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네이버·카카오의 뉴스 정책이 기사배열 알고리즘, 댓글, 지역 언론 입점 등에서 개선을 요구받고 있다.

한국의 뉴스 소비는 거대 포털 네이버·카카오를 통해 이뤄진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0 언론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접한 응답자는 75.8%에 달했다. 이 중 네이버 이용률은 90.7%, 카카오 이용률은 21.7%였다. 반면 언론사 홈페이지·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뉴스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각각 7.3%, 7.0%에 불과했다.

포털뉴스 소비가 압도적인 만큼 다양한 비판과 요구가 분출되고 있다. 알고리즘 편향성 논란이 대표적이다. MBC <스트레이트>는 3월 방송에서 네이버 모바일 뉴스 배열 알고리즘이 보수언론 편향적이라고 지적했다. <스트레이트> 조사에 따르면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기사 노출 비중은 48% 대 3.6%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 보도 이후 정치권에서 “네이버 알고리즘이 불공정하다”는 비판이 이어졌고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포털사업자가 뉴스·쇼핑 등 검색 알고리즘 정보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 의무적으로 하도록 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네이버는 학계와 정치권 추천 인사로 이뤄진 ‘알고리즘 검증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외부 위원회에 알고리즘 원칙을 공개해 편향성 논란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MBC <스트레이트> 제작진에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뉴스 댓글과 관련된 논란도 있다. 최근 가수 정준영 씨를 불법 촬영 혐의로 고소했던 피해자는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성범죄 기사에 대한 포털 댓글 비활성화를 요구했다. 포털뉴스 댓글로 인해 2차 가해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피해자는 “무수히 많은 악플에 시달리게 되었다”며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의 악플로 인해 머릿속에서 저를 욕하는 환청이 들려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했고 학업도 지속할 수 없었다”고 했다.

현재 언론사는 네이버에서 개별 기사 댓글창을 폐쇄할 권한이 없다. 지난 2018년 네이버는 언론사에 댓글 운영 권한을 넘겼다. 언론사는 정치·경제·사회 등 섹션 별 댓글 관리를 할 수 있게 됐지만 개별 기사 댓글창 폐지 권한은 가지고 있지 않다. 성폭력 관련 댓글창을 폐쇄하기 위해선 사회 섹션 기사 댓글창 전체를 닫아야 한다. 지적이 이어지자 네이버는 “개별 기사 댓글창 온오프 기능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권리침해가 우려되는 기사의 댓글창 운영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네이버·카카오는 인링크 제휴 언론사 기사만 메인화면에 배치하고 있는데, 네이버와 인링크 제휴를 맺은 지역 언론사는 부산일보·매일신문·강원일보뿐이다. 지역민은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거나 개별 언론사 홈페이지를 직접 접속해야지만 나머지 다른 지역 언론사 뉴스를 볼 수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을 비롯한 언론 시민사회단체는 “포털이 지역언론을 홀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고, 최근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지역 언론사 9곳에 인링크 제휴 지위를 부여하기로 했다. 전국을 9개 권역으로 나누고, 특별심사를 통해 권역별 1개 사와 추가 제휴를 맺을 계획이다.

이에 대해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지역 언론을 갈라치는 정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김동원 언론노조 정책협력실장은 미디어스와의 통화에서 “권역을 9개로 나눠 개별 심사하겠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권역별 언론사 점수가 다를 것인데, 그 차이는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이번 특별심사는 좋은 지역 언론을 선정하자는 게 아니고, 구색 갖추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2019년 국회 앞에서 열린 <국회는 네이버의 지역 언론 홀대 이대로 둘 것인가?> 기자회견 (사진=미디어스)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 뉴스서비스에 비판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송경재 상지대 교양학부 교수는 “포털이 뉴스 서비스에 저널리즘 가치를 더해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송 교수는 “뉴스 서비스 신뢰도는 포털이 어떤 지향점을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현재 포털은 제휴평가위에 언론사 입점·퇴출 결정 권한을 넘기고 문제가 되는 서비스를 폐지하고 있는데, 스스로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송 교수는 “포털이 저널리즘에 대한 의식을 가져야 한다”며 “저널리즘 관점에서 알고리즘, 댓글 정책 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포털뉴스 서비스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강화돼야 한다고 했다. 송 교수는 “포털이 저널리즘 가치를 가지고 뉴스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경우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며 “단순한 서비스 제공사업자 이상의 제재 조항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처장은 “포털이 온라인 뉴스 유통의 상당 부분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비판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며 “포털은 뉴스를 저널리즘이 아니라 상품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 처장은 “언론이 아니라 사업자인 포털에 ‘저널리즘 수준을 높여라’라고 요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국내 포털은 자율규제 노력을 하고 있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김 처장은 “뉴스 서비스의 다원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대형 언론사는 자체 플랫폼을 어떻게 살릴 건지 고민해야 한다. 계속해서 포털 의존적으로 살아갈 순 없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