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뿐인 내편>, <왜그래 풍상씨>, <비켜라 운명아>

한때는 암이었다. 드라마 속 갈등해결의 만능키 말이다. KBS 드라마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황금빛 내 인생>은 정점을 찍었다. 여주인공의 아버지가 암이었다가 상상암이었다가 아니었다가, 다시 결국 암이라며 그 목숨을 거둘 때까지 드라마는 암 담보를 통해 시청률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드라마는 주제로 항변하지만 암을 통해 시청자를 볼모로 삼았다는 데 핑계를 댈 수 없다. 그렇게 상상암까지 동원해 버린 드라마, 더는 시청자를 끌어들일 거리가 떨어지자 이번에는 한 발 더 나아가 '이식'을 들고 나왔다.

문제는 그 '이식'이 한 드라마만이 아니라는 거다. 간이식이 그리 흔한 사례가 아닌데, 공교롭게도 KBS의 세 드라마가 '간 이식'으로 극의 갈등을 점화시키고 있다. 바로 <황금빛 내 인생>의 시청률을 넘었다는 46.2%의 주말 드라마 <하나뿐인 내편>에 이어, KBS 주중 미니시리즈를 늪에서 구원해준 시청률 20%의 <왜그래 풍상씨>, 그리고 지지부진하다 '간 이식'을 통해 화제성을 회복한 일일 연속극 <비켜라 운명아>이다.

간마저 주는 극진한 부정

KBS 2TV 주말드라마 <하나뿐인 내편>

태생이 착하고 정이 많은 사람, 하지만 하늘은 그의 착함을 돌봐주지 않았다. 부모를 모르는 고아였으며 동생 같은 동철의 죄를 대신 뒤집어쓰고 다녀온 소년원 이후 그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겨우 결혼하고 딸까지 얻어서 행복해지나 싶었는데 아픈 아내로 인해 살인범이 되어 오랜 감옥 생활을 했다. 여기가 드라마의 시작이다. 하지만 이건 시작에 불과하다. 종영을 10회 남겨둔 <하나뿐인 내편>은 세상에 법 없이도 살 것 같은 착한 사람 강수일(최수종 분)의 시련기이다.

애초 감옥에 가게 된 계기도 이제 와 보니 살인 누명을 쓴 거였고, 그로 인해 내내 피해자 가족들에게 온갖 수모를 겪었다. 심지어 그 눈에 넣어도 아프지 딸은 이혼까지 당했다. 그런데 이제, 그를 그토록 괴롭혔던 피해자의 아들이 간경화 말기이고, 그에게 맞는 간이 바로 강수일의 간이다.

<황금빛 내 인생>이 아버지의 ‘암-상상암-다시 암’이라는 질병 서사를 통해 그 어떤 상황에서도 곡진한 부성애의 개연성을 설득하려고 했다면, <하나뿐인 내편>은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간을 떼어주고 생사의 기로에 선다. 이 두 드라마가 극단적인 설정을 통해 설득하고자 하는 건, 여전히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우리 사회의 '부정(父情)'이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그 '부정'의 대상은 안타깝게도 가부장의 자리를 상실한 아버지들이다.

<황금빛 내 인생>의 아버지는 한때는 사업으로 잘나갔지만 보증으로 인해 모든 것을 날리고 가족들을 경제적 어려움에 빠뜨려 아내가 딸 바꿔치기를 하게 만들고, 큰딸이 그런 아내의 거짓에 기꺼이 놀아나게 만든 주범이었다. <하나뿐인 내편>은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강수일은 아버지였던 적이 없다. 딸이 아버지를 인지하기도 전에 감옥에 들어가 이제 성인이 된 딸 앞에 나타난 아버지. 그렇게 가부장의 자리를 상실한 아버지들은 뒤늦게 아버지의 자리를 회복하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고, 그것도 모자라 병에 걸리고, 자신의 간을 떼어주고 의식불명이 된다.

죽음 혹은 죽음에 버금하는 자기희생을 통해서야 회복될 수 있는 가부장, 실종된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부활하려는 안간힘. 이는 KBS2 주말 드라마의 투철한 주제의식으로 다양한 변주를 통해 드러나고, <황금빛 내 인생>에 이어 <하나뿐인 내편>까지 시청자들의 화답을 얻고 있다.

변주된 가부장의 부활

KBS 2TV 수목드라마 <왜그래 풍상씨>

가부장제의 아버지는 형의 모습으로 변주되기도 한다. 바로 <왜그래 풍상씨>의 경우이다. <왜그래 풍상씨>의 맏형 풍상 씨 역시 <하나뿐인 내편> 속 강수일에 버금가는 질곡어린 인생을 살았다. 간이식이 필요했지만 차마 자식들에게 말할 염치가 없어 돌아가신 아버지, 이복형제까지 만들며 집안에 문제만 일으킨 어머니를 대신해 형제들을 건사하며 누더기와도 같은 가족관계를 책임지려 했던 맏형 풍상(유준상 분). 심지어 그 자신이 간 이식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서도 동생들 몸에 생길 흉터부터 치료비용 등등까지 걱정을 껴안고 차마 말조차 꺼내지 못한다.

