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주디스 리치 해리스가 쓴 <개성의 탄생>은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부모나 유전적 성향이 아니라는 주장을 편다. 관계 체계- 사회화 체계 - 지위체계로 이루어진 '집단 사회화' 과정이 가장 크고 직접적인 영향력을 펼친다는 것이다. 즉 학교에서 왕따 당하는 일을 겪었을 때 가정이나 부모의 위로보다는 학교 환경을 바꾸어야 '심리적 기조'를 변화시킬 수 있듯, 성장하는 아이의 ‘사회적 환경’이 아이에게 결정적이라고 한다. 하물며 그 환경이 국가사회주의가 극을 향해 치달아 가는 '나치' 체제 속에 살아가는 열 살 무렵의 아이라면 어떨까? 여기 히틀러의 오른팔이 되고 싶어 몸살을 겪는 열 살 소년이 있다. <조조 래빗>의 주인공 조조 베츨러이다.

겁쟁이 토끼가 되어버린 조조

제 2차 세계대전 말기, 소년 조조 베츨러(로먼 그리핀 데이비스 분)의 성장통을 다룬 영화 <조조 래빗>은 그렇게 한창 히틀러에 빠져있는 열 살 소년 조조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영화 <조조 래빗> 스틸 이미지

조조 베츨러는 드디어 독일 소년단에 입단을 허락받고 캠프에 가게 되어 설렌다. 아직 스스로 신발끈조차 묶지 못하는 아이지만, 이젠 어엿한 히틀러의 남자로 거듭날 수 있을 거라는 포부에 부풀었다.

전쟁에 나가서 실종된 아버지, 부재한 누나, 이제는 오로지 엄마와 소년 둘뿐인 가정. 그럴수록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남자로 성장하고픈 욕구에 부픈 소년은 그 욕구를 '히틀러'로 내재화하여 그가 마치 자신의 첫 번째 소울메이트라도 되는 양 마음을 나눈다.

하지만 그런 소년의 욕망은 여의치 않다. 캠프에서 그 누구보다 용감하고 싶었지만 토끼 한 마리조차 죽이지 못하는 조조는 우스꽝스런 별명을 얻었고, 소울메이트 '히틀러'의 독려 아래 용감함을 드러내고 싶었지만 명예롭지 않은 상흔만을 남겼다.

한없이 절망한 소년 조조. 전단지 붙이기 등의 임무로 겨우 상처 입은 자존심을 달래던 중 괴물처럼 여기던 '적' 유태인을 발견한다. '안네 프랑크'와 같은 처지의 소녀, 그 유태인을 당장이라도 고발하고 싶지만, 그러면 자신에게 유일하게 남은 가족인 엄마가 위태로워질 수도 있는 상황에 히틀러의 심복이고 싶은 소년은 '자기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된다.

<조조 래빗>은 한참 '어른 남자'가 되고픈, 그것도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충만할 나이 열 살 소년이 처한 전쟁 말기 독일의 상황을 조조의 눈으로 그려낸다. 마치 <인생은 아름다워>에서 수용소에 끌려간 아버지 귀도와 아들 조수아가, 아버지 귀도에 의해 수용소를 단체 게임처럼 여기듯, 패전의 기운이 역력하지만 여전히 히틀러의 세계관에 볼모로 잡힌 소년 조조에게 보여진 세상은 '히틀러 만세(하일 히틀러 Heil Hitler)'의 판타지가 펼쳐진 공간이다.

엄마가 조조를 지키는, 사랑하는 방법

영화 <조조 래빗> 스틸 이미지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여전히 잔혹동화 같은 세상 속에 젖어있는 아들을 지켜보는, 지키는 엄마의 방식이다.

엄마에겐 이젠 남은 가족은 조조 한 사람뿐이다(아빠는 돌아오겠다고 했지만 그 '귀로'의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그래서 엄마는 단호히 '안네 프랑크' 같은 소녀와 조조 두 사람 중 선택하게 되어야 한다면 조조를 선택할 것이라 말한다.

