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임진수 기자] 서울시가 직영(중랑‧난지)과 민간위탁(탄천‧서남)으로 이원화된 4개 물재생센터 운영방식을 공단(지방공기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오는 2019년 출범이 목표다.

민간위탁 물재생센터의 수탁사 대표이사도 당초 이사회 추천방식이 아닌 공개모집 방식으로 전환했다. 일명 하피아 특혜논란을 원천차단하기 위한 방안이다. 또 수탁사 전 직원에 '서울형 생활임금'을 적용 완료, 신입 평균 연봉이 적용 전 대비 약 20% 인상됐다.

시는 구의역 사고 후속대책의 하나로 민간위탁 물재생센터(탄천‧서남)를 대상으로 이뤄진 서울시 자체감사 결과에 대한 3대 운영혁신방안을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30일 발표했다.

감사에서 지적된 주요 사항은 동일한 수탁사와 지속 수의계약 체결, 수탁사 대표이사로 서울시 간부 출신 직원 선임, 시 전적자와 직접채용자간 과도한 급여차이 등이며 시는 이에 대한 개선대책을 완료했거나 추진 중이다.

우선 동일한 수탁사와 지속적으로 수의계약을 체결했다는 지적에 대해 시는 장기적으로는 공단 설립을 통해서 직접운영 방식으로 전환 추진하고 그전까지는 수탁사를 일반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물재생센터의 최적의 운영방안 마련을 위해 학술연구용역을 진행, 그 결과 공단 형태의 운영방식이 제시됐다. 시는 이에 대해 유관부서 등의 의견수렴절차를 거쳐 현재 이원화된 물재생센터 운영방식을 '공단체계로 일원화'하는 방침을 수립했다.

시는 내년 중 '물재생센터 공단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비롯한 관련 제반절차를 시작, 물재생센터 운영‧관리의 혁신을 위한 준비에 본격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철해 서울시 물재생시설과장은 “물재생센터 운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단 설립을 추진, 그동안 직영과 민간위탁으로 이원화됐던 운영을 일원화할 계획”이라며 “그전까지는 일반공개입찰 방식으로 수탁사를 선정하고 직원들의 처우 개선에도 힘쓸 계획이며, 이런 운영 혁신을 통해 그 혜택이 시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