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전후 세대의 문학은 '아들들의 이야기'였다. 황순원, 이문열, 황석영 작품의 '백정'이었던 아버지 혹은 '사상범'이었던 아버지, 혹은 ‘부역자’였던 아버지 등. 아이러니하게도 존재했지만 부재해버린, 현실적인 도움보다는 부담이 되었던, 자신의 존재를 규정지었던 아버지의 존재를, 그 아버지의 시대를 발버둥 치며 극복하려 노력했던 아들들의 지난한 서사의 기록물들이다. 아니 굳이 전후 세대의 문학만이 그러겠는가. 일찍이 '오이디푸스'가 그러했고, 더 거슬러 제우스로부터 모든 영웅들은 '아버지'를 극복하고 나서야 그들의 존재를 온전히 증명해낼 수 있었다.

오늘날은 어떨까? 그 시절 종잇장을 넘기며 아버지와 아들의 애증에 몰두하던 사람들은 대신 TV 리모컨을 쥔다. 그리고 TV 속 드라마들은 '세대 간의 전쟁'을 진행 중이다. 그 시절 문학의 역할을 이제 TV 등의 대중매체가 이어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첨예한 총성이 울리는 곳은 장르물, 지난 6월 9일 시작한 OCN의 <라이프 온 마스>도 예외가 아니다.

언제부터인가 인기 드라마의 메뉴였던 역사극들이 TV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 자리를 대신하여 '현대사'의 장르들이 등장하고 있다. KBS1 아침드라마의 단골 메뉴였던, 6.25 동란 이후의 시대극은 이제 좀 더 현대로 그 영역을 확장하여 <응답하라> 시리즈를 필두로 또 하나의 역사극의 장르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응답하라> 시리즈 혹은 그와 유사한 현대사의 시점을 다룬 드라마들을 사극으로 분류한 이유는 이 드라마들의 기본적 존재 요건이 '고증'에 있다는 점이다. 이들 드라마에서 시청자들의 흥미를 이끄는 가장 첫 번째 요소가 그 시대를 얼마나 그럴 듯하게 재현해 내고 있는가라는 점에서, 이들 드라마들을 '사극'의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이 무리가 없다 보는 것이다.

화성처럼 낯선 쌍팔년도

OCN 주말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그렇게 <라이프 온 마스>도 1988년을 소환한다. 시즌 2까지 이어갔던 영국 드라마 원작에서 주인공이 1970년대로 갔듯이, 교통사고를 당한 한태주(정경호 분)는 30년을 거슬러 88올림픽이 개최됐던 그해로 떨어진다. 영화 <살인의 추억(2003)>을 시작으로 최근 <응답하라 1988>, <시그널(2016)>, <터널(2017)> 그리고 <란제리 소녀시대(2017)>까지 매해 우리는 1980년대를 드라마로 소환해왔다. 박남정, 소방차, 나미의 음악이 거리에 울려 퍼지고, 펑퍼짐한 실루엣의 잠바와 통 넓은 바지를 입은 아저씨들, 원색의 의상을 입은 아가씨와 뽀글뽀글 파마머리의 아줌마들이 깃들어 살던 시대. 2018년의 우리가 보기엔 도시도 아니고, 그렇다고 시골도 아니었던 그 시대가 더는 낯설지 않다.

<살인의 추억>, <터널>, <시그널>, 그리고 <라이프 온 마스>까지 모두가 80년대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연쇄살인사건을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야기의 결은 다르다. 하지만, 심지어 장르물이 아니었던 <응답하라 1988>과 <란제리 소녀시대>까지 이들 드라마들이 일관되게 표현해 내고자 하는 바는 바로 '야만의 시대'였단 점이다. 1960년대 박정희 군사 정권이 들어서 유신으로 이어지는 개발 독재가 79년 김재규의 총성으로 종식되고, 그 짧았던 '봄'이 곧 무참한 살육의 계절로 이어지고, 다시 독재가 연장되었던 시대. 경제적으로는 급격한 자본주의적 발전을 이뤄냈지만, 사회적으로는 전근대적 가부장적 구조가 길게 드리워져 있던 시대. 여전히 남자의 권력이 기세등등했던 그 시대를 드라마들은 '야만'으로 정의 내린다.

그러기에 그 시절 여성들의 자존이 무시당하고, 그 시대를 대표하는 범죄가 '여성들을 성적 대상화시킨' 성범죄라는 사실은 어쩌면 필연적인 결과물이다. 그런 면에서 <라이프 온 마스(이하 라온마)> 역시 그러한 시대적 해석의 궤를 함께한다. 그리고 거기에 더해 '아버지'의 이야기를 좀 더 진득하게 펼쳐간다.

