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 원소 기호 F.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불소를 검색한다.

할로겐 원소의 하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연한 누런빛을 띤 녹색 기체로, 화학적 작용이 강하여 질소 이외의 모든 원소와 화합한다. 냉매, 수지, 방부제, 불연성 가스, 충치 예방제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원자 기호는 F, 원자 번호는 9 <네이버 국어사전>

불소가 화두가 됐다.

불소는 산업폐기물이다. 우리나라 굴지의 비료회사인 남해화학 굴뚝에서 비료를 만든 후 날아가는 불소를 채집해서 수돗물 불소화사업의 원료로 판매한다.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서 혼자 있지 못하고 무언가와 결합해서 불소화합물의 형태로 있어야 한다. 자연계에서는 사람이 먹어도 몸에 흡수되지 않지만 수돗물불소화에 쓰이는 불소는 이온화돼 있어 사람 몸에 축적되고, 이것이 불소 독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수돗물에 불소를 넣어서 충치를 없앤다는 수돗물 불소화사업이 2010년에 와서 새삼스럽게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옥천 주민 5만4천명 가운데 72%인 3만9천여명이 수돗물에 불소를 넣고 있는지 대부분 알지도 못한 채 수돗물을 마시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불소가 안전한지, 안전하지 않은지 논란을 벌이자는 얘기가 아니다.

그 논란은 수십 년간 이루어진 논란이고, 아직도 찬반논란이 팽팽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불소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잠시 접고, 불소화사업이 시행된 절차의 적정성에 대해 많은 문제점이 발견된다.

▲ ⓒ옥천신문
옥천군은 1997년 수돗물에 불소를 투입하기 시작했다.

지금부터 13년 전에 불소를 투입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사실 이제 와서 고백하지만 당시는 불소를 수돗물에 넣어 주민들의 치아 건강을 높이겠다는데 불소의 안전성과 관련, 별다른 지식이 없었던 우리는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다는 군의 입장을 앵무새처럼 보도만 했다. 불소화사업을 시행한 후 군의 용역에 따라 옥천군내 초등학교 학생들의 치아 건강이 좋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우리 고장이 주민들의 구강 건강을 위해 앞선 행정을 하고 있다는 군의 발표를 그대로 인용하기도 했다. 13년 전 검증도 없었던 수돗물 불소화사업 보도를 이제 와서야 주민, 독자들께 용서를 구한다.

13년 전 주민들에게 의견을 묻지도 않고 시행된 불소화사업은 군수가 몇 번 바뀌었어도 구강건강 증진이라는 신화에 묻혀 그대로 진행되었다.

지난 2004년 구강보건법이 시행돼 불소화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주민 여론조사를 통해 실시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붙었다. 불소가 들어간 수돗물을 마실 주민들의 선택권을 보장한 것이다.

청주시는 1981년부터 시행하던 사업을 주민 여론조사를 통해 사업을 중단했다.

전국 540개 정수장 가운데 2009년 현재 불소를 첨가하는 정수장은 옥천군을 포함해 27개 정수장에 불과하다. 금강을 식수원으로 하는 지역 중에서는 옥천군이 유일하다.

수돗물 불소화사업을 시행한 13년 동안 공청회나 주민투표를 단 한 번도 실시하지 않은 것은 구강보건법이 바뀌기 전이라는 게 이유다. 그 이전인 1997년에 불소화사업을 시행했으니 새로 시행된 법에 명시된 주민 동의 과정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청주시가 주민 여론을 들어 중단한 것과는 딴판인 판단이다.

이 과정에서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청주는 중단했는데 옥천은 왜 중단하지 않는지, 전국 540개 정수장 가운데 1/10도 안되는 27개 정수장에서만 불소를 투입하다는 것은 대다수 지자체에서 불소사업을 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굳이 강행할 필요가 있는지.

옥천군 실무 과장은 불소화사업에 대한 아주 확실한 신념을 가지고 의회나 각종 보고를 통해 말을 한다. 새 군수가 들어선 후 오는 11월에 옥천군에서도 주민들의 의견을 듣는 절차를 거친다고 했다.

보건소에서는 여론조사를 앞두고 갑작스레 불소화사업 홍보에 나섰다. 당연히 주민들이 반발했고, 군수는 공무원들이 중립적인 위치를 지킬 것을 지시했다.

주민 여론조사를 하는데도 찬반 양측에서 문항을 보고 이해해야 하고, 합리적인 질문이 돼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이 먹는 물에 산업폐기물인 불소를 계속 넣느냐는 문제다.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안전성 문제는 이를 시행하는 측에서 안전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돗물의 정화를 위해 필수적인 염소를 넣는 것과 치아 건강을 위해 불소를 투입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세계적으로도 불소화사업을 시행했던 나라들이 이를 중단하고 있다. 역시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거나 불소 투입의 성과가 없다는 이유 등이다.

음식과 관련해 10가지 중 9가지가 좋아도 1가지 성분에 안전성이 증명되지 않았다면 먹을 사람이 있겠는가. 똑같은 얘기다.

불소가 치아 건강에 아무리 좋은 구실을 한다고 해도 이것이 몸에 축적돼서 독성이 나타날 확률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고, 위험성에 대한 논문이 계속 나온다면 그것은 당연히 중단하는 것이 맞다.

더구나 지금의 옥천군 불소화사업은 주민여론조차 듣지 않은 것이었다.

설사 주민 여론조사 결과 찬성 쪽으로 나와 불소를 다시 투입한다 해도 그것은 주민들이 선택한 길이기에 존중해줄 필요가 있겠으나 이런 절차도 없는 불소화사업은 ‘대한민국 자치1번지 옥천’을 꿈꾸는 김영만 군수에게는 필수적인 통과의례가 되어야 할 것이다.

각자 가슴속에 커다란 소우주를 품고서 ‘소통’하고 ‘공유’하고 싶어합니다. 그 소통과 공유를 바탕으로 연대의 틀을 마련하여 이 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바꾸고자 합니다. 이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의 필요성은 두말 할 나위가 없겠죠. ‘작은 언론’입니다. 지역 주민들의 세세한 소식, 아름다운 이야기, 변화에 대한 갈망 등을 귀담아 들으려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