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교 한나라당 의원 ⓒ 연합뉴스
공영방송과 국영방송을 구분하지 못하는 무식함인지 아니면 수신료 인상 전제 조건을 KBS 관제방송화로 정한 것인지는 한선교 의원은 해명을 내놓아야 한다. 13일 한선교 의원은 한 라디오프로그램과 인터뷰에서 “수신료 인상을 통해 KBS는 국영방송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듣기에 따라 정부 여당 입장은 KBS는 국영 관제방송이며 수신료 인상 전제의 조건은 관제방송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결정한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국영 관제방송인지, 공영방송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KBS의 모습이 한선교 의원 발언에 겹쳐진다.

단순 말실수인 해프닝일 수 있다. 하지만 한 의원이 MBC와 SBS를 거친 아나운서출신이라는 점에서, 또한 수권여당의 방송정책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라는 점에서 말실수라고 하더라도 간과하기는 어렵다.

아나운서 출신인 국회의원이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사실을 모를 리는 없겠지만 정확하지 못한 단어 사용은 계속됐다. 엄연히 다른 수신료를 시청료라고 표현했다. 간혹 틀리기 쉬울 수 있다. 그러나 방송사 아나운서 출신이며 여당의 문방위 간사라면 달라야 한다. 시청료와 수신료를 구분하지 못하고 공영방송을 국영방송이라고 표현하는 여당 문방위 간사라면 맡고 있는 책임을 내려놓아야 한다.

또한 이날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말실수는 이어졌다. 한선교 의원은 “보도전문채널은 초기 자본금이 400~600억으로 진입하기에는 종편보다 조금 수월한 메커니즘”이라며 “종편보다 덜 관심이 가고 있는데 보도채널 자체도 커다란 ‘이벤트’ 중 하나”고 말했다. 곧이어 그는 ‘이벤트’라는 단어사용에 대해 “죄송하다”며 사과했지만 국민의 여론 형성과 밀접한 보도전문채널 선정을 하나의 이벤트로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보도전문채널 선정이 이벤트라면 세상 모든 일도 이벤트 밖에 안 된다. 한나라당과 한선교 의원은 하나의 이벤트를 만들기 위해 지난 2009년 여름 국회에서 날치기를 했다는 얘기인가.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