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얼굴을 보면 모래알처럼 구별이 안 되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자세히 보면 어떤 얼굴이든 독특하고 딱 하나뿐이라는 것이었다. 그 얼굴들은 엄마의 얼굴이거나 아빠의 얼굴이고, 누이 혹은 형제의 얼굴이며, 딸의 얼굴이거나 아들의 얼굴이다. 그 얼굴에는 수많은 기억들이 아로새겨져 있어서 다른 누구의 얼굴과도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이것이 모든 애착의 핵심이고, 그 애착이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특질이다. -붉은 낙엽, 토마스 H.쿡

우리가 '사랑'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 때 흔히 뇌리에 떠오르는 사랑은 남녀 간의 사랑일 것이다. 인류가 수만 대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자자손손 융성을 이루는 기본이 되어온 남녀간의 끌림. 하지만 다시 곰곰이 생각해 보면 어쩌면 인간의 삶을 보존하는 데 거의 원초적인 것은 남녀간의 끌림보다도 더 맹목적인, 내 새끼를 보호해야 한다는 부모들의 맹목적인 사랑이 아니었을까?

더구나 다른 동물들과 달리 나이가 지긋해서야 제 앞가림을 할 수 있는 인간이란 동물의 생존에는, 이성을 향한 사랑보다 육친의 맹목적 보호가 더 선험적이 아닐까 싶다. 흔히 육친에의 사랑이라고 하면 모성성을 우선으로 치지만, 진화론의 관점에서 보면 아비의 자기 유전자에 대한 집착은 어미의 모성성 못지않게 한 가닥을 하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다.

11월 17일 KBS드라마스페셜 단막극 2013, 드라마 극본 공모 당선작 시리즈 마지막 편으로 방영된 <불청객>은 이 맹목적 부성애에 발목을 걸며 인간으로서의 질문을 던진다. '인간이 숭고한 이유는 죄의식이 있어서래요'라고.

이야기의 구조는 복잡하지 않다. 매의 눈을 가진 강력반 반장 국서, 그의 집에 불청객이 찾아온다. 그는 바로 7년 전 국서가 살인죄로 집어넣었던 범인 이태호다. 그는 7년 전 사건의 범인이 자신이 아니었으며 국서 자신도 그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지 않느냐고 다그친다. 그렇다. 매일 밤 한 컵의 소주를 들이키고도 잠을 못 이루는 국서는 알고 있다. 그날 밤 죽은 자의 곁에 있었던 사람이 태호가 아니라 바로 자신의 딸이었다는 사실을.

이제 막 대학 입학을 앞두고 있는 딸을 둔 아빠는 현장에 떨어진 핸드폰으로, 딸이 범인임을 직감한다. 하지만 그는 딸의 핸드폰을 슬그머니 주머니에 넣고, 대신 애먼 태호를 범인으로 몰아 감옥에 보낸다. 결국 '미안하다'는 한 마디를 슬며시 흘린 채. 그 한 마디에 단서를 얻은 태호는 7년 만에 감옥에서 나와, 다짜고짜 국서의 집을 찾아 들어와 복수를 하겠단다. 그의 복수란 건 국서 스스로 경찰에 자신의 딸을 고발하라는 것이다. 그게 아니면 딸을 죽이겠다고 태호는 협박을 해댄다.

드라마 스페셜 극본 공모 당선작 시리즈의 카피는, '한 줄의 상상이 한 편의 드라마가 되는 순간'이다. 지금까지 방영된 네 편 중, 10월 23일 방영된 <마귀>는 역사의 행간에서 길어 올린 파발꾼을 역사적 인물로 형상화시켰고, 11월3일 방영된 <나에게로 와 별이 되었다>는 이 시대 88만원 세대의 슬픈 사랑을 그려냈다. 11월 10일 방영된 <오빠와 미운 오리>는 '출생의 비밀'이라는 상투적 반전이 또 기존 드라마와는 또 다른 반전이 되는 사고를 담아내었다. 그리고 마지막 시리즈인 <불청객>은 공모작 카피에 가장 어울리는 상상의 폭과 깊이를 드러내는 작품이다.

