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는 강정마을을 기억해주세요”

애초, ‘강정마을’은 해군기지 후보지가 아니었다. 2007년 4월, 여론조사 실시 3일을 앞두고 후보자로 선정됐다. 강정마을 인구 1900명 중 87명이 참석한 총회에서 박수로 해군기지 유치가 결정됐다. 그리고 한달여 만인 5월 14일 제주도 지사는 강정마을에 해군기지 유치 결정을 발표했다. 같은 달 18일 강정마을 제주해군기지 반대대책위원회가 결성됐다. 그렇게 반대운동이 시작된 지 꼭 3000일이 지났다. 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투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3일 경향신문과 한겨례에 실린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 운동 3000일 신문광고

‘제주해군기지 건설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는 제주해군기지 반대운동 3000일을 맞아 3일 경향신문과 한겨레에 “오늘 하루는, 강정마을을 기억해주세요”라는 신문광고를 게재했다. 이들은 “한반도 남쪽 끝, 제주도 서귀포 작은 마을 강정에서 ‘마을 공동체’, ‘천혜의 자연’, ‘동아시아의 평화’를 파괴하는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맞서 싸운 지 3000일”이라며 “해군기지 반대 활동으로 700여명이 연행됐고, 589명이 기소됐으며 38명이 구속됐다”고 밝혔다. 제주해군기지 반대활동으로 받은 벌금액만 4억 원에 달한다.

그렇지만 아직 제주해군기지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고 이들은 말한다. 주민들의 반대를 짓밟으며 진행되는 공사는 많은 다른 문제들을 낳고 있다. 해군관사 건설이 그랬고 최근에는 또 다른 폭탄이 떨어졌다. 정부는 제주해군기지 공사 지연에 따른 배상금 273억 원(삼성물산 등에 줘야할)을 반대 시위를 벌인 단체들에게 청구하겠단 방침이다.

참여연대 평화국제팀 수영 활동가는 “오늘(3일)이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3000일이 되는 날”이라며 “이렇게 긴 시간이 지났지만 해군기지 건설 반대운동을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취지로 신문광고를 게재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해군기지 건설은 이미 많이 진행됐지만 관련 문제들은 해결되지 않았고 새롭게 해군관사 건설과 크루즈 선박 정박을 위해서는 터미널 건설로 부지가 확장되는 문제들이 남아있다. 항로의 경우, 최종 변경된 내용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영 활동가는 “해군기지 건설로 해류가 바뀌면서 강정마을 바다에 오염물질이 누적돼 바다생태계가 훼손됐다”며 “천연기념물인 연산호들이 파괴된 것들을 다이빙을 통해 확인했다. 조만간 기자회견(5일)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영 활동가는 ‘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해 “절차적 민주주의를 지키지 않아 정당성이 없는 사업”이라며 “중국과 미국의 갈등 상황에서 제주해군기지가 전초기지가 될 수 있는 것들이 명백하기 때문에 동아시아 평화를 위협하는 문제라는 점에서 비단 강정마을의 문제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공사과정에서 마을 주민들의 인권침해가 다방면으로 발생했고 환경문제도 심각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제주해군기지 건설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는 3일 정부의 273억 원 구상권 청구에 대해 “실제 공사가 지연된 주된 이유는 해군과 시공사의 불법, 탈법 공사 때문”이라며 “강정 주민들에게 덮어씌우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해군과 공사업체들은 오탁방지막 훼손 등 불법 공사로 인해 제주도로부터 9차례나 공사 중지 통보를 받은바 있다”며 “또한 2012년에는 제주해군기지 공사 설계 오류로 인해 제주도 차원의 공사중지 청문 절차가 진행돼 해군기지 입출항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다시 해야 했던 것”이란 입장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