OCN 주말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30년 전 과거로 떨어진(?) 한태주. 졸지에 그는 서울서 부임한 인성시 서부경찰서 반장이 된다. 2018년의 형사였던 그가 DNA 검사가 뭔지도 모르는 인성시 경찰서에서 동료 형사들과 함께 복고적 방식으로 수사를 하며 벌이게 되는 해프닝이 극의 주요 흐름이다. 그런 가운데, 종종 그를 괴롭히는 '한태주 씨 정신 차리세요'라는 병상의 목소리들. 그는 지금 자신이 몸담은 이 '과거'가 혹시 그의 뇌내 망상이 아닌지 혼란스러워 한다.

그렇게 혼란스럽고 그래서 종종 정신까지 잃는 그의 앞에 등장한 그의 가족. 수사반장을 즐겨보며 형사가 되고 싶다는 어린 시절의 그와 미용실을 하며 가정 경제를 책임지는 어머니, 그리고 사우디에 돈 벌러 간 줄 알았지만 룸살롱에서 잔심부름을 하던 룸펜 아버지가 다시, 아니 그곳에 살고 있었다.

6회 반환점을 향해가는 <라온마>는 그의 기억 속에 죽은 사람이었던 아버지를 소환하며, 주인공 한태주의 잃어버린 기억을 되살려낸다. 인성시 골목에서 죽어간, 무능력해서 가족과 이별한 아버지의 죽음과 그 죽음을 제대로 슬퍼하지도 못하는 소년의 사연을 통해, 드라마는 '아버지의 뒷모습'을 이야기한다. 한태주의 기억 속에 '영웅'으로 아로새겨져 있는 아버지, 하지만 30년의 세월을 거슬러 인성시로 간 성인 태주가 만난 아버지는 그 어린 시절 기억의 영웅이 아니다.

그 시절 아버지, 그 뒷모습

OCN 주말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이 '아버지'에 대한 드라마의 정의는 의미심장하다. 대한민국이 기억하는 80년대는 '찬란한 영광의 시대'이지만, 이제 역사의 돋보기로 들여다 본 그 시절은 ‘수사’라는 이름으로 다짜고짜 용의자를 때리고부터 보는 '폭력'이 상습화된 시대였던 것이다. 마치 영웅이었던 아버지가 알고 보니 거짓말만 뻔드르르했던 백수였던 것처럼.

하지만 <라온마>는 그저 그 아버지의 뒷모습을 '폭로'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2018년의 수사관으로서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용의자를 폭력적으로 겁박하고, 심지어 범인으로 몰기 위해 증거 조작을 서슴지 않는 서부경찰서 강력계 계장 강동철(박성웅 분)은 현대의 한태주와 사사건건 갈등을 일으킨다. 하지만 그 무데뽀의 수사 방식은 시대적으로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라는 비극을 낳았지만, 일선의 경찰서에서는 그 수사 방식이 '과학'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시대의 가장 유효한 수단이 되기도 하는 아이러니를 드라마는 보여준다. 가장 야만적이지만 동시에 전근대적인 인간미라는 아이러니의 결을 다루며, '아버지'의 시대에 대한 물음표를 던진다.

OCN 주말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드라마 속 아버지는 이제야 등장했지만, 사실 <라온마>에서 '아버지'의 세대를 상징하는 건 강동철이다. 온 세상의 편법을 다 가져다 쓸 거 같은 꼼수에, 다짜고짜 손부터 올라가는 이 우격다짐의 형사 계장. 그러나 그는 한태주를 알뜰살뜰 챙겨주고, 이제 막 경찰로서 성장해 가는 윤나영(고아성 분)의 구겨졌던 존재를 위한 자리를 만들어준다.

집을 나가 변사체로 발견되어 슬퍼할 겨를도 없었지만, 떨어져 있는 아들을 위해 개막전 표를 준비했던 아버지. 룸살롱 잔심부름꾼으로 가족에게 돌아가기 위해 주방을 털고 사탕을 주머니에 쑤셔 넣던 아버지. 그리고 드라마는 강동철 계장처럼, 선과 악 그 어느 한 경계로 나눌 수 없는, 80년대를 살아냈던 생동감 있는 그래서 아이러니한 모순적 존재였던 그 시절 아버지를 불러온다. 그걸 '아버지의 뒷모습'으로, 가장의 뒷모습으로, 그리고 그 시절을 살아냈던 인간의 모습으로 그려내고자 애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