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주최로 열린 '종편 및 보도전문채널 도입에 대한 의견수렴 라운드테이블' ⓒ연합뉴스
조중동 등 종합편성채널 사업을 희망하는 사업자는 규제와 관련해선 "지상파와 비교해 비대칭 규제를 해야 한다"고 '의기투합'을 했지만 심사 기준에 대해선 제 각각이었다.

"규제는 비대칭 규제, 채널 배분은 낮게, 전국단일화로"

지난 1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주최로 연린 '종편 및 보도전문채널 도입에 대한 의견수렴 라운드테이블'에서 고종원 조선일보 경영기획실 기획팀장은 "사업자 입장에서 정부에서 서포트 한다면 마다할 일이 없다"며 "국내 시장 구조상 합리적 수준의 지원이 있다면 사업자 입장에서는 환영하고, 채널 배분 문제와 채널의 전국단일화 문제는 사업자 입장에서는 환영한다"고 밝혔다. 또 고종원 기획팀장은 유료방송시장에 콘텐츠 사업자가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시장 구조 개선을 요구했다.

중앙과 동아도 역시 비대칭 규제를 강조했다. 김수길 중앙일보 방송본부 본부장은 "지상파 독과점 구조에서 새로 진입하는 사업자에 대해 어깨를 견줄 수 있을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김차수 동아일보 방송사업본부 본부장도 "지상파와는 다른 규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종편을 준비하고 있는 사업자는 모두 의무전송, 채널 배정에서는 전국 동일의 낮은 번호 배정을 원했다.

종편 사업자, 심사기준은 '백가쟁명'

규제와 진흥에 대해선 한 목소리를 내면서 심사기준에 대해선 제 각각이었다.

조선일보의 경우, 재무능력과 관련해선 절대자본금 총액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불합리하고, 투자수익률이 적정하게 보장되는 자본금 규모를 유추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또 중앙일보는 자본금 규모와 컨소시엄 참여자 구성을 주요 심사 요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으며 동아일보는 콘텐츠와 재무 능력이 심사의 기둥이고, 재무능력은 1대 주주뿐 아니라 주요 주주들의 재무 능력을 종합해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콘텐츠와 관련해선 조선일보는 글로벌 국내 방송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자를 골라야 하고, 콘텐츠 제휴의 인프라와 시스템을 중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는 콘텐츠 제작능력, 글로벌 역량, 고품격 방송저널리즘의 세 기둥이 핵심이며 주춧돌은 자본력과 기술 및 인력, 사회공헌과 공익성이라고 밝혔다.

이날 희망 사업자들의 신경전도 만만치 않았다. 자본의 성격에 대해 조선일보는 동아일보를 겨냥해 "부동산을 팔아 나중에 조달하겠다고 써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며 사업자들의 자금 조달 신뢰성을 구체적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동아일보는 이에 대해 "신문사가 호텔업 등 영리사업으로 자본을 축적한 경우 감점해야 한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한편 보도채널의 경우 마찬가지로 규제와 진흥에 대해선 한목소리였다. 규제는 완화하고, 방송발전기금의 유예 등을 주장했다.

또 심사기준에 대해선 콘텐츠 제작 능력, 자본의 건전성, 글로벌 역량 등 각각 다른 영역에 힘을 주는 모습을 보여 종편채널 선정만큼 뜨거운 논란을 예고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