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단녀, 이건 또 무슨 신종 여성 비하적 용어인가 싶다. 아니다. '된장녀' 같은 어감의 경단녀는 '경력 단절 여성'의 줄임말이다. 하지만 이 '경단녀'들이 사회에서 받는 대접은 어쩌면 '된장녀'보다도 못하다.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어쩌다 보니 직업을 얻은 게 감지덕지, 직장 내 눈총도, 아이들도, 집안일도 혼자 '버텨내야' 하는 게 버거워 눈물 흘려도 그 흘린 눈물 혼자 쓱쓱 훔치고 다시 씩씩하게 삶의 전쟁터로 나서야 하는 여성들, 그 여성들의 이야기를 10월 11일 <다큐 시선-다시 일할 수 있을까요?>가 담았다.

이른바 경력 단절 여성, 경단녀는 181만 2천여 명에 이른다. 그중 30대가 92만 8천 명, 3명에 1명꼴이다. 경단녀, 경력 단절 여성이란 말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주부'로 전업하지 않고 다시 '직장'을 구하려는 '의지'가 담겨있다. 한 공기업의 나이와 경력을 묻지 않고 뽑는다는 '블라인드 면접', 50명을 모집하는데 590명이 지원했다. 12:1, 이들 중 상당수가 이른바 '경단녀'다. 이렇게 나이와 경력을 묻지 않는 조건이 흔치 않기에 몰릴 수밖에 없단다. 이 엄청난 경쟁률에서 보이듯이 '경단녀'들의 '재취업'은 쉽지 않다. 직업을 구하는 이들 중 46%만이 취업에 성공한다.

재취업을 위한 조건

EBS 1TV <다큐 시선> ‘다시 일할 수 있을까요?’ 편

마흔아홉 주수연 씨는 취업 상담도 해주고 구직도 지원해주는 직업 상담사가 되고 싶어 1년간 공부하여 지난 5월 자격증을 땄다. 시청 콜센터에서 7년간 일을 했고 어머니를 간병하느라 2년간 경력이 단절되었다. 좀 더 보람 있는 직업을 가지고 싶어 선택한 직업 상담사, 하지만 초졸 경력도 없는 그녀에게 새로운 직업의 길은 쉽지 않다. 20곳을 지원했지만 아직 마땅한 곳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주저앉아 있을 수는 없는 일, 그래서 직접 발로 뛴다. 소규모 업체들이 입주해 있는 건물, 일자리 정보, 채용 의뢰를 '스펙'으로 얻기 위해 '가가호호' 방문하는 '알바'까지 '직업 상담사'의 먼 여정을 마다하지 않는다.

이렇게 단절된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 '전문적인 자격증'에 도전하는 여성들이 많다. 주수연 씨가 선택한 '직업 상담사'나 요즘 뜨는 '코딩 지도사' 등이 여성들이 찾는 새로운 전문직이다.

서른여덟 김미란 씨는 코딩을 배우는 중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출신, 자격증도 있고 국내외에서 프로그래머로 활약했으며 학교에서 강의도 했던 그녀지만 9년간의 경력 단절 후 다시 경력을 살리긴 쉽지 않았다. 직장은 그녀에게 무능력이란 '트라우마'를 안겼다. 지각, 조퇴, 잔업 불가는 기혼 여성들에게 따라붙는 이름표 같은 것이었다. 아이 컨트롤도 못하는, 조직에 피해를 주는 사람이란 낙인이 찍힌 채 위축되었던 기억만을 남겼다. 그녀는 말한다. 여자들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 결국 이런 문제에 봉착할 것이라는 걸 미리 알았다면 과거 자신이 갔던 그 대학, 그 과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그녀 주변엔 '소싯적에 한가락 했던' 엄마들이 많다. 하지만 그녀들이 20대 때 경주했던 그 노력과 노력의 결과물들은 사회적으로 인정도 받지 못하고, 재활용도 안된다고 그녀는 단언한다. 그래서 그녀도 '가정'을 가진 사람으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코딩'을 배우기 시작한 것이다.

이렇게 여성들의 '경력 단절'로 인한 손실은 195조 원에 달한다. 그중 임금 손실이 184억 원으로 94.3%에 달한다. 단절된 경력을 회복하기 위해 하지만 이전의 경력을 다시 되살리지 못한 여성들의 상당수가 '사회 서비스 업종'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직업의 특징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는 있지만 임금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직업들은 불안정성을 띠고 있으며 지속적이기가 쉽지 않다.

