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방송작가지부가 방송작가의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KBS·MBC에 단체 교섭을 요구했다. 방송작가지부의 요구사항은 물가 상승률에 비례하는 임금 인상, 지역방송사 작가 처우 개선 등이다. 방송작가지부는 “공영방송 KBS·MBC는 책임 있는 자세로 교섭에 임해 방송작가 노동조건 및 비정규직 노동자 처우 개선에 나서는 모범을 보이기 바란다”고 밝혔다.

언론노조 방송작가지부는 지난해 KBS·MBC·EBS 등 공영방송 3사와 ‘방송작가특별협의체’를 구성하고 방송작가 처우 개선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지난해 수차례 특별협의체 회의가 진행됐으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사실상 중단됐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이 18일 개최한 <공영방송 KBS MBC는 방송작가지부 교섭에 나서라!> 기자회견 토론회 (사진=언론노조 유튜브 화면 갈무리)

언론노조 방송작가지부는 18일 KBS와 MBC에 특별협의체 대신 단체 교섭을 통해 공식적인 논의를 이어가자고 밝혔다. EBS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미지 언론노조 특임부위원장은 미디어스와의 통화에서 "특별한 이유가 있어 EBS를 제외한 것은 아니다"라며 "지역 KBS·MBC에서 근무하는 방송작가가 많아 우선순위를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송작가지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역작가를 포함한 방송작가지부 소속 조합원의 실질 임금은 수년째 정체되거나 후퇴해 왔다”며 “방송작가 임금이 수년째 제자리인 사업장이 허다하며, 물가 인상 등을 감안하면 실질 임금은 하락했다”고 강조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올해 3월 발표한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지상파 제작비 투자액은 전년도 대비 5.5% 감소했다. KBS의 TV프로그램 제작비 감소율은 15.6%, MBC 감소율은 4.5%다. 방송작가 임금은 프로그램 제작비와 연동된다. 제작비가 줄어들면 방송작가 임금은 동결되거나 삭감될 가능성이 크다.

방송작가지부는 “방송작가 임금을 방송작가지부 출범(2017년) 때부터 현재까지 물가 인상만큼이라도 인상해 줄 것을 요구한다”며 “극심히 열악한 지역방송사의 방송작가 임금 실태를 감안하면, 그야말로 ‘최소한’의 요구다. 이마저 수용하지 않는다면 KBS·MBC를 공영방송이라 부를 수 있겠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송작가지부는 “지역에서 일한다는 이유만으로 노동자들의 임금 격차를 당연시하는 관행 역시 바로잡아야 한다”며 “공영방송 KBS와 MBC는 지역 자체 프로그램 제작과 편성이 의무사항이자 지역 시청자들의 당연한 권리다. 하지만 지역 제작 프로그램이 소위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제작비 후려치기를 해왔고, 방송작가들은 노동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 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방송작가지부는 방송사가 서면계약서 내용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방송작가지부는 “방송사가 방송작가를 비롯해 사내 비정규직들과 맺고 있는 서면 계약서에는 업무 범위, 임금 지급 방식, 지급일자 등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며 “공영방송에서 법을 준수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소위 봄가을마다 진행되는 프로그램 기획과 관련해 제대로 대가를 주지 않는 행태는 뿌리 뽑아야 한다”고 밝혔다.

방송작가지부는 “KBS·MBC는 왜곡된 관행을 바꿔야 하는 사회적 책무가 있다”며 “더 이상 관행이라는 식으로 회피해서는 안 된다. 방송사 내 노동조건 개선과 노동인권을 높여 방송사가 비정규직 백화점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