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찾아오는 12월 25일 크리스마스는 적어도 한국에서만큼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날이다. 어린 아이들에게는 양말을 걸어두고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기대하고, 연인들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기대하며, 또 다른 이들은 각자의 의미를 담아 크리스마스를 기대한다. 과연 이주노동자들에게도 크리스마스는 그런 의미일까? 그리고 이주노동자들이 온 나라에서는 크리스마스는 어떤 풍경일까? 단순한 호기심에 시작된 이 질문은 평소에 알고지내던 각 나라의 이주노동자들에게 이어졌다.

베트남에서 온 A의 이야기

베트남에서 태어난 A씨는 결혼이주여성이다. 한국에 온지 20여년이 됐으나 베트남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많은 베트남이주노동자들을 만나고 모국 친정에도 아이들과 자주 다녀오기 때문에 여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베트남은 불교가 가장 많고 사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무교이기 때문에 기독교의 명절인 크리스마스는 일부 기독교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이 그냥 넘어간다고 한다. 대신 충투(Trung Thu)라고 불리우는 추석(한국과 시기는 동일함)에 아이들이 형형색색의 등불(사진↓)을 들고 다니면서 부모님이 과자, 선물을 주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한국에 온 베트남 이주노동자들도 기독교인 숫자는 많지 않아서 크리스마스를 따로 기념하지는 않는다. 크리스마스 하면 다른 나라 축제라는 이미지가 강해서인지 올해도 A씨의 가족은 크리스마스를 조용히 넘어간다고 한다.

방글라데시에서 온 B의 이야기

방글라데시에 온 B씨는 고용허가제(E-9)이주노동자이다. 첫 번째 다니던 회사에서 부당해고를 당해서 지방노동위원회를 거쳐서 얼마 전 중앙노동위원회에서까지 부당해고 판정을 받았다. 지금은 새로운 회사에 적응하기 위해 열심히 일을 하고 있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전화통화를 했는데 회사에 물량이 너무 많아서 크리스마스 날도 일을 해야할지도 모른다고 할 정도였다.

‘혹시 방글라데시에서도 크리스마스를 성대하게 축제를 치르느냐’ 물으니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무슬림이 많은 나라여서 일부 기독교도들만 크리스마스를 기념한다고 한다. 혹시 아이들을 위한 어린이날 같은 게 있냐고 물으니 “방글라데시 사람들은 1년 내내 부모님에게 효도하고 아이들을 사랑하는데 굳이 어버이날, 어린이날 같은 걸 정해서 왜 축하해 주는 건지 모르겠다”고 오히려 되묻는 통에 할말을 잃어버렸다. 우문현답이 따로 없었다.

그 밖의 네팔, 버마 등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 이주노동자들에게도 비슷한 질문을 했지만 크리스마스는 아직까지는 다른 나라의 명절과 같은 느낌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한국에서만 자고 나란 나는 종교와 상관없이 크리스마스라면 무조건 거리에 울리는 캐롤송과 커다란 성탄트리, 그리고 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산타할아버지에게 빌었던 선물이 머리맡에 놓여있던 크리스마스의 기적까지 너무 당연한 문화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B씨의 말처럼 크리스마스를 기념 유무에 상관없이 1년 내내 함께 하는 사람들과 함께 마음을 나눈다면 그것이야말로 정말 행복한 문화가 아니겠는가? 2015년 한해 동안 정말 다사다난한 일들이 많았고 지금도 추운 거리에서 농성투쟁을 하는 노동자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크리스마스에 태어난 예수 역시 출생과 동시에 박해를 피하기 위해서 떠돌아다녀야 했던 이민자였다.

거리에서 투쟁하는 노동자들과 크리스마스에도 물량을 빼기 위해 일을 해야 하는 이주노동자들 모두를 위해서 김현철의 “크리스마스에는 축복을”이라는 노래를 추천한다. 올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아니지만 지난 1977년 이후 무려 38년 만에 뜨는 럭키문이 뜬다고 한다.

독자 여러분, 모두 메리 크리스마스^^


박진우_ 2012년부터 이주노동조합의 상근자로 일을 하고 있다. 어릴때부터 대안학교 선생님을 하고 싶다는 막연한 꿈을 꾸고 있어서 언젠가는 이주아동 대안학교 선생님을 하겠다는 나름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일을 한지 3년이 되어가지만 외국어를 못해서 무조건 한국어로만 상담을 하고 있다. 이주노조가 반드시 합법화되서 한국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이주노동자들의 튼튼한 조직으로 우뚝 설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개인적으로 몸무게가 계속 늘어서 movement(운동)가 아닌 exercise(운동)를 심각히 고민하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