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적령기의 딸을 둔 언니는 벌써 몇 년 전부터 딸내미 시집보낼 걱정을 한다. 심지어 서른을 넘어서면 결혼정보회사에 등록할 테니 알아서하라고 엄포까지 놓았단다. 하지만 웬걸, 언니가 목을 매는 그 딸내미는 엄마의 마음이 무색하게 당장 결혼 생각이 없단다. 조카의 눈이 높아서일까? 시간 날 때마다 여행 다니고 맛집 찾아다니는 것으로 만족해서일까? 아니 그보다는 이른바 '결혼적령기'라는, 어른 세대가 만들어 놓은 그 프레임에 자신을 꿰어 맞추는 것이 싫어서가 아닐까? 조카처럼 '비타협적 저항'에서 한 발 더 나아간 젊은이들이 등장하고 있다. 작정하고 결혼을 안 하겠다고 한다. '비혼주의자'이다.

얼마 전 동창 모임, 아이들 결혼 얘기가 자연스레 나왔다. 결혼하기 힘든 세상 이야기가 오가다, 결혼하지 않겠다는 요즘 아이들이 화두에 올랐다. 하지만 아이들을 애써 키웠고, 지금도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는 친구는 세상에 태어나서 아이를 기르는 일만큼 가치 있고 보람 있고 행복한 일이 없다며 자신은 아이들에게 결혼하고 아이도 낳으라고 하겠다고 한다. 친구들과 헤어져 돌아오는 길, 생각해보니 우습다. 자식들의 삶인데 마치 우리들의 인생인 것 마냥 진지하게 서로의 입장을 내세웠던 것이. 그렇다. 어쩌면 우리 사회 비혼이 문제가 되는 건 바로 우리처럼, 자식들의 삶에 배 놔라 감 놔라 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아빠의 오지랖과 딸의 비혼 선언, 그 세대적 간극

SBS 스페셜 ‘결혼은 사양할게요’ 편

<SBS 스페셜> ‘결혼은 사양할게요’는 바로 그 지점에서 시작된다. 가장으로서 온갖 고생을 하며 삼남매를 번듯하게 키워낸 오현춘 씨(50). 인생의 고비에서도 가족을 놓치지 않고 여기까지 온 게 그의 자부심이듯, 당연히 그는 결혼을 인생의 통과의례로 여긴다. 그런 그이기에 이제 26살, 결혼적령기에 들어선 큰딸에 대한 고민이 크다. 하지만 웬걸, 오화진 씨는 그런 아빠의 요구에 '나 결혼 안 해'란다. 청천벽력이다.

화진 씨는 ‘비혼주의자’라 선언한다. 물론 화목한 가정에서 사랑받고 자랐지만, 자신이 자라오면서 본 어머니의 삶은 늘 가사에서 놓여나지 못한 채 자기 삶이 없어 보였다고 한다. 건축 구조사로서 자신의 일에서 경력 단절을 가지고 싶지 않은 화진 씨는 어머니처럼 가정을 꾸려나갈 자신이 없다. 아이는 입양 등으로 생각해 볼 여지가 있지만, 남편과 시댁이 그녀의 삶에 들어올 여지가 없다고 단호하게 선을 그은다.

그런데 그런 화진 씨의 생각에 아버지와 달리, 어머니는 동조한다. 사랑에 빠져서 대학을 졸업하기도 전에 서두른 결혼. 남편은 이혼이 여사인 세상에 이혼하지 않고 이날까지 살아온 것이 자랑이지만, 화진 씨의 어머니는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간다면 자신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결혼하지 않을 꺼라 '후회'의 념을 꺼낸다.

비혼 권하는 사회

SBS 스페셜 ‘결혼은 사양할게요’ 편

'비혼'을 선택한 여성들이 그 이유로 든 건 크게 두 가지이다. 우리 사회가 경력단절 여성에게 가하는 부당한 대우를 감수해가며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가질 생각이 없다는 것과, 한 사람을 사랑함으로써 100명의 인간관계를 감수해야 하듯 결혼을 통해 받아들여 할 '시댁' 등의 새로운 인간관계를 굳이 감당할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남자라고 다를까. 분양 받은 아파트에 개를 몇 마리 더 들여놓을지언정 여자 사람을 들여놓을 생각은 없다는 한 남성. 이제 결혼적령기를 맞은 친구들이 하나둘 결혼을 하고 그런 결혼식 자리마다 ‘넌 언제 결혼하냐’는 친구들의 인사가 번거롭지만, 자신의 입장에서 한 치도 흔들리지 않는다. 왜냐하면 막상 결혼을 한 친구들, 주변 남성들이 그의 눈에 그다지 행복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결혼과 아이의 생산이 애국의 문제로까지 격화되며 '세대갈등'의 조짐마저 보이고 있는 이 즈음, 어른들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것이 당연한 '사람의 도리'라 하지만 젊은이들은 단호하다. 그저 결혼은 삶의 하나의 선택지일 뿐이며,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삶만을 '정상'으로 만들어놓은 어른들이 문제라고 한다.

