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서울시민 다수가 4·7 재보궐선거 보도가 사회적 갈등을 유발했으며 후보 선택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서울시민 10명 중 6명은 선거 TV 토론회를 시청한 후 후보 선택과 지지에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2일 발표한 '서울시민 선거보도 인식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민 61.1%는 “선거보도가 사회 갈등을 유발했다”고 밝혔다. “선거보도가 순위 중심이었다”는 응답은 64.4%, “후보 선택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58.7%로 나타났다.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선거보도가 전문적이었는가”라는 질문에 57.2%가 부정평가를 내렸다. “선거보도가 심층적이지 않았다”는 응답은 59.5%였다. “선거보도가 유권자의 표심을 정확히 반영했는가”라는 물음에는 54.5%가 부정평가를, 45.5%가 긍정평가를 내렸다.

선거여론조사 보도를 신뢰하지 않았다고 답한 서울시민은 46.9%였다. 선거여론조사 보도를 불신한 이유(중복 응답)는 “여론조사 자체가 객관적이지 않았다” 62.3%, “조사기관마다 결과 차이가 있다” 37.3%, “샘플 사이즈가 작았다” 26.2%, “응답률이 낮았다” 24.9%, “응답이 솔직하지 않았다” 22.4% 순이다.

서울시민 62.7%는 선거여론조사 보도가 후보 선택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여론조사보도가 심층적이지 않았다”는 응답은 60.7%, “중요한 주제를 다루지 않았다”는 응답은 55.7%다.

선거여론조사 보도 관련 조사결과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선거여론조사결과 공표금지 기간을 축소하거나 연장하자는 의견은 각각 20%대로 조사됐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언론은 선거일 6일 전부터 투표 마감 시각까지 정당·후보 지지도를 보도할 수 없다. 선거여론조사 결과가 여론을 왜곡할 수 있다는 이유다.

서울시민 60.2%는 “여론조사결과 공표금지 기간을 현행대로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는 19.7%다. 반면 “지금보다 줄여야 한다”는 10.6%, “아예 없애야 한다”는 9.5%다.

선거 TV 토론회를 시청한 후 후보 선택과 지지에 영향을 받은 서울시민은 59.2%다. 언론 보도에 영향을 받은 서울시민은 54.2%, 선거여론조사에 영향을 받은 서울시민은 40.6%다. 선거 인쇄 홍보물, 포스터, 현수막, 길거리 유세 등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은 20%대에 불과했다.

선거보도 인식조사는 언론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의뢰로 마크로밀엠브레인이 8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지역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9.6%,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p다. 여론조사의 자세한 사항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