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나 드라마나 여주인공은 자주 민폐에 빠진다. 그도 그럴 것이, 그래야만 보는 이의 애간장을 끓게 하고 결국에는 남자 주인공의 희생과 영웅적 판타지를 그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때로는 그 노림수도 실패하고 그냥 여주인공이 민폐로 남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된다. 특히 사극이라는 배경에서 클리셰에 갇힌 여자 연기자들은 민폐를 벗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게다가 사극톤이라는 특유의 연기 걸림돌 때문에라도 여자 연기자들은 힘들다.

그런데 조선총잡이에서는 그런 민폐의 공식이 없어 좋다. 그것을 상징하는 대사가 12회 전혜빈에게서 나왔다. “조선의 여인네로 살 생각 없는 사람입니다”라는 말이다. 관습과 통념으로부터의 과감한 독립선언이나 다름없다. 전혜빈은 역할을 작지만 그런 분량보다는 훨씬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급기야 이준기에게 직격탄으로 프러포즈를 하면서 남상미와의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케 하는 등 역할을 잘 수행해내고 있다.

그런 전혜빈의 지원을 받은 남상미는 그전부터 씩씩하게 중심을 잡아가고 있다. 우선 사극이 처음인 남상미는 우려를 보란 듯이 깨고 마치 체질인 양 사극연기를 소화해내고 있다. 무엇보다 남상미 캐릭터가 잘 잡힌 것이 우선이겠지만 대본이 주어진다고 다 해내는 것은 아니기에 남상미의 사극 자세 잡기는 무척이나 만족스럽다. 아주 전통적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시대에 맞지 않게 지나치게 개방적이지도 않은 여성인 수인 캐릭터를 흠잡을 데 없이 소화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준기의 정체가 일본인 한조가 아니라 3년 동안 오매불망 잊지 못했던 정인 박윤강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오히려 그 사실을 가슴에 꼭 묻어두고 그림자처럼 돕는 모습은 감탄을 금치 못하게 한다. 그렇게 민폐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간만의 캐릭터 수인의 모습은 어느덧 남상미가 되어 있었다. 어찌 보면 현대극에서의 남상미와 크게 다른 것도 없어 보이는데 이상하게도 오히려 치마저고리 입은 남상미가 훨씬 자연스럽다. 어쩌면 너무 늦게 사극을 하지 않은 것 아닌가 싶을 지경이다.

이렇게 민폐와의 거리두기에 성공한 남상미는 이준기와의 연애에도 치명적인 애절함을 가져올 수 있었다. 동생 연하를 만나러 온 박윤강이 결국 수인에게 그 모습을 들키고 말았다. 예전에도 그랬지만 동생 연하는 두 사람을 이어주려는 마음이 넘쳐서 그만 모른 척하기로 한 약속을 잊고 그 자리에서 수인의 이름을 부르기까지 했다. 이제 박윤강이나 수인 모두 서로를 모른다고 할 도리가 없어졌다.

그러나 서로에 대해서 숨길 수 없다고 해서 상황이 달라진 것은 없다. 박윤강은 수인을 지키기 위해서 떠나라고 할 수밖에는 없다. 이때 수인은 아주 적절한 수위의 간절함과 단호함으로 윤강의 진심을 시험한다. 윤강은 이미 내친김이니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자 두말 않고 돌아서고는 마치 어린아이처럼 소리 내어 울며 윤강에서 멀어진다. 이 장면이 정말 절묘했다.

거기서 수인이 윤강의 팔이라도 잡고 매달렸다면 지금껏 유지해온 수인의 캐릭터다 무너지고 말았을 것이며, 아무 반전도 없었을 것이다. 돌아서고 싶지 않지만, 진심이 아니더라도 말을 그렇게 한다면 떠나겠다는 강기를 보인 것이 역시 수인다웠다. 그러자 당황스러운 것은 윤강이었다. 모두 없던 일로 하고 알콩달콩 사랑하자고는 차마 하지 않겠지만, 그렇게 서럽게 울고 떠나는 정인을 그대로는 보낼 수 없던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윤강은 달려가 수인을 돌려세우고 아주 오랫동안 참았던 온 마음을 다해 가슴에 끌어안았다. 그 순간 하마터면 박수를 칠 뻔했다. 아니 박수를 쳐줘야 마땅했다. 그 흔한 키스도 없이, 노출도 없이 가슴을 화끈거리게 했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