우리 사회의 결혼 제도는 외적으로는 사랑하는 두 사람의 결합이라는 ‘개인적인 결합’으로 정의 내려지지만, 막상 그 과정에 들어서면 결혼은 '집안'과 '집안'의 결합으로 여겨진다. 그러기에 결혼은 그저 사랑하는 사람과 한 집안에 사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 인해 새로운 한 집안의 구성원으로 삶을 시작하게 되는, 전혀 새로운 삶의 시작이다.

SBS 스페셜 ‘결혼은 사양할게요’ 편

우리는 2018년의 현대를 살지만, 우리 사회의 기본 단위는 여전히 '가정’이다. 심지어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발언권이 고양되었지만, 여전히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근간은 공고하다. 그러기에 엄마들은 ‘나는 이렇게 살았지만 너는 이렇게 살 필요가 없다’ 하고, 자녀들은 엄마처럼 혹은 아빠처럼 살 자신이, 아니 ‘살고 싶지 않다’고 한다.

거기에 결혼비용이 2억이니 하는 세태, 한 가정을 이루는 데 드는 '비용'이란 측면에서도 젊은이들의 경제적 독립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현실은 더더욱 결혼이란 제도를 버겁게 만든다. 제 아무리 독립적으로 살고자 하지만 출발부터 이미 부모의 경제적 도움을 받고 시작하는 결혼 생활에서 과연 얼마나 자신들만의 방식을 고집할 수 있을까?

또한 레이스를 벌이듯 지자체마다 아이를 낳으면 얼마를 주겠다고 하지만, 당장 아이를 낳아 키우는 엄마들의 하소연은 외면하는 사회. 하나는 겨우 낳지만 둘을 낳으면 미친 짓이라는 워킹맘의 하소연이 줄을 잇는 세상에서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선택을 하는 이들이 해마다 줄어드는 건 당연지사가 되었다. 그런 학습 효과를 축적한 젊은이들이 굳이 모험을 감수할 이유도 의지도 없는 것이다.

비혼, 존중받아야 할 권리

그러저러한 이유로 결혼을 굳이 선택하지 않겠다는 젊은이들, 그들은 ‘비혼’을 삶의 하나의 선택지로 존중받기를 원한다. 결혼하는 것을 '정상'이라고 여기는 세상,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삶을 '비정상'으로 낮잡아보지 말아 달라 요구한다. 인간의 삶을 동물의 번식과 동일시하며 가임연령 내의 결혼을 안 하기라도 하면 ‘금단의 선’이라도 넘은 듯이 여기지 말아 달라 한다.

SBS 스페셜 ‘결혼은 사양할게요’ 편

결국 '비혼주의'는 어른 세대가 일궈오고 가꿔왔던 가족신화에 대한 ‘이의제기’이다. 과연 한국 사회 내에 안전판이자 유일무이한 보호막이었던 ‘가족’이란 제도가 오늘날에도 유효한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또한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정상적이라 쓰고 가부장적 가족제도라 읽히는 그 '가족 제도'에 대한 반기이기도 하다. 결혼을 하면 또 다른 집안에 강제적으로 편입되어야 하는 그 공동체적 삶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출산의 숫자만을 고민하는 사회에 젊은이들이 내놓은 ‘답안지’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획일적 삶만이 정답이 되어온 대한민국이란 체제에 대한 ‘거부’이다.

그러기에 왜 결혼을 안 하냐고 다그치기 이전에, 어른 세대가 만들어놓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현실을 반성하고 개선하는 것이 먼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애국 운운, 결혼은 천부적 권리며 의무이며 행복이라고 해봤자 ‘개 풀 뜯어 먹는 소리’ 취급만 받을 뿐이다.

지구 인구가 72억을 넘어서고 있다. 이번 세기 안에 40억이 더 늘어날 것을 전망하고 있다. 과연 지구는 이런 인구를 감당할 수 있을까? 국제 생태발자국 네트워크에 따르면 프랑스인 정도의 삶을 유지하며 살려면 30억 명이 적정인구 수준이라 한다. 미국인이 수준 정도는 40억 명, 우리나라 사람들이 원하는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려면 22억 정도란다.

그렇게 지구 포화 혹은 폭발이란 측면에서 보면 오늘날 '비혼주의자'들은 인간의 숙명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 ‘현명한 선택’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문제는 '하나 낳아 잘 기르자'와 '셋이라서 행복해요' 사이를 오가는, 단세포적 정책의 변덕일 뿐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