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눈 앞의 위기를 왜곡과 날조로 넘어가겠다는 생각을 버려라. 국민들이 왜 조중동 심판에 나섰는지 그 이유를 단 한번이라도 진지하게 생각해보라"

조선일보가 지난 23일 KBS앞 1인 시위 여성의 집단 폭행사건을 왜곡보도한 것과 관련, 이를 규탄하는 언론시민단체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동조합을 비롯한 시민·언론단체 관계자 20여명은 25일 오전 11시 30분 서울 중구 태평로 조선일보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일보의 날조·왜곡보도를 강하게 규탄했다.

▲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동조합을 비롯한 시민언론단체 관계자 20 여명은 25일 오전 11시 30분 조선일보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일보의 날조 왜곡보도를 강하게 규탄했다. ⓒ송선영
이들이 문제로 삼은 조선일보의 기사는 지난 24일자 10면에 실린 <'촛불 900명', '보수 20명'에 "죽이겠다" 협박>이다.

지난 23일 여의도 KBS앞에서 '공영방송 지키기' 1인 시위를 하던 여성이 '보수단체'로 의심되는 회원 수십 명으로부터 폭행을 당했고 이를 말리던 시민까지 폭행을 당해 3명이 부상을 입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촛불 900명', '보수 20명'에 "죽이겠다" 협박>에서 "촛불시위대 900여명이 KBS본관 앞에 천막을 치고 농성 중이던 보수단체 회원 20여명을 둘러싸고 '죽여버리겠다' 협박했다"며 "이날 오후 보수단체 회원과 촛불시위에 참가한 시민들이 서로 주먹다툼을 벌여 촛불시위에 참가한 한 여성이 병원에 실려가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조선일보가 1인 시위 여성의 일방적인 폭행 사실은 숨긴 채, 촛불시위대 900여명이 보수단체 회원 20여명에게 일방적으로 '죽여버리겠다'는 협박을 했다는 부분을 확대 왜곡해서 보도했다고 지적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민언련 박석운 대표는 "24일 아침, 조선일보의 기사를 보고, 만약 언론학 교과서에 실리면 완벽한 왜곡보도 사례가 되겠구나 생각했다"며 "조선은 집단 폭행을 당한 시민들을 마치 가해자인양 날조했다"고 비난했다.

박 대표는 이어 "24일자 동아와 중앙의 보도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며 "어제의 날조 왜곡보도는 놀라서 까무라칠 정도였고 너무나 참담하고 기가 막히다"고 조선의 보도를 비판했다.

언론노조 김순기 수석 부위원장도 "촛불문화제를 통해 조선일보가 어떤 신문인지 국민들도 다 알게 됐다"며 "광고 중단 운동을 예상하지 못했던 조선일보가 앞뒤를 가리지 않고 (사안을) 날조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김 부위원장은 "사실상 조선일보는 언론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뒤 "같은 언론 종사자로서 국민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신문으로 함께 같이 가자"고 조선일보 기자들에게 호소했다.

▲ 조선일보 6월 24일자 10면.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안진걸 조직팀장 또한 "너무나 어이없는 사태"라며 "상식을 가졌다면 이렇게까지 신문이 말할 수 있냐"고 조선일보를 비난했다.

안 팀장은 "사람이 맞아 쓰러져 있었는데 어떻게 이런 보도가 가능햐냐"며 "이러한 '신 관변어용 폭력단체'의 폭행 사례가 확인된 것만 최소 6건"이라고 말했다. 안 팀장은 이어 일부 언론에서 진보단체와 보수단체 간의 충돌로 보도하는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는 진보단체와 보수단체의 충돌이 아닌 그들에게 일방적으로 맞은 것"이라고 주장한 안 팀장은 기자들에게 보수단체가 아닌 '신 관변어용 폭력단체'로 불러줄 것을 요구했다.

▲ 조선일보 정문. 들어오지 못하도록 안 쪽에서 각목으로 막아놨다. ⓒ송선영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일찍이 조선일보가 '작문'에 능한 신문이라는 사실을 모르지 않았지만 '광우병 말바꾸기'로 범국민적 지탄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악의적 날조·왜곡을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 참으로 놀랍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이미 조선일보는 '광우병 말바꾸기'와 촛불집회 왜곡보도로 국민들의 신뢰를 잃어버렸다"며 "조선일보가 아무리 촛불을 든 시민들을 음해하고 매도하는 보도를 쏟아낸다 해도 조선일보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듣는 국민들은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광우병 국민대책회의에서는 조선일보의 왜곡 기사와 관련,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할 방침이며 추후 당사자들과의 의견 조율을 통해 법적인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