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_ 과거 텐아시아, 하이컷 등을 거친 이가온 TV평론가가 연재하는 TV평론 코너 <이주의 BEST & WORST>! 일주일 간 우리를 스쳐 간 수많은 TV 콘텐츠 중에서 숨길 수 없는 엄마미소를 짓게 했던 BEST 장면과 저절로 얼굴이 찌푸려지는 WORST 장면을 소개한다.

이 주의 Best: 처절하도록 현실적인 <KBS 스페셜> (7월 14일 방송)

하혈한 채 아기를 안고 베이비박스에 들어오는 미혼모, 친정엄마 몰래 화장실에서 아기를 낳고 탯줄도 자르지 않은 채 베이비박스를 찾은 미혼모, 속싸개 한 장 없이 모텔 가운으로 덮인 채 태변 범벅이 되어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기, 2.1kg의 미숙아로 태어나 젖병도 제대로 빨지 못하는 아기.

베이비박스를 다룬 지난 14일 방송된 <KBS 스페셜 - 버려지는 아이들 베이비박스, 60일의 기록>은 처절할 만큼 현실적이었다. 베이비박스는 불가피하게 키울 수 없는 장애로 태어난 아기와 미혼모 아기를 두고 가는 곳이다. 조태승 목사가 운영하는 베이비박스에는 15명 정도의 버려진 아이들이 살고 있다.

제작진은 이 곳 베이비박스에 오는 수많은 아기들 중 유독 갓 태어난 아기들을 주목했다. 탯줄이 채 잘리지 않은 채 버려진 아기. 혹은 탯줄이 정리되긴 했지만 아직 마르지 않은, 즉 태어난 지 한 시간 남짓 된 아기. 그나마 베이비박스라는 최소한의 보호 장치가 없었다면 어떻게 됐을지도 모를 아기들이다. 그럼에도 미혼모들은 이 곳에 아기를 버리고 갈 수밖에 없었다.

“이것이 10대 미혼모들의 실제 현실”이라는 조태승 목사의 말처럼, <KBS 스페셜>은 베이비박스라는 공간을 통해 10대 미혼모들의 열악한 현실을 조명했다. 조태승 목사가 베이비박스를 찾은 미혼모를 다그치는 대신 “일단 낙태하지 않은 건 잘하셨어요”라고 다독인 것도, 그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힘든 세상에서 아기를 무사히 낳아준 것만 해도 고맙다고.

이날 방송에서는 어떻게든 아기를 키우려고 노력하는 미혼모, 어린 부부들이 나왔다. 돈을 벌 때까지 잠시 아기를 맡겨놓는 어린 부부, 아픈 아기를 버리러 왔다가 목사의 설득 끝에 이 곳에서 아이와 함께 사는 미혼모. 그러나 그들이 아기를 포기하지 않았던 이유는, 국가와 사회의 테두리가 아닌 개인의 의지 혹은 조태승 목사의 설득 때문이었다.

그들이 어렵사리 아기를 키우기로 결심했음에도, 이것은 결코 해피엔딩이 아니다. “산모들이 베이비박스에 오지 않는 나라가 되야 한다”는 베이비박스 최초 운영자 이종락 목사의 말처럼, 사회 안전망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리고 <KBS 스페셜>은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기들을 통해 이 메시지를 강력히 각인시켰다.

이 주의 Worst: <라디오스타> 따라 하는 것도 힘들죠? <비디오스타> (7월 12일 방송)

지난 12일 <라디오스타>의 스핀오프격인 MBC every1 <비디오스타>가 방송됐다. MC 4명과 게스트 4명. 세트도, MC 구성 및 자리배치도, CG도 모두 똑같았다. 김국진 자리엔 박소현이, 윤종신 자리에는 김숙이, 김구라 자리에는 박나래가, 규현 자리에는 차오루가 앉았다. 게스트가 대기실에서 무한정 기다리든 말든 MC들은 서로 헐뜯기 바빴다. <라디오스타> MC들이 그랬듯이. 그리고 게스트를 소개할 때도 최대한 독하게 하면서 게스트를 자극했다. 역시, <라디오 스타> MC들이 그랬듯이. 온 몸으로 <라디오스타>의 스핀오프 프로그램임을 말하고 있었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였다.

동현배는 매니저의 <비디오스타> 섭외 소식에 “<라디오 스타> 짝퉁이냐”고 물었다고 했다. MC들은 이에 격분하면서 “이건 ‘짝퉁’이 아니라 스핀오프”라고 항변했다. 그러나 진짜 스핀오프라면, <라디오스타>를 뛰어넘는 혹은 <라디오 스타>와는 다른 매력이 있어야 한다. <비디오 스타>는 <라디오 스타>를 따라가기에도 버거워보였다.

박소현은 진행자가 아닌 정채연의 ‘덕후 이모’에 머물렀다. 김숙과 박나래는 하이에나처럼 게스트들을 공격하고 나섰으나, 목표의식 없는 헐뜯기에 불과했다. 김구라와 윤종신의 역할은 일견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르다. 김구라가 지식형 공격수라면 윤종신은 말장난형 공격수다. 그러나 박나래와 김숙은 무작정 공격하고 보는 무대포 MC형이었다. “엄마가 아들 방 털 듯 게스트를 탈탈 털겠다”는 박나래의 각오가 정말 이런 뜻이었을까. 게스트를 공격하고 헐뜨는 와중에 그들의 캐릭터를 빚어내는 것이 <라디오 스타>라면, <비디오스타>는 헐뜯기와 이간질에서 끝났다. 그것이 <비디오스타> 첫회의 실패 원인이다.

정채연은 같은 숍을 다니는 박소현의 이름을 몰랐다는 대가로 댄스를 선보였다. 그리고 정채연의 댄스가 끝나자, MC들은 곧바로 다른 게스트에게 질문을 던졌다. <라디오스타>였다면 그렇게 지루하게 개인기를 시키고, 그렇게 허무하게 개인기를 끝내지 않았을 것이다. 일례로 오렌지캬라멜 나나의 판에 박힌 표정까지도 개인기로 승화시킨 것이 <라디오스타>다. 그러나 <비디오 스타>는 정채연의 댄스 신고식을 평범한 무대로 만들어버리는 것도 모자라, “아재들은 오늘부로 채연이 포로”라는 오글거리는 자막까지 추가했다.

그러고 보니, 이 날 <비디오스타>에서 가장 재밌었던 건 <라디오스타> MC들의 축하 영상이었다. 김구라는 “<비디오스타> MC들이 <라디오스타> 게스트로 참여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며 ‘<비디오스타>의 숟가락 얹기’를 경계했다. <비디오스타> MC들도 절대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며 자존심을 내세웠다. 그러나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별로 없다. 곧 <라디오 스타> 스튜디오에서 8명의 MC들이 상봉할 것만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밀려든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