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의 위성DMB 재전송이 파열음을 내고 있다. 오는 7일 열릴 예정이었던 '지역방송의 날' 기념식 행사가 무기한 연기됐으며 지역방송협의회에서 동일 대오를 유지해왔던 지역 민영방송 9개 노동조합(이하 지민노협)이 지난 5일 탈퇴 선언에 가까운 활동 전면 중단을 선언하고 나선 것이다.

직접적인 원인은 역시 서울MBC 본사가 추진한 위성DMB 재전송이며 지역MBC 노사가 이를 받아들였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지난 4일 방송위의 재전송 승인 결정으로 현재 위성DMB사업자인 TU미디어는 5일부터 MBC 프로그램을 재전송하기 시작했다.

▲ 전국언론노조 지역방송협의회 관계자들이 지난 9월18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TU미디어의 MBC 프로그램 수도권 재전송을 전체회의 안건으로 상정한 방송위원회를 압박하고 있다. 방송위는 당시 회의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안건을 보류시킨 바 있다. ⓒ언론노보 이기범 기자
지민노협은 지난 5일 발표한 ‘지역방송협의회 활동 전면 중단’을 선언하는 성명서에서 “지역MBC노사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위성DMB의 전국 재송신이 이뤄졌다는 사실은 충격과 함께 분노를 일으킨다”며 “이번 방송위원회의 위성DMB의 MBC 재송신 승인으로 지역방송의 생존기반인 방송권역을 사수했던 고난한 역사를 부정당하고 설 자리를 잃어버렸다”고 비판했다.

지역방송협의회는 지역MBC 19개 노조와 지역 민영방송 9개 노조가 주축이 된 단체로서 이들 노조들은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전송 반대, 위성DMB 재전송 반대 등에서 같은 목소리를 내왔다. 특히 스카이라이프의 지상파 재전송에 있어 가입자식별장치 도입을 전제로 하는 위성방송의 권역별 재전송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이번 MBC의 위성DMB 재전송은 전송수단이 위성이라는 특성과 이동성이라는 특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권역별 지상파 재전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지역MBC와 노조 스스로가 그 동안 피맺히게 부르짖었던 존재기반인 방송권역을 무너뜨리고 부정했다'는 지민노협의 비판이 설득력을 얻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MBC 본사에서는 지역성 구현 차원에서 지역MBC의 콘텐츠를 MBC 채널 프로그램 편성에 반영하는 방안을 고민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또한 권역별재전송을 무너뜨렸다는 비판을 막아내기에 궁색해 보인다. 여기에 지역MBC 노조가 종전 입장을 바꾸게 된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또 MBC의 위성DMB 재전송은 지상파DMB 활성화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지상파DMB는 현재 수도권 중심으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전국 서비스를 추진 중에 있다. 지역DMB사업자의 전체 상황은 상당한 편차를 보일 정도로 전국화에 난항을 겪고 있다.

지역민방의 경우, 전국 6개 권역의 몇 곳에서 시험방송을 실시하는 수준이며 다른 곳에서 엄두조차 못 내고 있다고 한다. 위성DMB와 지상파DMB는 ‘유료냐 무료냐’라는 커다란 차이점이 있지만 서비스사업자와 전송방식만 다를 뿐 유사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지상파DMB의 전국화가 활성화되기 이전에 지역에서 위성DMB를 통해 지상파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지상파DMB에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얼마 전 지상파DMB 특위에서 위성DMB의 MBC 재전송이 승인 될 경우, 사업에서 철수하겠다는 입장을 엄살로만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 MBC본사에서는 위성DMB의 MBC 재전송을 수도권 서비스에 국한시키는 방안을 고민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DMB가 실시되지 않는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위성DMB 서비스 중 MBC콘텐츠를 제외시키겠다는 얘기다.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한다.

이번 위성DMB의 MBC 재전송으로 MBC가 Tu미디어로부터 받는 대가는 18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DMB의 MBC 재전송으로 촉발된 지역방송의 분열 양상은 당분간 봉합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SBS를 비롯한 지역민방에서는 위성DMB의 재전송을 고려하지 않을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