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배우 신성일 씨가 폐암으로 별세했다. 1962년 첫 주연작 <아낌없이 주련다>를 시작으로 주연작만 506편. 그가 출연한 작품들은 말 그대로 한국 영화사가 되었으며, 그와 함께한 감독과 배우들은 한국 영화사를 쓴 주인공들이었다. 신성일의 이력이 곧 ‘한국 영화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커다란 족적을 남긴 배우. 그의 영전에는 같은 시대 활동했던 송해 선생을 비롯하여 신영균, 최불암, 이순재, 안성기, 문희, 이창동, 조인성 등 다수의 영화계 동료, 후배들이 다녀갔고 영화인장으로 엄수될 예정이다. 또한 한때 정치에 몸담았던 그의 이력답게 이회창, 김병준, 유승민 등 유력 정치인들이 조문을 했다.

하지만 한때 은막을, 아니 한국 영화사 그 자체였던 배우지만, 말년에 대중에게 각인된 신성일 씨의 모습은 그리 아름답지 못했다. 아내 엄앵란 씨의 아침방송 가십거리였고, 그 가십을 본인의 인터뷰를 통해 확산시켜 노배우의 말년을 일그러뜨렸다. 돌아가시는 순간까지 영화에 대한 애착이 무색하게, 2013년 출연한 작품은 노년의 열정이 아니라 조롱거리가 되었다.

대중에게 한 시대를 풍미했던 배우가 아니라 어느덧 '가십'이 되어버린 스타. 인터뷰어 지승호 씨가 신성일 씨의 진솔한 목소리를 옮긴 <배우 신성일, 시대를 위로하다>를 통해 소모된 이미지가 아닌 진정한 영화인 신성일을 알아보자.

호떡장수 청년에서 라이징 스타로

신상옥 감독의 1960년작 영화 '로맨스 빠빠'에서 둘째 아들 '바른이 역'으로 데뷔한 신성일(왼쪽). [한국영상자료원 제공=연합뉴스]

신성일은 대구시 중구 인교동 한옥 마을에서 태어났다. 공무원이던 홀어머니 밑에서 '애비 없다는 소리 듣지 말고 얼굴값 하라'는 말을 들으며 당시 명문 경북중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대로였다면 서울대를 갔었을 거라는 시절. 하지만 어머니의 계가 깨져 야반도주를 하고 대구에서 더 이상 희망을 찾을 수 없던 청년 신성일은 혈혈단신 상경했다.

대학에도 떨어지고 호떡장사를 하던 시절, 어머니는 부끄러워 하셨지만 노배우는 그 시절을 '주위 눈치 보지 않고 나를 키워 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르던 시절이라 회고한다. 가수가 된 동향 친구가 자신을 무시한 채 지나가버리자 자존심이 센 청년은 '너보다 잘난 내가'하며 눈앞에 띈 '한국 배우 전문학원'을 찾았다. 그곳에서 이제는 누렇게 빛바랜 그의 50년 보물 양광남 감독이 처음으로 번역한 스타니슬랍스키의 <배우 수업>을 얻었고, 김기영, 김수용 등 당대 최고 감독들에게 배움을 얻었다. 꿈이 원대했던 청년은 엑스트라 배우를 전전하는 대신 당당하게 2640명이 몰린 신상옥 감독의 신필름 신인배우 모집을 찾아갔고, 대번에 신 감독에게 '나하고 함께 일해보자'는 소리를 듣고 배우의 길에 들어섰다.

하지만 신 감독의 성까지 받아 ‘뉴스타 넘버원’이라는 말을 풀어 새로울 신, 스타 별 성, 넘버원 한 일이라는 예명까지 지어 받은 신인배우 신성일의 시작이 처음부터 쉽지는 않았다. 30kg이 넘는 자동차 배터리를 들어나르며 현장을 전전했고, 감독님 책상 옆 전화 받는 일이 그의 몫이었다. 하지만 승마와 검도로 몸을 만들며 때를 기다렸고, 1960년 <로맨스 빠빠>로 데뷔를 하게 되었다.

하지만 최은희 배우 중심의 신필름의 시스템에서 젊은 배우 신성일의 자리는 드물었다. 그러던 중 이제 중년에 접어든 김진규, 최무룡을 대신할 젊은 배우를 찾던 극동 흥업의 대본을 보고, 그는 따귀 한 대를 맞고 기꺼이 군 입대 전 마지막 배수진으로 이 작품을 택했다. 그리고 드디어 1962년 당시 인기 있던 라디오 드라마를 영화화한 <아낌없이 주련다>를 통해 라이징 청춘스타로 그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다. 이어 일본판 <에덴의 동쪽>이라 할 수 있는 대중소설의 한국판 <가정교사>에 출연했고, 64년 드디어 당시 6대 신문이 입을 모아 '새로운 배우'의 탄생을 알렸던 <맨발의 청춘>에 출연, 최고의 청춘스타가 되었다.

