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지방선거 결과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것인지에 대해선 이견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모두 ‘민심’을 겸허하게 수용하겠다고 밝혔지만, 분위기는 차이가 있다. 정치부 기자들은 새누리당의 내부 분위기가 매우 화기애애했다고 전한다.

그럴 만도 하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일정 부분 지분은 유지했으되, 청와대와 정권의 통치방식에 제동을 걸만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새누리당이 대통령과 청와대의 의중에 절대 충성하는 모습 역시 지속될 것이다.
물론 그렇기에 불안요인은 있다. 이준석 새누리당 전 비대위원의 경우 새누리당이 이 선거 결과를 승리로 봐서는 곤란하다고 설명한다. 새누리당 ‘충청권 맹주’ 이완구 원내대표 선임에도 충청권에서 패배했고, 동남권 신공항 문제에서 TK와 PK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이 골자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을 기반으로 한 통치기조가 임기 말로 갈 때 지속가능할지도 문제다. 국무총리 지명은 물론, 이정현 홍보수석 사임으로 인한 후임인사와 청와대 개편 등의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 옆 국무총리의 빈자리가 눈에 띈다. 정홍원 총리는 사의를 표명한 뒤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는 참석하지 않고 있다.(연합뉴스DB)
하지만 정치일정 자체가 야권보다는 여권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새누리당은 7월 말 재보선 이전 14일에 전당대회를 치른다. 친박인 서청원과 비박인 김무성의 당권 양강 구도가 거론되고 있다. 유승찬 스토리닷대표는 “만약 김무성이 당대표가 될 경우 새누리당은 쇄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재보선을 치르지만 야권에겐 그러한 전기가 없다. 현재의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체제로는 책임성을 가져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전당대회의 과열을 우려하기도 했지만 역설적으로 그 부분이 새누리당의 반등기회라는 것이다. 친박인 서청원 대표가 승리한다 하더라도 그 또한 나름대로 당 운영의 안정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선거 결과에 대한 제대로 된 정리를 하지 못한 채 7월 재보선의 공천 문제에 대한 다툼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사정을 아는 한 관계자는 “15군데 정도의 선거를 예상하는 7월 재보선 정국에서 손학규, 정동영, 김두관 등이 모두 돌아오려고 시도할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내의 계파 다툼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의 성과는 당적 차원의 대응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후보 경쟁력의 문제였다. 유승찬 스토리닷 대표는 “성과에 대한 착시현상이 있지만 박원순과 안희정 등 후보 개인의 경쟁력에 기댄 측면이 크다”라면서 “(후보 개인 경쟁력에 기댈 수 있는 것은) 지방선거의 특색일 뿐 총선에서는 이런 식으로 승리하기가 어렵다”라고 설명했다.
한 정치부기자 역시 “이번 선거 끝나고 야권 지지자들은 박원순이나 안희정 등 특정 후보를 찜해놓고 그를 중심으로 대권구도를 짜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은 일단 공동이익을 도모하는 당적 규율을 만들어내지 않으면 미래를 도모하기 힘든 상황이다”라고 비관적인 전망을 했다. 그는 “상대방은 이권을 위해서라도 공동대응을 하는데 새정치민주연합은 언제나 각개약진이다. 이런 상황에서라면 다음 대선에서 누가 나오더라도 리더십을 발휘하기 힘들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총선과 대선에서의 전망이 어둡거나 불확실할 때엔 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이 언제 올지도 장담할 수 없다. 장석준 노동당 부대표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대통령 담화문 발표 이후 “대통령의 담화문을 보면 이른바 ‘2/3의 통치’를 하겠다는 것을 보인다”라고 설명한 바 있다. 그는 “지금 정국에서 유권자의 1/3은 어차피 박근혜 대통령의 열혈지지자들이다. 또 1/3은 어차피 박 대통령을 싫어하는 사람들이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그 가운데에 있는 1/3만 끌어들이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세월호 사건만 넘어가면 2/3의 통치를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의도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지방선거 결과는 박근혜 대통령이 이와 같은 통치전략을 포기해야 할 이유를 주지 못한다.
유승찬 스토리닷 대표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야권은 ‘대통령의 눈물’에 대해 어떠한 대응도 하지 못했다”라고 설명한다. 박근혜 대통령을 싫어하거나 인정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은 것도 분명하지만 열혈지지층과 관망하는 중도층도 여전하다. 기본적 지지층을 보유한 박근혜 정부가 오히려 87년 체제 다른 정권과도 달리 임기 말까지 탄탄한 지지율을 유지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세월호 참사를 겪은 상황에서도 야권의 제 정치세력을 믿지 못하는 유권자의 마음에 다가가지 못한다면 박근혜 정부의 정국 주도권을 뺏어오기 어렵다고 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