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 그리고 업계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구성한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가 24일 합의안을 발표했다.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15개 단체에서 2명씩을 추천받아 위원회를 구성하고, 이곳에서 뉴스 제휴와 관련된 기준과 절차를 만들어 평가를 진행하겠다는 내용이다. 평가위는 오는 10월 공식 출범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서비스와 관련된 뉴스 제휴 심사를 위해 대표적인 언론 유관단체 및 이용자 단체가 참여하며 평가 및 심의를 전담하는 평가위원회(상설기구)와 정책과 제도를 전담하는 운영위원회(비상설기구)로 구성된다”며 “평가위원회는 제휴 심사와 관련된 기준과 절차를 제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포털은 지난 5월 각기 비공개로 운영하던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공개형’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히고 곧장 준비위원회를 꾸렸다. 보수언론과 정부가 이른바 ‘사이비언론’ 프레임을 작동한 직후 일어난 일이었다. 예상대로 준비위에는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학회,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등 7개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했다.

▲ 네이버와 카카오는 지난 5월28일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공개형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평가위에는 준비위 참여 7개 단체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한변호사협회, 한국기자협회, 언론인권센터, 인터넷신문위원회,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신문윤리위원회, 한국YWCA연합회 등 총 15개 단체가 추천하는 인사로 구성된다. 단체별로 2명씩 최대 30명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통상적 회의 및 평가 업무는 15명씩(각 단체별 1인) 진행하기로 했다. 회의 별 참가자는 추천단체에서 결정한다.

흥미로운 대목은 평가위가 위원 신원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는 점이다. 이는 네이버가 지난해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 명단을 공개한 것에 비해 후퇴한 조치다. 평가위원을 공개할 경우 포털 입점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기존 포털이 자체적으로 구성한 외부 평가위원회와 크게 다르지 않다.

결국 포털은 입점 문턱을 낮추거나 플랫폼을 개방하지 않았다. 그 동안의 심사 정보와 평가위원, 새로 구성한 평가위 위원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지기’만 달라진 셈이다. 오히려 보수언론과 거대언론이 주도하는 평가위는 포털이 내려주는 ‘떡고물’을 분배하는 반상회가 전락할 수도 있다. 업계 이해관계자들이 ‘가두리양식장’ 식 포털 뉴스정책을 혁신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어뷰징 주체들이 참여하는 평가위원회가 어뷰징 매체를 퇴출할 가능성 또한 없다. 이런 점에서 준비위 참여단체들이 평가위에 시민운동단체를 포함시킨 것은 구색 맞추기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