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조중동의 기사에 일일이 대응하고, 피곤하고, 피폐해 마시라. 단어 몇 개만 바꾸면 그대로 그들에게 돌려줄 수 있다. 7월 28일자 동아일보 사설 <교육감 선거, 학교를 '전교조의 기지(基地)' 만들 순 없다 >를 몇 단어 바꿔봤다. 바꾼 단어와 문장은 빨간색으로 표시했고 원본과 비교해 읽으면 더욱 재밌다. 앞으로 종종 기가 막혀 혀까지 차게 되는 조중동의 기사를 갖고 놀다가 그들에게 고스란히 돌려주는 경제적이고 재밌는 놀이를 해보고자 한다. ^^ / 완군

[사설] 교육감 선거, 학교를 '시장의 기지(基地)' 만들 순 없다

미래세대 교육과 국가 장래에 큰 영향을 미칠 서울시 교육감 선거가 모레로 다가왔다. 유권자들은 각 후보의 이념 성향과 교육관 및 교육정책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교육의 미래, 나라의 미래, 자녀들의 미래를 스스로 설계한다는 자세로 투표에 참여해야 한다.

우리 교육은 헌법정신과 국가 정체성의 기반 위에서 세계 시민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해야 한다. 후세대가 지속가능한 세계 스스로 고민할 수 있도록 판단력을 길러줘야 한다. 인성파괴적인 돈벌이에 사로잡혀 ‘88만원 세대’를 양산하는 교육을 해서는 결코 안 된다. 당연히 교육감은 우리 모두가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국민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형평성을 높일 인물이어야 한다.

교육감은 특히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헌법 31조 4항)에 충실해야 한다. 부적절한 식사자리에 나가 지지를 불법적인 호소하고, 민주적 적법 절차에 따라 임명기관장들적출하자고 외치며, “저소득층이 많아져 교육환경을 악화시킨다“미친교육의 주장을 되뇌는 사람은 교육을 정치와 정쟁(政爭)의 제물로 삼을 우려가 매우 높다.

▲ 동아일보 7월 28일자 사설
뉴라이트, 한국노총을 비롯한 우파 교육 시장주의 세력이 밀고 있는 후보가 당선된다면 교육 현장이 신자유주의 바람에 휩싸일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교사는 학력 신장이라는 명목으로 자신들의 개인적 기득권 확대를 위해 학생들을 한 줄로 세우는 일에 더 몰두할 것이고, 경쟁교육이란 구호 아래서 학생들은 ‘일제고사, 진단평가, 특목고 확대 정책’ 등 ‘유전유학 무전무학’의 무한한 경쟁의 사지(死地)로 몰리는 ‘이기기 위해서는 미쳐야 하는 교육’이 판을 칠 것이다. 자신의 선거홍보를 위해 학생들을 동원한 후보야말로 그런 교육자의 표본과 같다.

특목고와 자사고는 본래 설립 취지를 잃고 현실적으로 ‘귀족학교’가 된 것이 사실이다. 특목고와 자사고를 무조건 찬양 하는 것은 경쟁에 대한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경쟁교육은 '학력 신장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전제로 한다. 학력수준 향상을 위한 ‘0교시 수업’과 우열반 교육과 같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경쟁과 차이를 심화시키는 공교육의 악순환은 계속된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나 못하는 학생이나, 잘사는 집 아이나 못사는 집 아이나 함께 공부하면서, 공부 잘하는 학생은 뒤쳐진 학생 도와주며 자긍심을 느끼고, 리더십 발휘하며 공부를 더 잘 할 수 있고 조금 뒤떨어지는 아이는 잘하는 학생에게 도움 받으며 용기 얻고 우정 얻고 자극받아 더욱 공부 잘할 수 있는 ‘협동식 교육모델’이 필요하다. 교육감 선거가 ‘이명박을 위한 선거’로 전락한다면 ‘깨끗한 서울 교육’ 그리고 ‘차별없는 교육’은 멀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