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_ [주목! 이 뉴스] 입니다. 매일(평일) 오전, 미디어스 기자들과 편집위원들이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주목’한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 조선일보 <같은듯 다른 고건과 반기문> / 정우상 기자 (2016. 5. 27.)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권력 의지를 종전과 달리 적극적으로 밝히면서 여의도 정치권에 묘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조선일보의 오늘 지면 편집은 여기에 불을 지르려는 모양새로 읽힌다. ‘반기문 띄우기’에 상당한 역량을 투입했다. 전날 정의화 의장의 대권 구상에 찬물을 확 끼얹은 것과 대비된다. 보수 분열은 막고 친박이 구상하는 대권구도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행보일까? 그러나 ‘반기문 카드’가 실제로 위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또, 이게 바람직한 정치인지 의문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 반기문 총장의 대권 가능성을 말하자면 고건 전 총리 실패 사례를 들고 나오는 경우가 많다. 조선일보는 여기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꼼꼼한 반론을 내놨다. 조선일보가 이정도로 나왔는데, 오늘은 미적지근한 중앙일보와 동아일보의 태도가 어떻게 바뀔지도 지켜볼 포인트다.
_김민하 기자

▷ 뉴스타파 <삼성협력업체 추가폭로… “삼성전자 갑질, 중국에선 더 했다”> / 최경영 기자 (2016. 5. 26.)

▷ 뉴스타파 <“기술은 중국 업체에, 갑질은 한국 업체에”> / 강민수 기자 (2016. 5. 26.)

▷ 뉴스타파 <삼성과 언론…일방적 줄다리기> / 박경현 PD (2016. 5. 26.)

뉴스타파가 삼성전자 협력업체로 냉장고 등의 핵심 부품을 납품해 왔던 태정산업 사태를 조명하고 있다. 대기업의 하청업체에 대한 갑질이 심각하다는 방증이자, 삼성전자라는 상징적인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로 본 것이다. 태정산업 권광남 회장은 삼성전자의 추가적인 '갑질'을 증언했다. 협력업체들이 중국에 진출한 뒤 갑질이 심화됐고 중국의 다른 경쟁 협력업체에 기술이 유출되는 환경을 조성했다고 폭로한 것이다. 하지만 대다수 언론은 눈을 감고 있다. 기사가치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까? 그것만은 아닌 것 같다. 파이낸셜뉴스는 태정산업에 대한 삼성전자의 갑질 기사를 올렸다 삭제했다. 서울경제는 태정산업 측 취재 없이 삼성에 유리하게 보도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 '태정 쪽에는 아무 연락이나 취재가 없었다고 하던데' 하고 물으니 "음...하하하", "나는 삼성담당 기자"라는 답변 뿐이다. 삼성담당 기자는 삼성에 유리한 기사만 쓰는 사람들이라는 얘기일까?
_ 권순택 기자

▷ 연합뉴스 <‘최저임금 갈등’ 맥도날드 전CEO “시급 올릴 바에 로봇 쓴다”> / 심재훈 기자 (2016. 5. 26.)

25일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브룩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26일 맥도날드 주주총회에 맞춰 노동자들이 시급 15달러를 요구하는 시위를 한 것. 그런데 이날 1990년대 맥도날드에서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에드 렌시는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프렌치프라이를 싸주는 비효율적인 일을 하는 직원을 시급 15달러를 주고 고용하느니 3만5천 달러(4천140만원) 짜리 로봇 팔을 사는 게 싸다”고 말했다. 그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실업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기업들은 로봇을 매장에 들이려는 움직임이다. 연합뉴스는 “피자헛의 경우 올해 말부터 아시아 매장에 로봇 ‘페퍼’를 계산원으로 투입할 예정”이라며 “페퍼는 카메라, 터치 센서 등을 장착해 피자 주문부터 계산까지 담당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저항 않는 기계가 좋아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발언과 경영전략은 오히려 저항을 더 거세게 만들 수 있다. 맥도날드가 이런 CEO를 고용했다니, 로봇을 사서 계산기를 두드리게 하는 것이 나을 뻔했다.
_ 박장준 기자

▷ 이데일리 <"아이 더 낳으라더니"… 전업주부에 육아 전가하는 맞춤형 보육> / 김기덕 기자 (2016. 5. 27.)

'육아 수요가 있고 더 필요한' 맞벌이 부부 등 실수요자와 전업주부의 어린이집 이용시간을 달리하는 맞춤형 보육 제도가 올 7월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그러나 맞춤형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어린이집 종일반 이용 유아동 자녀수를 2에서 3명으로 제한해 출산율 1.24명인 현재 저출산 상황과 역행한다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또한 종일반 비중이 줄어 정원 못 채운 농어촌 어린이집은 도산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출산을 해소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는 좋았지만 이번 정책도 뾰족한 '대책'이 될 것 같지는 않다.
_ 김수정 기자

▶[주목! 이 뉴스] 더 찾아보기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