 유형의 재난정보 제공에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난을 방지하는 ‘예방 정보’와 재난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응급 정보’, 재난 상황이 종료된 뒤에 제공해야 하는 ‘복구 정보’다. KBS 재난보도 준칙에서는 재난보도의 목적으로 피해 최소화, 혼란 방지, 복구 촉진을 명시하고 있다.

이 회장은 "재난 보도는 전문성 부족에 원인이 있다"며 "바쁜 기자들이 뛰는 것보다 전문가들이 뛰면 훨씬 더 역할 분담도 되고 전문적으로 보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문가들하고 연결해서 대응팀을 만들어 두면 (재난이)일어나면 그 사람들이 같이 협업을 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