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부지 내 설치된 지진감지설비가 대부분 설치된 지 오랜 기간이 지난 노후장비로 확인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종오 의원은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KINS)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지진계들은 지난 1998~1999년에 설치된 것으로 현재까지 가속도계 등 주요센서 교체 없이 사용돼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원자력발전소 정지 기준과 직결된 대표지진계들도 노후 원전들을 중심으로 교체연도가 임박했거나 지난 것으로 확인됐다. 1984년 도입된 고리2호기의 경우 2003년 계측기 교체작업 후 13년 가까이 사용해 왔으며 2007년 교체된 고리1호기와 한울1호기도 내용연수에 다다랐다. 현재 '물품관리법'에 따르면 지진감시장비 내용연수는 9년이다.

▲한수원 외부지진계 현황. (자료=윤종오 의원실 제공)

고리, 월성, 한울, 한빛 등 4개 발전소 부지 내 자유장에 설치된 외부지진계의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하다. 한수원 지진계측기들은 모두 1999년에 설치돼 현재까지 교체 없이 사용돼 왔으며, 최근 3년 동안 2번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 규제 전문기관인 킨스가 설치한 장비도 모두 노후됐다. 1998년 고리와 월성에 1999년 한빛, 한울부지 내 각각 1대씩 설치됐지만 최근까지 핵심 부품인 가속도계 교체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킨스 지진 감측 장비는 최근 3년 간 2달에 한번 꼴로 고장과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수원과 킨스 측은 "유지보수와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밀 계측기에 속하는 지진계는 온도나 습도, 전압을 비롯한 미세한 환경 변화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노후화 문제를 일반설비 수준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 윤종오 의원의 주장이다. 기상청의 경우도 노후 지진계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어 관련 법령에 검정과 교정 근거를 마련하라고 2008년 감사원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윤종오 의원은 "연이어 강진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정밀계측을 담당해야할 지진감지설비들이 노후화 됐다는 건 심각한 문제"라며 "시민들의 원전 불안이 증폭하는 근본원인도 이 같은 원자력업계 내부의 안일함에 기인하다"고 강조했다. 또 "신뢰회복을 위해서라도 발전소 내외 지진계 전반에 대한 조사와 신속한 교체가 필요하다"며 "국감에서 관련 사항을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9월12일 발생한 5.8 규모 경주지진 당시 한수원과 킨스 데이터를 토대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각각 0.0981g와 0.12g로 서로 다르게 계측값을 발표했다. 당시 한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킨스 발표 값이 "원전부지 인근 지진활동 감시용"이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