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네이버가 모바일 뉴스추천에서 ‘언론사 숨김’ 기능을 추가했다. 특정 언론사를 거부할 수 있는 권한으로 이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뉴스만 추천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용자의 확증편향이 강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포털이 정치권 비판이 나올 때마다 알고리즘 정책을 수정하기보다 설명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는 17일 “추천 뉴스 영역에서 원하지 않은 언론사를 직접 제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며 “사용자가 추천받고 싶지 않은 언론사를 선택할 경우 해당 언론사의 기사는 MY뉴스 및 추천 뉴스 영역에서 제외된다”고 공지했다. 네이버는 “숨김 설정한 언론사가 너무 많을 경우 제공되는 기사가 부족할 수 있다”며 “추천 기사 수가 부족할 경우 사용자가 숨김한 언론사가 제공될 수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 모바일 뉴스화면, 언론사 숨김 기능창

이번 조치는 MBC <스트레이트> 보도로 불거진 정치권의 압박에 대한 개선책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스트레이트>는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이 보수언론 편향적이라고 지적했다. <스트레이트> 조사에 따르면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기사 노출 비중은 48% 대 3.6%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미디어혁신특별위원회는 포털 뉴스 알고리즘을 규제하는 정책 방향을 세웠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17일 미디어혁신특위 회의에서 “뉴스 편집권을 국민에게 돌려줄 수 있도록 포털 뉴스편집 기능을 조정할 것”이라며 “언론사들의 뉴스가 소비자에게 선택돼 읽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이용자가 접하는 뉴스의 다양성이 좁아진다는 확증편향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이용자는 싫어하는 뉴스를 거부할 수 있게 됐고, 결국 자신이 선호하는 언론사 기사만 볼 가능성이 커졌다. "네이버 알고리즘이 특정 언론사 기사만 추천하고 있다"는 비판에서 시작된 이번 개편이 도리어 더 큰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이다.

네이버가 알고리즘을 도입할 당시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것이 필터버블과 확증편향이다. 네이버는 중립적인 기사 배열을 위해 알고리즘을 도입했지만, 알고리즘이 맞춤형 뉴스를 제공하면 이용자의 확증편향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조치와 관련해 네이버 관계자는 통화에서 “알고리즘에 개인화된 서비스를 접목하는 것이 흐름”이라며 “구글 역시 뉴스 서비스에서 유사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개인화를 강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고리즘 개편과 별개로 네이버가 설명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도 있다. 알고리즘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 이용자·언론과 소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장은 통화에서 “포털이 알고리즘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원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실장은 통화에서 “정치권의 비판이 나왔다고 알고리즘을 수정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알고리즘을 수정하기보다 이용자에 대한 설명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가 알고리즘의 현황과 변화 사항을 쉽게 알 수 있는 투명성 보고서를 발간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포털이 알고리즘 정책 당사자인 언론과 함께 관련 회의체를 꾸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실장은 “정치권 반응이 나올 때마다 대책을 내지 말고 언론사와 정기적인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