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 화제가 되었던 일본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의 평화의 소녀상 전시는 결국 전시 중지가 강제되었다. 소녀상의 전시만 중지된 것이 아니라 미술전 전체가 중단되었다. 일본 우익들의 항의와 협박 그리고 이에 발맞춘 일본 정부의 압력이 가해진 결과이다. 개인의 전시도 아닌 예술제가 이처럼 탄압을 받는 일은 아무리 일본이라도 보기 드문 일이다.

일본 최대 규모의 예술제가 중지된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당연히 일본 내부에서도 반발과 비판이 없을 수 없다. 예술제 큐레이터들은 지난 3일 전시 중단에 대해서 “역사적 폭거”라며 반발했다. 일본 펜클럽도 “창작과 감상의 사이에 의사소통하는 공간이 없으면 예술의 의의를 잃어버린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아사히신문과 도쿄신문이 '평화의 소녀상'이 출품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의 '표현의 부자유, 그 후' 전시 중단 소식을 4일자 1면에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아베 정권의 도발에도 비판을 억제하던 일본 언론도 비판적인 시각을 일부 보였다. 아사히 신문과 도쿄신문은 1면을 할애해 전시중단을 다뤘다.

이번 전시는 일본 나고야시에서 지난 1일 열렸다. ‘아이치 트리엔날레’는 이 전시의 주제를 ‘표현의 부자유, 그 후’로 정했다. 새삼 이 전시의 주제에 예언적 의미에 관심을 갖게 된다. 소위 민주국가에서 예술제가 강제로 중지될 수도 있다는 놀라운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평화의 소녀상이 철거되기로 한 날 관람객 중 누군가 소녀상에 이번 전시의 팸플릿을 놓고 갔다.

이런 부조리한 현상 자체가 표현의 자유가 없는 일본을 상징한다. 일본의 한 트위터리언은 이번 일을 두고 소녀상의 공백 자체가 작품이 될 것이라는 글을 남겨 공감을 얻었다. 국제적 예술축제가 정치적 이유로 중단되는 사태는 민주국가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 이번 사태는 일본의 비민주적 상황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국제적으로도 망신을 살 수밖에 없는 일이다.

4일 일본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아이치현문화예술센터 8층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 손에 '표현의 부자유전' 팸플릿이 들려있다. 아이치트리엔날레 실행위원회의 전시 중단 결정에 따라 이날부터 전시장은 닫힌 상태다. (나고야=연합뉴스)

주최 측도 평화의 소녀상을 전시하면서 일본 정부와 우익들의 반발을 전혀 예상치 못한 것은 아닐 것이다. 부작용을 불구하고 이번 전시를 강행한 것은 그만큼 일본에 있어 표현의 자유가 얼마나 절실한지에 대한 갈망을 읽을 수 있다. 소녀상의 빈자리, 그 자체로 이번 전시의 주제인 ‘표현의 부자유’를 상징하게 됐다.

또한 일본 정부가 이처럼 무리하게 전시를 막는 모습에서 그들이 평화의 소녀상에, 위안부 피해 역사에 얼마나 두려움을 갖고 있는지를 발견하게 된다. 그 두려움은 잘못에 대한 이성적 감성이 아닌 욕망을 정당화하기 위한 왜곡의 의지라는 점에서 구별해야 한다.

언론이 제 역할을 못하는 일본에서도 아베 정권에 대한 비판이 일부 보도되고 있다. 민주국가에서는 당연해야 할 현상이지만 일본에서는 이례적이다. 그럴 정도로 아베 정권의 행보는 불합리하다. 한국에 대한 공격에 이어 내부적으로도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상황에서 전쟁을 준비하던 군국주의 일본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은 자연스럽다. 일본은 과거로 퇴행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우리는 일제의 식민지 역사를 다시 반복하지 않아야 하며, 그러기 위해 일본을 항상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일본은 같은 역사를 반복하기 위한 망상에 사로잡혀 있다. 대륙진출, 그것이 섬나라 일본이 바다 속으로 사라지지 않는 한 버릴 수 없는 꿈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반일이 감정이 아니라 생존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