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대비 2015년 주요 신문들의 기사 건수가 8배 가량 증가했으나, 기사 당 정보원(취재원)의 수는 오히려 줄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의 박대민 선임연구위원이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빅 카인즈’(big kinds)를 활용해,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 등 전국단위 종합일간지 8개가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신문과 온라인 등에 내보낸 정치·사회·경제분야 기사 147만2518건을 분석한 결과다. 이 결과는 언론재단이 18일 발간한 웹진 1호 ‘News Big Data Analytics & Insights’에 실렸다. ▶바로가기: <신문 26년: 150만 건 기사의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 인터랙티브 페이지

▲정치기사 정보원 분석 결과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박대민 연구위원은 정치·사회·경제 뉴스의 정보원와 주제 등을 분석했는데 결과가 흥미롭다. 우선 정치 분야의 주요 정보원은 2003년을 기점으로 정당의 대변인에서 대통령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이 대통령 중심의 정치를 강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사회 분야 기사에서는 2000년을 전후로 중요 정보원이 정치인에서 교육부로 바뀌었다. 경제 기사의 주요 정보원은 재무부,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등 관료들이 차지했는데 예외적으로 2001년부터 2007년까지는 증권사 연구원과 컨설턴트가 주요 정보원으로 등장했다는 게 박대민 연구위원 분석이다.

각 기사의 주제도 변했다. 박대민 연구위원은 각 분야 기사에 등장한 인용문과 주제를 분석했는데, 정치 분야 인용문에서 가장 자주 등장한 주제어는 ‘미국’이었다. 정당 중에서는 민자당,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등 보수정당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사회면에서는 매체별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한겨레는 ‘노동자’와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았고, 서울신문은 ‘공무원’을 가장 자주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면의 화두는 2007년까지 ‘미국’이었고 이후 ‘중국’으로 변했다.

기사 건수와 기사당 정보원과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도 흥미롭다. 26년 동안 8개 매체의 연도별 기사 건수는 매체별로 2~8배 정도 급증했다. 8개 신문의 기사 건수 총합은 1990년 1만3960건에서 2015년 11만1443건으로 8배 정도로 많아졌다. 2015년 기사 건수를 보면 세계일보가 가장 많았고, 경향신문 서울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국민일보 문화일보 동아일보 순이다. 한 면에 들어가는 기사 건수도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기사 주제 분석 결과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기사 건수가 늘어난 만큼 정보원의 수와 주제의 수 또한 늘었다. 1990년 8개 매체에 등장한 정보원의 숫자는 1만명 수준이었으나 2013년부터는 6만명 안팎으로 크게 늘었다. 전체 매체의 주제 수 또한 1990년 6만7717개에서 2015년 34만6636개로 늘었다.

그러나 기사당 정보원의 수와 기사당 주제 수는 모든 매체에서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박대민 연구위원은 “이러한 변화는 2007년 이후 특히 심하다. 이는 기사 간 중복 정보원과 중복 주제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기사는 많이 쓰지만, 그만큼 정보원이나 주제를 발굴하진 못한 셈이다. 이는 무엇보다 신문사의 경제적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기사당 정보원 수와 주제수의 감소 추세는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 문화일보, 서울신문에서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기사 당 정보원 수 분석 결과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