23년 경력이 단절된 정인화 씨는 매일 6시면 출근을 한다. 그녀가 하는 일은 노인 요양원의 '청소'업무. 취미가 회화이고, 사회봉사도 했고, 강의도 했었지만 막상 남들 다 따놓은 요양 보호사나 사회 복지사 자격증 하나 없는 그녀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그래도 무기 계약직이 되어 64세 정년도 보장된다. 그러나 '일이 밑바닥이지 사람도 밑바닥이 아니라'는 말을 되새김할 정도로 취업 과정에서 그녀가 겪은 좌절감은 컸다. 결국 정인화 씨와 같은 설움을 겪지 않기 위해 다수의 여성들이 각종 자격증 시험으로 몰려든다.

경단녀라서

EBS 1TV <다큐 시선> ‘다시 일할 수 있을까요?’ 편

그런데 '경단녀'를 선호하는 곳도 있다. 성실하고 결근도 하지 않아서 좋다고,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긍정적인 이유에서만이 아닌 경우도 있다.

김우희 씨는 아픈 작은 아이를 위한 갖가지 약 봉투를 챙기고 오늘도 출근길에 나선다. 10년간 학원 강사로 일하던 그녀, 매일 10시에 끝나는 강사 일로 도저히 아이를 키울 수는 없었다. 6년간 두 아이를 낳고 돌보고, 그래서 이제 다시 그녀가 직장을 얻은 곳은 인터넷 기반의 회사. 10시 출근 7시 퇴근, 하지만 아이의 어린이집 끝나는 시간을 맞추기 위해 그녀는 남들보다 조금 일찍 출근을 하고, 조금 일찍 퇴근을 한다. 12시간 교대를 하는 남편은 집안일을 도와줄 수 없는 형편, 이른바 '독박 육아'의 처지. 그래서 160만 원의 박봉이라도 지금의 직장이 감지덕지다.

그녀가 제일 힘든 건 그런 그녀의 처지를 알아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이다. 아이들을 위해 맛있는 저녁 식사를 차려주고 싶지만 현실은 친정 엄마표 밑반찬으로 때우는 한 끼. 아이들에게 미안하고 회사에 죄송해하며 버티는 생활, 그래도 너 잘하고 있다고 말해주는 '위로'가 필요하다며 눈물을 흘린다.

세 자녀를 둔 미영 씨도 그리 다른 처지가 아니다. 2년간의 경력 단절을 극복하고 '웹 디자이너'가 된 그녀, 오전 10시에서 4시 30분, 한 달에 겨우 130만 원 남짓을 받는다. 그러나 그녀는 아이들에게 저녁을 먹일 수 있다는 것만으로 족하단다.

이처럼 경력 단절 여성을 고용한 직장은 그녀들의 '약점'을 활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아이'라는 약점, 그녀들의 '시간'이라는 약점이라는 틈새를 파고들어 출퇴근을 보장하며 낮은 임금, 열악한 처우를 감수하게 한다.

아이를 낳고 키우며 일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EBS 1TV <다큐 시선> ‘다시 일할 수 있을까요?’ 편

'지자체들이 출산지원금을 주니 출산율이 높아졌다'고 국감에서 보고가 됐다고 한다(연합뉴스). 그러나 '자화자찬'과 달리 출산율의 감소세는 나아지지 않고 있다. 2002년에서 2016년까지 40만 명이던 출생아 수가 2017년에는 35만 명, 올해는 32만 명이 될 것이라 예측된다(중앙일보 시평, 식상한 인구 이야기 중). 젊은이들 치고 결혼과 출산에 대해 회의적이지 않은 이들을 드물다.

전문가는 말한다.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 아이를 낳고 기르기 위해 필요한 것은 보장된 육아 휴직과 공보육이라고. 정규직이나 안정적 일자리에만 국한된, 그조차도 일부 직업군에만 보장된 육아 휴직은 여성들이 아이를 낳는 것이 곧 경력 단절로 이어지는 '헬게이트'의 시작이 된다. 그에 이은 전혀 양질이지 않은 공보육.

상대적으로 보장된 육아 휴직 제도를 가진 여성 군인들의 출산율은 우리나라 평균보다 높다. 그러나 그다음이 문제다. 군 보육 시설 대기 인원만 3606명, 60개소의 어린이집이 필요하지만 군은 2022년까지 겨우 27소를 확충할 예정이다.(베이비 뉴스, 10, 11) 그나마 낳은 조건이라는 여군이 이런 상황이니 대다수 여성들이 어떤 처지에 놓여있을지는 불을 보듯 훤하다. 어설픈 환심성 정책이 아니라 진짜 아이를 낳고 키우며 일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눈물을 흘리며 낮밤으로 홀로 감내하는 여성들이 있는 한 우리 사회 출산율은 나아질 수가 없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