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에 화재가 발생했다. 이곳은 지난 2010년과 2013년에도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사진=박봉민 기자>

[미디어스=박봉민 기자]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사고와 관련해 ‘국가어항’ 지정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인천시는 소래포구에 대한 ‘국가어항’ 지정을 추진 중인 가운데 이번 화재사고가 전화위복의 계기가 돼 지정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소래포구 ‘국가어항 지정’은 이번 화재와 무관하게 올해 안에 완료되기로 돼 있었다”며 “이번 화재사고를 계기로 속도가 빨라져 상반기 안에 진행될 것으로 본다. 이는 오늘(21일) 중앙부처와의 회의에서도 확인한 내용이다”라고 자신했다.

특히, 김상길 인천시 재난안전본부장은 지난 20일, 관련 브리핑에서 “무허가 노점 좌판에 대한 해결책”을 묻는 질문에 대해 “실질적인 방안은 국가어항 지정과 연계해 이곳을 재개발 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라고 밝혀 사실상 유일한 방법임을 강조했다.

또한, 20일에 황교안 국무총리 겸 대통령권한대행이 현장을 방문해 “소래포구가 국가어항으로 지정되는데 관계부처와 협의해 다 같이 노력하겠다”고 말해 기대감을 높이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지정의 열쇠를 쥔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와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에서는 다소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 겸 대통령권한대행은 지난 20일, 소래포구 화재 현장을 방문해 피해상황을 점검했다. <사진제공=인천시>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기재부와 아직 협의가 진행 중이다”라며 “계획으로는 늦어도 올 연말까지는 지정고시를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다만, “기재부와 계속해서 협의를 해봐야 한다”며 “기재부 입장에서는 지정 기준에 맞지 않는 기존 어항들의 지정 취소와 연계해 검토를 하기 때문에 다소 부정적인 기류가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 내부 검토 중이다”라면서도 “국가어항 기준에 맞지 않는 곳들을 해지하고 신규지정을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소래포구항의 경우, 해수부 연구 용역에서 1순위였지만 기본적으로 이곳이 사업비 규모가 커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해야 하는 대상이다”라며 “그래서 여러모로 검토 중이다. 화재발생도 있고 해서 검토 중이지만 결론이 언제 날지는 모르겠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이처럼 중앙정부에서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는 것과 달리 인천시가 지나치게 긍정적인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상길 인천시 재난안전본부장은 지난 20일, 소래포구 화재 관련 브리핑을 통해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소래포구 국가어항 지정’을 강조했다. <사진=박봉민 기자>

실제 제갈원영 인천시의회 의장은 미디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소래포구 화재 사고 및 ‘국가어항’ 지정과 관련한 의회 차원의 대책과 역할”을 묻는 질문에 “화재와 관련해 의회 차원에서의 지원방안과 대책을 논의하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지금 우리 의회에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소래포구 ‘국가어항’ 지정과 관련해서는 “의회차원에서 ‘소래포구 국가어항 지정 촉구 결의안’을 준비했지만, 집행부에서 그 부분에 대해 중앙정부와 거의 협의가 됐다고 해서 이 역시 보류 중이다”라고 밝혔다.

인천시 역시 “국가어항 지정이 반드시 된다”는 확신에 사로잡혀 “만의 하나”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오늘(21일) 오전에도 해양수산부에서 관계부처 회의를 했는데 상반기에 지정하기로 했다”며 확신에 찬 모습을 보였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시에서는 소래포구의 ‘국가어항’ 지정이 될 것으로 믿고 희망적으로 추진 중인데 굳이 안 될 것을 대비해서 플랜B를 만들고 할 부분은 아니다”라고 말해 소래포구 ‘국가어항’ 지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한편, 이러한 인천시의 지나친 긍정에 대해 일각에서는 지난해 검단스마트시티 무산과 최근의 ‘월미모노레일 민간사업’ 무산을 반면교사로 삼아 만일의 경우를 대비한 이른바 플랜B가 존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과 ‘월미모노레일 민간사업’은 인천시가 반드시 될 것으로 확신했지만 결국 무산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현장. <사진=박봉민 기자>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