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환자 및 격리자가 크게 늘었다.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7일 오전 5시 기준 확진자는 64명이다. 현재까지 5명이 사망했고, 환자 7명은 ‘불안정’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격리자도 2361명으로 전날보다 495명 증가했다. 상황이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정치권은 벌써 ‘공과’ 논의를 시작하는 모양새다.

정부가 메르스 1차 대응에 실패한 이후, 2~3차 감염이 확산하자 보건복지부는 뒤늦게 메르스 발생 의료기관을 공개했다. 복지부는 “평택성모병원(37명), 삼성서울병원(17명), 대청병원(3명), 건양대병원(5명) 등은 다수의 병원내 감염이 발생한 의료기관”이라며 “이외 2개 의료기관(365서울열린의원, 아산서울의원)은 1명의 확진환자만 발생한 병원”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경유병원은 18개소이며, 이들은 모두 역학조사 및 추적관리 결과 병원내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의료기관으로, 이용에 문제가 없으며 감염에 대한 우려를 할 필요가 없는 의료기관들”이라고 밝혔다.

복지부가 의료기관을 공개한 이유는 ‘병원내 감염’을 주요원인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복지부는 “밀착접촉자에 대한 추적관리는 충실히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내 감염이 주요원인으로 작용하여 메르스환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일부 추적되지 않고 누락된 접촉자가 발견될 수 있어 기존의 밀착접촉자 추적관리만으로는 메르스 감염확산을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식이 바뀌었다”며 “또한 환자가 계속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안이 심해지고 정보공개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는 점도 고려되었다”고 설명했다.

▲ 세포내 있는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 (이미지=보건복지부)

정부가 초동대응이 실패하면서 2~3차 감염이 퍼지고 있다. 확진환자가 발생한 지역도 많아지는 추세다. 서울시(시장 박원순)를 시작으로 지방자치단체들도 메르스 대응에 나서는 중이다. 서울시는 500여명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면서 역학조사와 가택격리를 강화 중이다. 환자에 대한 긴급지원도 진행하기로 했다. 경기도 등 여러 지자체들도 서울시와 같은 정책을 일부 시행 중이다. 각 지역 교육청의 경우, 대규모 휴업을 결정한 곳도 여럿 있다.

정부의 병원 공개, 서울시 등 지자체의 개입에도 상황은 긍정적이지 않다. 그런데 정치권에서는 뒤늦게 메르스 대응에 뛰어들기 시작하며 정부의 실책을 지우려는 모습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4일 정부 대응을 강하게 비판하며 대책본부를 구성해 활동을 시작하자 부랴부랴 ‘따라하기’에 나섰다. 여야는 7일 오전에야 국회 메르스 대책 특별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등 차기 대선주자들 또한 현장을 찾고 있다.

특히 새누리당에서는 ‘박근혜 대통령’과 선을 그으면서도 정부여당과 일부 지자체의 성과를 띄우는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6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메르스 현장 대책회의에 참석, “정부의 초기대응이 미흡해 상황이 악화됐다”면서도 “지금은 질병관리본부와 각 지자체가 철저한 방역대책을 마련해 현명하게 대응하고 있으니 시민 여러분은 정부와 의료계를 믿고 적극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병원별 메르스 노출 기간 (5개 시도 24개 의료기관) (자료=보건복지부)

한편 우려했던 것과 달리 한국에서 발생한 메르스는 ‘변종’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이주실)은 6일 2번 환자의 검체에서 바이러스를 분리 배양해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을 벌인 결과, “국내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는 유전자 염기 서열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첫 메르스 바이러스인 EMC 표준주(GenBank No. JX869059)와는 99.55% 일치했다”며 “또한, 그간 알려진 메르스 바이러스 55개 유전자 정보 중에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 분리주 (GenBank No. KF600628, KSA_Hafr-Al-Batin_2013)와는 99.82%로 가장 높은 일치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