하지만 엄마는 그렇다고 하나 남은 아들 조조에 집착하지 않는다. 조조를 보호하려 안달복달하지 않는다. 전쟁에서 실종됐다지만, 사람들이 전쟁에서 도망쳤다고 하는 조조의 아버지와 같은 세계관을 가진 엄마에게 ‘히틀러바라기’인 조조는 마땅찮다. 이제 겨우 열 살 먹은 아이가 정치에 매달리는 게 안쓰럽다.

그러나 엄마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조조에게 엄마의 사상을 강요하지 않는다. 조조가 가진 그릇된 세계관을 비난하지도 않는다. 소년단 캠프를 가고 싶다면 보내주고, 부상당해 좌절한 조조를 데리고 소년단 사무실을 찾아가 아들의 용기를 북돋울 그 무언가를 해줄 것을 독촉할 정도로 '방임'적이다. 아니 어쩌면 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가장 안전한 보호 방식이라 생각했을 수도 있다.

영화 <조조 래빗> 스틸 이미지

대신 엄마는 경직된 사고로 굳은 조조의 머릿속에 세상을 향한 유연한 생각들을 심어주려 애쓴다. 열 살 아이다운 즐거운 일들, 뱃속 가득 나비가 날갯짓하는 듯한 사랑에 대한 감정 등등. 그리고 조조의 생각을 바꾸는 대신 조조가 보는 세상 밖의 또 다른 세상을 볼 것을 독려한다. 푸른 하늘, 아름다운 자연과 같은. 왜곡된 사상을 가진 조조에 대한 치유는 설교와 교정이 아니라 마치 조조가, 그리고 이 미친 것 같은 세상이 잃어버린 감정에 대한 소환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듯이.

그래서 자신이 못생겨졌다며 집에 틀어박힌 조조를 집 밖으로, 세상 속으로 용감하게 한 발을 내딛도록 독려한다. 아버지도, 누나도 없는 집에서 엄마는 기꺼이 그 모든 가족의 역할을 다하며 조조가 위축되지 않게 미소와 당당함을 잃지 않는다.

불안한 세상에서 아들을 부둥켜 안고 두려움에 떠는 대신, 그 불안하고 불온한 세상을 어서 빨리 없애기 위해 기꺼이 나선다. 그 나섬으로 인해 조조는 안네 프랑크와 같은 소녀를 만나게 되고, 그 소녀로 인해 조조가 믿었던 히틀러의 세상은 조금씩 무너지고, 결국 그 스스로 '허상'을 거뜬히 극복해 내게 된다. 조조가 겪는 성장통, 그걸 이겨내는 힘의 근원은 결국 엄마, 엄마가 펼쳐 보인 삶이다.

영화 <조조 래빗> 스틸 이미지

아버지 귀도가 마법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며 아들 조수아를 지켜내듯이, 광기만이 질주하는 전쟁 말기의 히틀러 세상에서 마치 마법사와도 같았던 엄마의 모습은 엄마가 없는 세상에서도 누나 같은 소녀를 지켜내는 의연한 소년으로 조조를 성장토록 만든다. 이미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엄마의 발아래 주저앉는 대신, 소년은 이제 엄마의 풀린 신발끈을 묶어주고 전쟁터의 쓰레기더미를 뒤져서라도 조조와 소녀의 일용할 양식을 구하는 의연한 존재로 거듭난다. <인생은 아름다워>의 아버지처럼 또 하나의 동화를 만들어낸 엄마의 사랑이다.

나치 시대를 소재로 하여 또 다른 명작이 나올 수 있을까 싶었다. 그만큼 이 시대를 소재로 한 이야기는 넘쳐나고, 수작과 명작 또한 많다. 그러나 하늘 아래 새로운 이야기는 없을 것 같은 그 시대를 소재로 한 <조조 래빗>은 또 한 편의 아름답고 처연한 '동화'를 구현해 낸다. 광기의 시대는 적나라하고, 그 시간을 견뎌야 하는 사람들은 무기력하다. 그러나 그 무기력함을 이겨낼 수 있는 것 또한 사람이니. 나치 시대를 배경으로 펼쳐 보인 모성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광기 어린 세계관의 노예였던 소년이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은 '휴머니즘'의 또 다른 장을 연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