그런 형의 걱정과 달리, 간이식이 필요한 형, 오빠의 처지를 알게 된 동생들은 각자 친형제가 아니란 이유로, 혹은 그동안 받아왔던 가족 내 차별대우에 대한 설움 등등의 이유로 풍상에 대한 간 이식을 거부한다. 이른바 막장 드라마의 ‘대가’인 문영남 작가는 예의 내공으로 간 이식을 둘러싼 콩가루 집안의 갈등을 절정으로 이끌고 있으며, 역설적으로 이를 통해 가족화합이란 해피엔딩의 극적인 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바로 그 간, 내 간을 떼어준다는 건, 강수일처럼 타고나기를 착하다는 사람은 피 한 방울 안 섞인 심지어 그간 온갖 수모를 준 가족의 일원에게도 주는 '극강의 선의'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왜그래 풍상씨>에서 보듯 가족이라 하더라도 선뜻 내어 주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KBS1 일일드라마 <비켜라 운명아>

그래서일까. <비켜라 운명아>로 가면 이 간 이식이 가족 간의 '딜'로 등장한다. 현강그룹이라는 재벌그룹, 그 가계에서 승계를 놓고 경쟁해야 하는 두 남자 양남진(박윤재 분)과 최시우(강태성 분). 이른바 첩의 자식과 본 혈통이라는 전통적 왜곡된 가족구도 속에서 이복형제가 된 그들은 극중 회사 일을 두고 끊임없이 갈등을 일으킨다. 물론 그 갈등은 정통성이 약한 첩의 자식 최시우와 그 어머니에 의해 조장된 해프닝이기 십상이다. 그러던 중 최시우가 급성 간경변으로 쓰러지고 간 이식이 필요한 위기가 발생한다. 이에 최시우의 엄마 최수희(김혜리 분)는 양남진의 전 여친과 자기 자식을 정략결혼을 시키거나 남진의 회사 내 일을 빌미 삼아 간 이식을 종용, 심지어 협박한다.

가정을 지키려는 남자들, 문제를 일으키는 여자들

간암에서 간경변 등 다양한 병명. 하지만 해결책은 오로지 남자 주인공의, 혹은 남자 주인공에 대한 간 이식만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나뿐인 내편>, <왜그래 풍상씨>, <비켜라 운명아>.

여기서 주목해 보아야 할 지점은 간 이식의 기로에 놓인 당사자들이 남자이며, 그들이 대부분 '가부장적 관계'의 복원 혹은 승계자라는 지점이다. 상실된 가부장의 자리를 온갖 어려움을 뚫고서도 회복하려 했던 <하나뿐인 내편>의 강수일, 역시나 형이지만 아버지를 대신해 가족을 이끌어가려 했던 <왜그래 풍상씨>의 맏형 풍상, 그리고 뒤늦게 나타난 현강그룹의 유일한 적통 손자 양남진까지.

KBS 2TV 수목드라마 <왜그래 풍상씨>

반면에 극중에서 여성들은 문제를 일으키거나 확산시키는 주범이다. <하나뿐인 내편> 속 소양자(임예진 분), 나홍실(이혜숙 분), 오은영(차화연 분) 등 중견 연기자들 캐릭터부터 젊은 장다야(윤진이 분), 김미란(나혜미 분)까지 그 누구도 '긍정'적 역할의 캐릭터가 없다. 그들은 모두 극중에서 강수일의 고난에 등장한 지뢰들이다. <왜그래 풍상씨>라고 다를까. 무엇보다 이 가족이 이토록 콩가루 집안이 된 근원이 바로 엄마, 이름부터 노양심이다. 둘째의 대학등록금을 낚아채고, 딸을 술집에 팔아넘기는가 하면, 아들의 합의금을 가로채 재활의 기회를 놓치도록 만든다. <비켜라 운명아> 속 잘나가는 커리어우먼임에도 첩이라는 열등감으로 사사건건 문제를 일으키며 자신의 아들을 회장으로 만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엄마 최수희 역시 주된 악역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여자들, 그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남자들. 심지어 그를 위해 동원된 극단적 설정 '간 이식', 물론 인생사 병을 피할 수는 없으니 극중 병이나 죽음이 등장할 수는 있다. 하지만 현재 세 드라마 속 간 이식은 개연성 없는 극중 관계들을 억지로 봉합시킬 수 있는 '치트키'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과연 객관적으로 이런 관계들에서 간 이식이 가능할까. 어쩌면 ‘간 이식’이라는 깜짝쇼를 통해서만이 구원될 가족 관계라면 결국 논리적 설정으론 설득이 불가능하다는 걸, 2019년 대한민국에서 가부장의 귀환은 지극히 비현실적이라는 걸 역설적으로 말해주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드라마는 간 이식을 통해 흩어진 가족과 관계를 봉합하며 해피엔딩의 팡파레를 울릴 것이다. 그 팡파레에 시청자들은 막장이라면서도 여전히 시청률로 화답하니 과연 상상암, 간 이식에 이어 또 어떤 기상천외한 병명이 등장할지 모를 일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