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문재인-안철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안철수 의원은 문재인 대표의 사퇴와 함께 ‘혁신전당대회’를 열자고 제안했으나, 문 대표는 이를 거부했다. 혁신안은 수용하되 사퇴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문 대표는 ‘문안박 공동지도부’를 구성하자고 제안한 바 있으나 안 의원은 이를 거부했다. 그리고 안 의원은 6일 같은 요구를 하며 “저와 함께 우리 당을 바꿔나갈 생각이 없다면 분명히 말씀해 달라”고 최후통첩을 해 탈당 가능성까지 점치게 했다. 공은 다시 문 대표에게 넘어간 셈이다.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의 갈등은 새정치민주연합 내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으로 비쳐지고 있다. 여기에 천정배 의원이 주도하는 신당 창당 움직임까지 더해지면서 안 의원과 비주류의 탈당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은 7일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 인터뷰에서 “지금 당은 막다른 골목으로 가는 것 같다”며 “(안철수 의원 탈당 가능성에 대해) 저도 그렇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호남에서 새정치연합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다며 “한없이 이러한 상태가 계속 된다고 하면 저도 어떠한 결정을 할 때가 올 것”이라고 밝혔다.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오른쪽)와 안철수 의원. (연합뉴스)

비주류로 분류되는 유성엽 의원 또한 7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안철수 대표가 요구한 내용이 100%는 받아들여지진 않더라도 그에 버금가는 그런 조치들이 나오지 않는다면 저는 어떤 야권의 변화, 또 돌파구 마련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신속하게 적극 검토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한다”며 “(탈당이나 분당 등) 그런 것도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대로 갈 수는 없는 일 아닌가”라고 말했다.

비주류의 이러한 발언은 ‘문재인 사퇴’를 위한 압박카드로 해석된다. 박지원 의원은 “만약 문재인 체제로 총선을 패배하면 자기는 정치를 끝내겠다, 대권도 모든 걸 끝내겠다, 이렇게 얘기했는데 결국 지금 현상대로 가면 당도 죽고 문재인도 죽는 것”이라며 “당도 살리고 자신도 살리는 그 길이 있지 않을까 저는 그렇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성엽 의원은 “그러한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저는 문재인 대표께서 결단을 해주셔야 한다, 이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의원의 ‘멘토’로 불리는 한상진 서울대 교수는 지난달 3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제1야당 내의 패권적 행태를 무너뜨려야 새로운 출발이 가능하다는 판단 아래에서 신당 지지가 합리적일 수 있다”며 ‘창조적 파괴’를 주문하기도 했다.

당 내 주류는 안철수 의원이 실제로 탈당할 가능성을 크지 않다고 보고있다. 비주류 일부가 문재인 대표 사퇴를 요구하며 탈당할 가능성은 있으나, 총선을 앞두고 기득권과 공천 때문에 분열하고 비주류가 ‘호남 자민련’ 격인 천정배 신당에 합류한다면 여론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결국 문-안 갈등의 핵심은 공천권 배분이라는 얘기다. 19대 국회보다 더 심각한 여대야소 상황이 예상되는 만큼 계파 간 공천권 다툼은 치열해지고 있고, 이것이 상징적으로 드러난 게 이번 갈등이라는 뜻이다. 비주류는 안철수 의원을 방패 삼아 움직이며 공천권을 보장하라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는 게 주류 측의 해석이다.

당내 전략기획위원장을 맡고 있는 진성준 의원은 KBS1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 인터뷰에서 “안철수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창당 주역이다. 그런 분이 당을 깨고 탈당을 한다고 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고, 또 실제로 정치적으로만 봐도 그것은 분열의 책임을 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그런 분열로 말미암아서 총선에 패배한다면 총선에서의 패배에 대해서도 책임을 나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런 극단적인 선택은 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총무본부장을 맡고 있는 최재성 의원 역시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출연, ‘창조적 파괴론’에 대해 “정당은 가능한 한 특히 야당의 경우에는 그야말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사람 하나라도 또 더 확보를 해서 1:1 구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한국 정치 상황에서 야당 입장에서는 아주 절실한 문제”라며 “그런데 창조적 파괴라는 이름으로 이것을 더 분열을 시키고 더 갈라지게 하고 하는 것은, 관념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일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또 역사적으로 증거된 그런 상황에 입각해서 봤을 때는 책임지는 모습과 전혀 다른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