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가 신문과 지상파 방송의 교차소유 허용 등을 통해 지상파 방송과 종합편성채널 등을 족벌신문과 재벌에 넘겨주려고 하는 가운데 중앙일보그룹이 외국계 방송사와 합작을 통해 ‘본격적인 방송사업 진출’을 선언해 언론계 안팎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기자협회보는 6일 “중앙일보가 일간스포츠를 통해 방송진출을 공식선언했다”고 보도했다.
기자협회보에 따르면, JMnet(중앙미디어네트워크) 계열사인 일간스포츠는 6일 ‘장래사업계획 또는 경영계획’ 공시를 통해 “외국계 미디어 사업자인 터너 브로드캐스팅과 방송채널 공동 설립 관련 파트너십을 추진한다”며 “당사를 통한 중앙일보그룹의 본격적 방송사업 진출”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 중앙일보사 사옥 ⓒ미디어스
중앙일보그룹이 말하는 ‘본격적 방송사업 진출’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는 지상파 TV 방송이나 종합편성PP 사업에 뛰어들겠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왜냐하면 (주)중앙일보사가 100% 지분을 가진 (주)중앙방송은 이미 PP(프로그램 공급사업자, Program Provider)로서 Q채널, History(히스토리)채널, 골프채널을 포함한 5개의 케이블 채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방송계와 언론계에서는 중앙일보그룹이 말하는 ‘본격적인 방송사업 진출’이 단순히 ‘보도전문 채널(사업)’ 진출만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닐 것이라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조선일보가 “PP의 몰락”이라는 제목의 기사을 통해 밝혔듯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비롯한 대부분의 서울지역 신문사들이 케이블 방송(PP) 사업을 하고 있으나, 거의 모든 사업자들이 상당한 누적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앙일보그룹 계열사인 일간스포츠의 외국계 방송사와의 합작을 통한 방송사업 진출은 이명박 정부의 신문법과 방송법 개정 그리고 방송법 시행령 개정 등을 통해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가 허용될 것을 전제로 한, 지상파 방송 내지 종합편성채널 사업 진출에 대한 사전준비 작업으로 해석되고 있다.

중앙일보그룹은 2006년 4월 처음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해 상호출자제한제도의 적용을 받는 59번째 기업집단군에 지정될 당시 신문과 방송, 교육, 출판, 물류, 영상 및 엔터테인먼트 등을 망라하는, 모두 63개의 주식회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로부터 2개월 동안 3개의 기업이 늘어나 모두 66개의 주식회사를 거느린 거대한 복합미디어그룹이 되었다.

곧이어 중앙일보그룹은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과 동생들이 소유·지배·경영하고 있던 40여개의 보광그룹 소속 기업에 대한 계열분리를 신청해 공정거래위원회의 허가를 받은 바 있다.

이후 중앙일보로부터 계열분리를 단행한 보광그룹은 확장을 거듭한 끝에 금년 4월 현재 69개의 주식회사를 가진, 상호출자제한제도의 적용을 받는 기업집단이 되었다. 홍석현 회장 일가가 소유, 지배하고 있는 중앙일보그룹과 보광그룹의 계열사를 합치면, 경영권을 행사하지 않는 (소액)지분투자회사를 제외하고도, 100여개가 넘는 셈이다. (아래 별첨 도표 참조)

그러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에 따라 금년 6월부터 상호출자제한과 채무보증제한제도의 적용을 받는 기업집단 지정 기준이 총자산 2조원 이상에서 5조원 이상으로 대폭 상향조정됨에 따라 보광그룹도 동양화학그룹(회장 이수영 경총회장), 한솔그룹(대표 이인희, 이건희 회장의 누나), 한국타이어(대표 조양래: 이명박 대통령 아들의 장인) 등 37개 재벌과 함께 상호출자제한제도와 채무보증제한제도의 적용을 받는 기업집단에서 제외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중앙일보그룹의 본격적인 방송사업 진출 준비는 총자산 10조원 이하의 모든 재벌에게 지상파 방송,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 등을 허용하고 외국 기업에 대한 방송사업 진입 장벽을 대폭 완화하려는 이명박 정부의 입장에 대해 여론 다양성을 파괴하는 행위로 규정, 반대와 저지 투쟁을 벌여온 언론노조를 비롯한 언론시민사회단체의 대응이 주목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