마치 한 방울의 물감이 종이 한 장을 다 물들이듯이, 집에 찾아온 불편한 사람이라는 에피소드는 아버지와 딸 그리고 억울한 범인과 그를 범인으로 몰아간 형사, 라는 표면적 관계를 넘어 인간다움의 근원을 헤집는다.

좋은 드라마일수록 등장인물들의 면면이 단선적이지 않다. <불청객>은 보는 내내 등장하는 누군가의 편을 들어 우리 편 이겨라 하는 심리로 편하게 드라마를 보던 시청자들을 괴롭힌다. 느닷없이 쳐들어온 불청객인 줄 알았더니 억울하게 옥살이를 한 사람이요, 그래서 그의 편을 들고자 했더니 그의 협박은 도를 넘고, 이미 아비와 딸은 충분히 고통을 받은 것 같아 보인다.

그래서 다시 불청객을 미워하려 했더니 아뿔사, 그는 그 7년 동안 그나마 자신을 혹처럼 생각하는 아비가 죽은 것도 모른 채 그 자신도 죽을병에 걸려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드라마의 마무리에 이르러 내뱉을 수 있는 단어는 '이를 어째'이다.

삶은 언제나 불신과 추측으로 무너진다. 사실과 진실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아니라 확인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의심이 모든 것을 망쳐놓는다. 혹시 혹은 만약에, 라는 생각이 연기처럼 피어오르는 것이다-토마스 H. 쿡

부모 자식의 연을 맺고 사는 평범한 사람이라면, 대부분 국서가 맞닥뜨린 상황에서 맹목적인 부성애의 결정에 토를 달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드라마는 단지 부성애와 인간의 도리를 대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7년이 지난 후, 딸은 울부짖으며 대든다. 아버지는 왜 한 번도 그날의 일을 자신에게 물어보지 않았느냐고. 아버지는 지레 자신이 피해자를 죽였으리라 예단한 거 아니었냐고. 아버지는 나를 한 번도 믿지 않았다고. 그러면서 드라마는, 우리가 원초적이라 접어두는 그 육친애의 맹목성에 질문을 던진다. 과연 당신 자식을 사랑한다는 그 사랑이 진짜 사랑이냐고.

토마스 H쿡의 소설 <붉은 낙엽>은 그 막연한 부성애가 어떻게 세 명의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두 가정을 무너뜨려 가는지를 증명해내는 소설이다. 드라마 <불청객>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막연히 내 자식을 사랑한다고 지레 짐작한다. 그러면서도 사실은 누구보다 앞서 내 자식을 의심하고 불신하며 자식들을 몰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 사회에서 빚어지는 수많은 왜곡된 부모 사랑이 그 증거로 넘쳐나고. <불청객>은 그 눈감은 내리사랑에 발을 건다. 그리고, 그 맹목성이 가지는 잔인함을 가슴 절절하게 그려낸다. 태호의 죽음이 마치 내 잘못인 것처럼 뜨금하도록. 언제나 그렇듯 좋은 드라마는 고해성사와도 같이 우리를 정화시킨다.

<불청객>을 보고 있노라니 절찬리에 종영한 KBS2의 수목 드라마 <비밀>이 떠오른다. 운전대의 주인을 바꾼 남녀의 어긋난 사랑이 펼쳐가는 파장은, <불청객> 아비의 잔인한 내리 사랑의 파장과 유사하다. 똑같이 좋은 드라마에서 풍기는 향내가 난다. 조만간, 또 한 편의 무시무시한 명작에서 이은미 작가와 노상훈 피디의 이름을 발견할 것 같은 예감이 든다. 벌써부터 그 기대로 어깨가 들썩거린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