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는 분명 픽션인 드라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사극에 대해서는 많은 시청자들이 고증에 대한 강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종종 논란이 벌어지고는 한다. 요동정벌과 위화도회군, 이 두 사건은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이라는 중대 사건으로 연결되는 역사적 사실이다. 일단 이 드라마는 제목부터 조선 건국의 주체들에게 무게를 주고 있기 때문에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에 당연히 이성계와 정도전의 편에 설 수밖에는 없다.

▲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그렇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우리가 알고 있는 만고의 충신 최영 장군을 부정적으로 그릴 수밖에는 없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고 최영도 옳고, 이성계도 불가피했다는 어정쩡한 양시론으로 가는 것보다는 차라리 욕을 먹더라도 작가가 해석하는 방향으로 주장하는 편이 정직하다고 평가해주고 싶다.

고려말기의 역사는 역성혁명의 승자 조선에 의해서 기록된 것이다. 그래서 크게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그 신뢰하기 힘든 기록에 의지할 수밖에는 없었을 것이다. 그냥 심심풀이로 악사를 베어버리는 폭군 우왕을 배경으로 최영이 요동정벌을 통보하는 장면은 충분히 시청자로 하여금 요동정벌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심기 위한 이미지 조작이라고 할 수 있다.

▲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그렇지만 정확히는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을 이상과 현실의 충돌로 봐야 할 것이다. 요동정벌은 우왕과 최영으로서도 기울어가는 고려의 국운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온 나라가 복무하는 대 이벤트가 필요했었고, 성공만 거둔다면 고려의 역사를 두 배는 늘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미 요동정벌에 성공하고도 아무 것도 얻지 못했던 쓰라린 경험을 않고 있는 이성계가 그 선봉에 서야 한다는 게 결정적 오류이자 역사의 아이러니였다.

당시 이성계가 내세웠던 요동정벌 사불가론에서 첫 번째인 작은 나라가 대국을 친다는 것에 대한 사대적 발상에는 동의하기 싫지만, 나머지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최영이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하고 조율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하나마나한 가정을 하게 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신중하기에는 고려의 국운이 너무 위태로웠다.

▲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드라마로 들어가 보자. 다른 것은 몰라도 일단 정변을 제안한 정도전의 설득이 통하지 않았음을 군사들에게 알리는 백마 흑마 작전은 흥미로운 연출이었다. 물론 역사를 통해 그런 정변이 없었음을 알고 있기에 당연히 백마가 달릴 것을 알면서도 과연 어떤 말이 등장할지 긴장하고 또 기대하게 만든 것은 연출이 잘한 것이다. 그러면서 시청자로선 자신이 갖고 있는 역사적 사실과 의식과는 다소 무관하게 위화도 회군을 기대케 하는 묘한 효과도 함께 가져왔다.

그렇지만 음력 5월에 떠난 요동정벌의 배경이 한겨울로 바뀐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지만 좀 어색했다. 더군다나 겨울에 역병이 번지는 상황이라는 것도 설득력을 갖기 힘들었다. 그렇지만 압록강변에서 다리를 만들다가 병사를 잃는 장면은 대량의 강우 장면을 동원해 나름 실감나게 표현했다. 아마도 연기하는 이들이 큰 고생을 했을 것이다. 그런데 눈이 아니라 비라는 점에서 연출도 계절에 대해서 확신을 갖지 못한 부분이 아니었나 싶었다. 그러나 어쨌든 위화도 회군에 대해서 정치적 계산이 아니라 상황이 이성계를 변화시켰다는 사실을 주지시키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거기에 정도전이 이성계에게 국가라는 의미를 풀어서 말하는 회상은 아주 절묘한 타이밍이었다. “나라 국(國)자는 창으로 땅과 백성을 지키라는 것이죠. 이게 나라입니다. 이 나라 국에 이 글자(집 家)를 더하면 땅과 백성을 창으로 지켜내어 가족을 이룬다. 이것이 국가입니다”라는 정도전의 말이었다. 이성계가 자신의 입으로 말하는 것보다 정도전의 말을 회상하는 편이 좀 더 객관성과 정당성을 부여해주었다. 위화도 회군의 명령은 이성계가 내렸지만 결정은 마치 정도전이 한 것만 같았다. 사실을 떠나 설득력을 갖는 매우 좋은 솜씨였다. 작가는 정말 아무나 하는 직업이 아니라는 생각을 새삼 하게 되는 장면이었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