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숙 표 드라마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새롭다. 자기복제이라는 말이 있듯이 동일한 작가와 연기자에게는 피하고 싶어도 피하지 못하는 색깔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것은 무조건 부정적이지도 않고 또 긍정적일 수도 없다. 문제는 그것을 관객이 느끼지 못하게 하거나 혹은 동일선상에서 더 나아졌다는 인상을 갖게 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태양의 후예>가 끝난 지 얼마나 됐다고 김은숙 작가의 신작 <도깨비>는 마치 수년 간 갈고 닦은 듯한 탄탄한 구조와 김은숙 특유의 말장난 식 대사가 더해져 맛깔 나는 드라마의 성찬을 내놓고 있다. 같은 듯 다른. 그리고 더 대단한 것은 너무도 식상해져서 더 써서는 안 될 것 같은 신데렐라 이야기를 아주 산뜻하게 살려냈다는 사실이다.

tvN 새 금토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

그 비결은 신화의 채용이다. 900살 넘은 도깨비와 19살 소녀의 사랑. 이 말도 안 되는 설정을 거부감 없게 만드는 것 역시 신화의 설득력이다. 조금 말이 안 되는 문장이기는 하지만 신화라는 특수성이 그렇다. 인류의 문화와 예술이 그 신화로부터 시작된 것처럼 이 신화는 사실 현재도 왕성하게 활약하고 있다.

이를 테면 할리우드가 기를 쓰고 아득바득 덤벼드는 히어로 영화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도깨비>는 그런 히어로 영화보다 더 영리하다. 여러 가지 요소가 결합된 장르지만 그 중에는 신데렐라 스토리도 존재한다. 알다시피 그 플롯은 너무도 식상하다. 그렇지만 어떻게든 로맨스를 살려야 하는 한국의 현실 속에서 신화의 비극을 살짝 가져온 것은 죽은 신데렐라 스토리를 살려내는 묘약으로 작용할 것이다.

tvN 새 금토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

2회에서 도깨비는 소녀에게 이런 말을 한다. “네가 나에게 뭔가를 발견했다면 넌 날 아주 많이 원망했을 거다” 아직 소녀는 이 말을 의미를 알지 못하지만 알게 된다면, 그러니까 소녀가 도깨비의 가슴부터 등까지 관통되어 있는 녹슨 검을 보게 된다면 그것을 뽑아주고 싶어질 것이다. 그것은 소녀가 도깨비를 사랑하게 된다는 것이고 곧 그 행위로 인해 도깨비는 봉인된 죽음의 씰을 뜯게 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녀는 도깨비와의 첫 만남에서 영혼 1도 없는 말투로 “사랑해요”라고 했다. 그 모습이 정말 철없고 천진난만해서 귀엽고 사랑스럽기는 하지만 이미 시작된 비극의 복선이라는 것쯤은 대충 봐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사랑하지 말라고 할 수도 없고 이것 참 곤란한 일이다. 해피엔딩에 취약한 시청자에게 무거운 딜레마를 던져놓고는 의기양양하게 비극의 로맨스를 끌고 가는 것이다.

tvN 새 금토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

‘결국엔 행복하게 잘 먹고 잘 살았데요’ 하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 비극을 예고하고는 이 도깨비와 도깨비 신부의 이야기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장미가 넘친다. 그러면서도 왠지 모를, 가능성 없는 해피엔딩에 기대어 한 회 한 회 조바심으로 이 드라마의 전개를 따라갈 시청자의 오장육부는 온전할 턱이 없다.

말이 쉽지 이것을 드라마로 만들어서 해낸다는 것은 정말 말이 쉽지가 답이다. 그 어려운 것을 또 해낸 작가다. 사실 요즘 시국에 드라마나 예능에 몰입하기란 무척이나 힘든 일이다. 그럼에도 이 드라마는 그런 거리의 문제들을 잠시 덥게 만들 정도로 끌어당기는 완력이 무지막지하다. 나쁘지 않은 일이다. 거리에서 더 힘을 쓰기 위해서도 휴식을 필요한 것이다. <도깨비>는 새로운, 더 센 힘을 쓰기 위한 휴식의 계기로 삼기에 너무도 적절하다. 금 나와라 와라 뚝딱! 하듯이 도깨비의 신묘한 능력이 간절한 우리들이기 때문에라도 더욱 그렇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