배우 신성일의 시대, 60년대

김기덕 감독의 1964년작 영화 '맨발의 청춘' 포스터의 신성일과 엄앵란. [영화진흥위원회 제공=연합뉴스]

60년대는 한 해 200여 편이 넘게 영화가 만들어지던 영화의 전성기였다. 해방, 6.25. 4.19, 5.16의 격동기를 거친 한국, 라디오 말고는 이렇다 할 오락거리가 없던 그 시대에 잘 생기고 예쁜 남녀 배우들이 나오는 영화는 열광할 만한 것이었다. 냉난방은커녕 화장실에선 악취가 나고, 찢어지지 않은 의자가 드물었고, 화면에서는 비가 오듯 줄이 죽죽 갔지만 사람들은 극장으로 모여들었다.

당시 대표적 언론이었던 조선일보는 1960년 태평로 사옥이 있던 옆에 아카데미 극장을 열었다. 당시 극장과는 차별된 분위기에 젊은이들이 몰려들고, 그런 젊은 관객들의 취향에 맞춰 개봉된 영화가 바로 <맨발의 청춘>이었다. 불과 18일 만에 만들어졌던 이 영화로 인해 당시 조선일보가 제정한 청룡영화상. 신문에 인쇄된 배우의 사진을 오려 엽서에 붙여 응모해야 했던 인기상에서 두 주연배우 신성일, 엄앵란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고, 그 10년 뒤인 1973년까지 인기상은 배우 신성일의 몫이었다. 그렇게 그 10년은 스타 신성일의 시대였다.

196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당선작이었던 <흑맥>으로 이만희 감독을 만난다. 그리고 다음 해 <만추>에 출연하게 되는데, 신성일은 이만희 감독을 머릿속에 콘티가 다 들어있는 훌륭한 감독이라 평하며, <만추>는 구성, 배우들의 연기, 작품의 짜임새, 영상, 연출기법에 있어서 완벽에 가까운, 그가 출연했던 작품 중 최고의 예술작품이었다 회고한다.

이만희 감독의 영화 '만추'에서 열연하는 신성일. [한국영상자료원 제공=연합뉴스]

1967년에 47편, 67년에 51편 등 다작을 하는 가운데 <안개>, 신춘문예 당선작 <무진기행> 등에 컷백(cut back) 기법 등 새로운 연출 기법을 도입한 김수용 감독과 함께한다. 개정된 영화법으로 우수 작품을 제작하면 외화수입 쿼터가 주어져 너도 나도 '문예 작품'을 영화화하던 시절, 신성일은 황순원, 김동인, 심훈 등 한국문학전집에 나오는 소설가들의 작품 모두의 주인공이 되었다.

1970년대 반공이 국시가 되며 '반공 영화'의 의무 제작 등 사회적 분위기에 짓눌리고 거기에 더해 외국영화쿼터제와 엄격한 검열로 전체적인 질적 저하를 가져오며, 검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호스티스' 영화 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1967년 <별들의 고향>, 1977년 <겨울 여자>로 46만 명, 58만 명으로 공전의 히트를 쳤지만, 1976년 134편 제작 영화 중 7편, 77년 9편, 78년 4편 등으로 신성일이 출연한 영화는 급격하게 줄어들며 배우 신성일의 시대는 저물어 갔다.

출연할 영화도 마땅치 않았고, 영화 정책에 대한 불만을 정치적으로 풀려했지만, 아내 엄앵란의 만류로 제작, 감독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그러나 결국 강신성일이란 이름으로 세 번 출마, 그중 한번 당선되었지만 결국 뇌물수수 혐의로 실형을 사는 '오욕'으로 끝나고 만다.

배우 신성일, 그의 연기

신성일을 당대 최고의 스타 반열에 올려 놓은 1964년 영화 '맨발의 청춘' 한 장면. [연합뉴스 자료사진]

배우 신성일이 말하는 연기론. 그가 든 자신의 첫 번째 덕목은 '자기관리'이다. 안타깝게도 말년의 그는 가십성 스캔들로 소비되었지만, 한참 활동할 당시에는 이렇다 할 스캔들이 없었다. 아니, 스캔들이 날 시간이 없었다는 게 정확하달까. 한 해에 수십 편이 만들어지던 시대,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작품이 동시에 진행되어야만 했다. 24시간을 4등분해서 어떤 날은 8편을 찍기도 하면서 10년 이상을 보냈다. 차에서 다음 촬영 현장까지 쪽잠을 자던 시간이 가장 달콤했다던, 그는 그 시대의 여느 아버지들처럼 일을 하며 보냈다.

