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공 땐 한 선수가 올림픽 금메달을 따면 대통령이 곧장 전화를 걸어 ‘국위 선양’을 치하했다. 방송은 그 장면을 생중계했다. 그 선수는 다시 ‘고국에 계신’ 부모와 통화에서 “어매야. 인자 고생 다했다”며 울먹였다. 물론 그 장면도 생중계됐다. “고국에 계신 국민 여러분, 기뻐해 주십시오”는 국제경기 중계방송 캐스터의 가장 격정적인 레퍼토리였다. 온 국민은 그때마다 열광했다. 나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사실에 명치끝이 뻐근해지곤 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렸다. 수백개의 금메달이 주인을 찾아갔지만, 외국 금메달리스트의 국적은 관심밖이었다. 당연히 그 나라의 국위가 우리에게 선양될 리 만무했다. 86년엔 멕시코 월드컵이 열렸다. 그전까지 난 한국 국가대표팀 ‘화랑’이 세계 최강인 줄 알았다. 월드컵 첫 출전이라는 것도 그때 처음 알았다. TV가 늘 한국팀의 안방경기 승리를 극찬했던 탓이다. 국위가 얼마나 선양됐는지 모르겠으나, 월드컵 기간 동안 독재자 대통령은 평안했다.

2009년 3월, 한국 야구대표팀은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대통령은 “대한민국도 저들처럼”이라며 야구팀을 극찬하는 한편, 야구에 못 미치는 국무위원들을 나무람으로써 ‘경제위기에도 정신 못 차리는’ 국민을 함께 나무랐다. TV 뉴스는 날마다 WBC 소식으로 도배됐다. 선수들에겐 거액의 상금이 돌아갔다. 그리고 다시 병역면제가 진지하게 거론되기 시작했다. WBC 준우승은 휴전선 초병들의 국가안보를 압도하고도 남았다.

▲ 3월 25일자 한겨레 1면.
그런데 경기가 열린 미국에서는 정작 WBC보다 메이저리그 스프링캠프에 훨씬 관심이 컸다고 한다. <유에스에이투데이>의 WBC 관련기사는 스포츠면에서도 손바닥만 하게 실렸단다. ‘세계가 놀란 한국야구의 투혼’ 같은 격찬도 찾기 어려웠다. 우리의 격한 감동은 외신의 거울에 비춰보면 그저 호들갑일 뿐이었다. 이 ‘낯선 진부함’의 정체는 뭘까, 20여년 전이나 지금이나 스포츠를 온전히 스포츠로만 보지 않는 한국사회의 이 집단행태는?

‘스포츠 애국주의’는 스포츠가 애국심을 낳는 현상이 아니라 스포츠를 매개로 체제 내부의 모순과 갈등을 은폐하는 행위다. 히틀러의 1936년 베를린올림픽이 대표적이다. 성공한 선수들에겐 국가 차원의 보상이 뒤따른다. 미디어는 이 과정에 동원되거나 스스로 앞장선다. 그리고 우리를 늘 ‘국민’으로 호명하고, 우리보다 앞서 흥분한다. “고국에 계신 국민 여러분, 기뻐해 주십시오.” 그저 ‘스포츠를 좋아하는 시청자’가 되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 이 글은 <한국방송대학보> 1534호 ‘미디어 바로보기’에 실린 글입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