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혜인 기자] 일반직·연봉직 처우 개선을 위해 출범한 YTN 노사협의체가 3개월 만에 잠정 결론안을 도출했다. 연봉직 임금 체계를 호봉직과 동일하게 맞추는 안이다. 당초 노사협의체는 호봉·연봉·일반직 임금 체계를 하나의 연봉 테이블에 담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후 구조 개편을 통해 임금인상안을 도출하자고 의견을 모았고, 연봉직과 호봉직의 연봉체계를 통일했다.

신호 전국언론노동조합 YTN 지부장은 지난달 30일 사내게시판에 노사협의체 논의 결과를 올렸다. 노사협의체는 지난 3월 호봉직·일반직·연봉직 차별 해소를 목적으로 꾸려졌다. 사측 대표 2명, 노조 대표 2명, 방송노조 대표 1명과 호봉직·일반직 대표 2명, 연봉직 대표 3명이 참여했다. 노사협의체는 매주 회의를 열었다. (▶관련기사 : YTN, 호봉·일반·연봉직 차별 해소 위한 ‘노사협의체’ 출범)

3월 30일 YTN 노사협의체가 처음 모였다. (사진제공=YTN)

YTN은 호봉직 70%, 연봉직 20%, 일반직 8%로 구성돼 있다. 호봉직은 공채를 통해 입사한 직원들로 정규직이다. 반면 일반직과 연봉직은 무기계약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를 받고 있다.

노사협의체는 연봉직과 호봉직의 임금체계를 맞췄다. 현재 호봉직은 임금 총액을 20분의 1로 나눠 일부는 기본급으로, 일부는 상여금으로 받고 있다. 연봉직은 임금 총액을 12분의 1로 나눠 매달 같은 급여를 받고 있다. 노사협의체는 연봉직도 호봉직과 동일하게 기본급과 상여금을 받는 체계로 바꾸는 방법을 논의했다. 체계 변경으로 인한 연봉직의 손실분은 새로 신설하는 수당으로 보존하기로 했다.

연봉직과 호봉직의 수당은 연간 300만 원으로 통일했다. 연봉직은 급식·교통 수당을 신설하고 호봉직의 수당을 하향 조정하는 안이다. 줄어드는 호봉직의 수당은 기본급에서 맞춰 실지급액이 낮아지지 않도록 조정했다.

연봉직 임금 테이블 기준도 바뀐다. 현재 2019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설계된 임금 테이블을 2021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2년 치 최저임금 상승률 4.4%가 반영된다.

일반직 구성원들은 변동이 없다. 신호 지부장은 “일반직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의미있는 논의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며 “조합원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노조와 일반직 대표들은 ‘호봉직 대비 70%로 구성돼 있는 연계율’을 ‘70% 이상’으로 올릴 것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호봉직 연계 방식과 다른 새로운 연봉 테이블 구성을 제안했다. 사측의 제안은 기존 연봉보다 임금이 올라가는 구조로 일반직 구성원 다수의 동의를 받지 못했다.

신호 지부장은 “협의체의 처우 개선안은 잠정적 결론으로 모두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지만 합의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밝혔다. 또한 "협의체가 논의한 내용은 기본적으로 상당한 금액을 연봉직 구성원들에게 투입해서 격차 해소를 위해 한 계단 더 올라가는 방법으로 매년 적용되는 이익이란 점을 고려해달라"고 설명했다.

노사협의체 활동은 지난달 30일 보고를 끝으로 종료됐다. YTN지부는 한 달여간 조합원들에게 노사협의체 잠정 결론안을 설명하고 설득해나갈 계획이다. 이후 노사협의체 개선안이 대의원회 추인을 받으면 내년부터 적용된다.

하지만 현재 연봉직 사원들의 반발이 커서 이를 설득해나가는 게 과제다. 신 지부장은 “연봉직 조합원 다수가 협의체 안을 반대하면 조합도 굳이 밀어부칠 이유가 없다”면서도 “사내 격차 해소를 논의하기 위해 노사와 직분 대표들이 머리를 맞댄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란 의미를 헤아려 달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