그가 그렇게 일을 해낼 수 있었던 건 일찍이 배우 학원시절부터 단련했던 체력 관리였다. 최무룡, 김진규 등 이미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형성되어 있던 60년대, 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갈 수 있었던 그의 경쟁력은 젊음, 그리고 단련된 몸이었다. 알랭 들롱이나 제임스 딘 같은 되고 싶었던 그는, 걸음걸이부터 고치는 등 그에 걸맞은 몸을 만들었고, 돋보이는 패션에 당대 최고의 '무비스타'가 되었다. 젊은 시절뿐만이 아니었다. 82년 임권택 감독과 함께한 <길소뜸> 촬영 당시에는 운동만으로 82kg에서 68kg으로 감량을 해냈다.

이장호 감독의 1974년작 영화 '별들의 고향'에서 열연하는 신성일. [한국영상자료원 제공=연합뉴스]

대종상 연기상과는 인연이 없었지만 자신의 목소리로 연기한 <이상의 날개>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이후 <길소뜸>, <위기의 여자>, <레테의 연가> 등에서 계속 자신의 목소리로 녹음을 하여 '더빙시대'의 스타라는 한계를 넘어섰다.

또한 청춘스타로 출발했지만 60년대 후반 문예영화로, 다시 <내시> 등의 사극으로 액션 영화까지 다양한 장르로의 변신을 거듭했다. 이에 대해 신성일 씨는 '나대로 신성일을 가지고 있'되, 작품의 패턴이 바뀔 때마다 내 몸을 그 속에 던져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냈다고 회고한다. 이를 위해 나이가 들어서도 당당한 모습이었듯, 늘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자부했다.

무엇보다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인 배우가 되었던 이유를 신성일이라면 믿을 수 있다는 '신뢰'에서 찾는다. 신상옥 감독의 68년 작 <내시>, 영화 속 윤정희의 노출 장면으로 법정에 까지 서게 되었다. 이 영화의 출연자에는 남궁원, 박노식 등이 있었지만 신상옥 감독과 함께 법정에 출두한 사람은 신성일 씨가 유일했다. 또한 감독이 시켜서가 아니라 작품 해석에 따라 노출을 감행했다고 당당하게 말하던 소신 있는 배우이기도 했다. 맹장 수술과 한여름 땡볕에 액션씬을 찍다 쓰러진 후 며칠, 신인시절 깁스를 한 때를 빼고 그는 폭탄이 터져 부상을 입고 치료를 받고 다시 현장으로 돌아갔던 미련스레 성실한 배우였다.

배우 신성일이 지난 10월 4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레드카펫에서 '손가락 하트'를 만들며 입장하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불러주는 것만으로도 고맙고 일하는 것이 행복했던, 그리고 후시 녹음이라는 당시의 영화 현장의 특성으로 인해 몇 작품을 함께 촬영하며 다작의 전성기를 보냈던 신성일. 하지만 자신들과 같은 선배 영화인들의 전례가 '노예 문서'가 되어 후배들의 환경에 족쇄가 되는 모습을 보고, 다시 태어난다면 그런 다작을 하지는 않겠다 토로한다.

호떡 장수를 하면서도 당당하던 청년, 스텝이나 다름없는 영화사 시절에도 미래의 배우를 준비하던 신인 배우는 그 후로 6,70년대를 대표하는 배우가 되었다. 시대를 냉철히 분석하고, 그 시절의 영화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내리고, 감독과 배우들에 대해 애정을 놓치지 않던 배우. 하지만 치욕으로 남은 정치인 생활, 그는 후배 영화인들 중 자신을 존경하는 사람이 없다며 아쉬워하는 노년을 보냈고 이제 유명을 달리했다.

박찬욱 감독 말처럼 프랑스의 알랭 들롱이나 미국의 그레고리 펙, 이탈리아의 마스트로야니 같다는 신성일. 하지만 우리는 고인을 과연 저들 외국의 배우들만큼 '스타'로, '배우'로, '아티스트'로 인정하고 대접했을까? 그의 인터뷰를 통해 진솔하고 성실했던 배우 신성일의 존재를 되살리는 것으로 추모의 념을 대신하는 건 어떨까.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