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영화 <승리호>가 2월 5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그리고 넷플릭스 인기영화 세계 1위라는 흥행 호조와 함께 한국적 상상력, 기술력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엇갈린 평가가 오가는 중이다.

영화는 근사한 코스튬의 헐리우드 초인들의 '지구 지킴이 자격증' 대신, 하루 벌어 하루를 먹고 살아야 하는 노동자들, 즉 평범한 사람들이 지구를 구하는 멋진 순간을 만들어 보겠다는 포부를 밝힌다. 그를 위해 광활한 우주에서 비행선으로 우주 쓰레기를 청소하는 노동자들을 주인공으로 전면에 내세웠다.

그리고 이 우주 청소노동자들의 활약을 위한 지리적 기반으로 이분화된 세계를 등장시킨다. 방독면을 쓰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는 황폐화된 지구와, 우주 위성궤도에 만들어진 ‘지구인 중 5%’의 선택받은 사람들만이 갈 수 있는 새로운 보금자리 UTS이다. 그리고 UTS의 수장 설리반(리처드 아미티지 분)는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화성에 새로운 기지를 개척하고자 한다.

영화 <승리호> 스틸 이미지 (사진제공=넷플릭스)

영화 <승리호>를 보면 다수의 디스토피아적 상상력에 기반한 SF 영화와 지구 지킴이들의 활약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더구나 이 영화의 기술력은 음향에서부터 CG에 이르기까지 눈이 높아진 관객들을 만족시키기에 미흡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리호>가 가진 '미덕'이 없어지는 건 아니다. 무엇보다 기후위기가 화두가 된 21세기에 숨조차 쉴 수 없는 지구와 지구쓰레기들이 질주하는 우주, 그곳을 종횡무진 누비는 청소노동자 히어로라는 발상은 그 자체로 신선하며 통쾌하다.

또 하나의 가족

어설픈 기술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승리호>라는 영화를 지탱시켜 나가는 건 <늑대소년> 이래 조성희 감독이 추구하고 있는 온기 넘치는 가족적 세계관이다. 가족적 세계관이라고 하지만, 감독이 지향하는 가족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혈연적 가족'이 아니다. 외려, 감독은 기존 질서에 기반한 가족을 지양하고자 한다.

영화 <승리호> 스틸 이미지 (사진제공=넷플릭스)

<늑대소년>은 물론 <승리호>에서 이야기의 모티브가 되는 건 문명화된 사회가 만들어 낸 '이종의 생물체'이다. 늑대소년은 살인 병기를 만들어 내려는 생물학적 실험의 실패작이다. <승리호>에서 늑대소년의 역할을 하는 건 대량살상무기로 알려진 인간형 로봇 '도로시'이다. 물론 늑대소년이 살상무기만이 아니듯 '도로시'의 사연은 영화 초반과 다르게 풀려나간다. 시대와 상황은 다르지만, 늑대소년과 도로시는 모두 인간의 과학문명이 만들어 낸 '의도와 다른 결과물'이다.

그 의도와 다른 결과물이 평범한 사람들의 동네에 '뚝' 떨어지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건강이 안 좋아 시골로 요양 온 순이네 집에 나타난 늑대소년처럼, 돈 되는 쓰레기라면 물불 안 가리고 덤비지만 결과는 늘 빚쟁이인 승리호에 도로시가 나타난 것이다.

경계도 해보고 밀어내 보지만 결국 '평범한 사람들'은 인간적 온기로 이 괴생물체를 감싼다. <승리호>에서 도로시의 정체는 미디어를 통해 광범위하게 유포되었기에 쉽게 드러난다. 하지만 대량살상무기라는 정체에도 불구하고, 천진난만한 아이의 모습을 한 도로시에게 승리호의 기관사 타이거 박(진선규 분), 로봇 업동이(류해진 분), 장선장(김태리 분) 그리고 태호(송중기 분)는 마음을 열게 된다.

도로시가 스며들게 된 승리호. 선원들은 돈 한 푼에 육박전을 벌이는 등 사사건건 부대끼는 처지이지만 한때 또 다른 살상무기였던 로봇을 '업동이'라 부르며 함께 지낼 만큼 가족적이다.

원형으로서의 모성, 장선장

영화 <승리호> 스틸 이미지 (사진제공=넷플릭스)

<승리호>의 중심엔 가장 나이가 어린 장선장이 있다. 거기에 유일한 여성인 장선장은 승리호 리더십의 근원이자 결정판이다. 소수의 가진 자들이 누리는 UTS의 세계와 다수의 가지지 못한 자들의 노동에 기반한 세계를 뒷받침하는, 부도덕한 과학기술의 실체에 저항했던 그룹의 소속원이었던 그녀는 승리호의 리더로서 선원을 이끈다.

<늑대소년> 속 모성적 존재 순이는 이제 장선장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아니 어쩌면 조성희 감독은 장선장을 통해 모성, 혹은 가족에 대해 질문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 사회에서 모성은 정서적 안전 기지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역사적으로 한반도는 모계적 영향력이 강했다고 한다. 성리학적 사회 구조가 정착된 조선에서도 여성은 '안채'의 주인으로 집안일에 전권을 행사해왔었다. 사실 가부장적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는 오늘날에도 우리 사회 가족들 면면을 들여다보면 '엄마'의 권력이 지배적인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공감할 것이다.

그런 역사적 모성의 위상을 되새겨본다면 <승리호> 속 장선장은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은 캐릭터라기보다는 그간 이면의 실세였던 '모성'을 전면에 내세운 캐릭터라 보는 게 더 적절할지 모르겠다. 늘 가정에서 가장 위기의 순간에, 가장 의연하게 그 위기를 돌파해 나가는 우리 어머니들처럼 말이다.

영화 <승리호> 스틸 이미지 (사진제공=넷플릭스)

현대 문학의 거장 이문열, 황석영, 이청준, 박완서 등의 작품 속 어머니들이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자식들을 지키기 위하여 인간 그 이상의 강인한 모습을 보여주듯이, <승리호>의 장선장은 모성적 감성 대신 총을 든다. 그리고 자기 가족만이 아니라 쓰레기 하치 위성 1호의 다른 동료들을 독려하여 설리반의 UTS에 맞선다.

<늑대소년>의 순이가 연약한 듯 의연했다면, <승리호>의 장선장은 말 그대로 '가장'이다. 한때 갱단 두목이었던 타이거 박도, 살상무기였던 작살잡이 로봇 업동이도, 최고의 킬러였던 조종사 태호도 장선장의 권위 아래 깃든다. 그녀에 매료된 피에르도 기꺼이 그녀의 리더십에 리스펙한다.

장선장의 리더십은 조성희 감독이 그토록 넘고 싶었을, 헐리우드 지구 지킴이 중 발군의 여성 캐릭터 캡틴 마블을 넘어선다. 당대 두 최고 남녀 배우 송중기와 김태리가 출연했음에도 이성 간 케미 대신 대안적 가족 관계로 균형을 무너뜨리지 않은 <승리호>. 그래서 싱거웠을지 모르지만, 어디선가 본 듯한 다른 설정들과 달리 신선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