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한겨레신문이 대표이사 직선제 개선작업에 들어간다. 3년마다 대표이사가 바뀌면서 정책 연속성이 떨어지고 사내 갈등이 불거져 조직력이 흐트러지는 일이 잦았다는 이유에서다. 한겨레 주식 82%를 보유한 소액주주들이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서 발언권을 얻지 못하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이봉현 한겨레 저널리즘책무실장은 7일 <한겨레 지배구조 개선> 칼럼에서 “올해 초 새로 구성된 사외 전문가들의 자문위원회에서는 따로 분과를 만들어 지배구조 개선을 논의할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한겨레 사옥 (사진=미디어스)

이 실장은 현재의 경영권 창출 방식에 대해 "정치·경제적 압력에서 독립된 언론을 담보하는 제도일 수 있다”면서 “2000년대 초 사원들의 퇴직금 출자전환으로 우리사주조합이 최대 주주가 되어 형식적 정당성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실장은 "사내외에서 현행 경영권 창출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는 계속됐다”며 "2~3년마다 대표이사가 바뀌면서 전임자의 업적과 정책이 계승되지 않고 단절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혁신같이 꾸준함과 돌파력이 필요한 언론 위기의 시대에는 약점일 수 있었다. 사내 갈등이 불거져 조직력이 흐트러지는 일도 생겼다”고 말했다.

직선제의 근거가 되는 우리사주조합 지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2011년 우리사주조합 지분율은 25.72%지만 현재 17.84%다. 이 실장은 “정년퇴직자의 주식 환매가 늘어나며 우리사주조합의 지분율이 계속 낮아졌다”며 “정관개정 등 주총 특별결의에 필요한 정족수 확보가 숙제로 등장했다. 이 모두 지배구조 개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최근 한겨레 창간 원로들은 한겨레에 지배구조 개선을 제안했다. 제안서에 서명한 이들은 변형윤·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김중배 전 한겨레 사장, 신인령 전 이화여대 총장, 장윤환 초대 한겨레 편집위원장 등 25명이다. 이들은 제안서에서 “한겨레가 창간 당시에 약속한 ‘참된 국민신문’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지 못했다는 게 냉정한 평가”라며 “질적 도약을 가로막은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가 지배구조의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원로들은 80%가 넘는 사외 주주가 최고 경영자 선정 과정에 ‘아무런 발언권을 못 가지다시피 되었다’며 ‘사내 주주뿐 아니라 외부 주주의 의견을 반영할 장치와 정기적 전망에 바탕을 둔 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담은 개선안 마련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이 실장은 “한겨레는 이 제안서를 사원들에 공유하고 ‘노동조합, 우리사주조합, 자문위원회와 머리를 맞대고 올해 말까지 개선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며 “김현대 대표도 진지하게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논의해 나갈 뜻을 주주들에게 알렸다”고 했다.

이 실장은 “시민사회 명망가가 주축이 된 초기의 창간위원회 추천제, 사내외가 함께한 경영진추천위원회 간선제도 흠결이 있었다”며 “직선제 역시 회사나 노조에서 몇 차례 개선 연구를 했지만 별다른 변화 없이 20여 년이 흘렀다. 이제 다시 지배구조 개선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검토할 시점이 됐다”고 강조했다.

한겨레의 대표이사 직선제는 1999년 시작됐다. 당시 한겨레 노사는 경영독주를 견제하고 사내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해 대표이사 직선제에 합의했다. 하지만 직선제로 인한 부작용이 이어졌고, 한겨레는 2007년 직선제 개선을 추진했다.

당시 한겨레는 외부 컨설팅 회사에 제도개선 관련 자문을 받았고 '직선제 대신 이사회나 대리기구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겨레는 대표이사 추진위원회를 통한 사장 선출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겸임조합(노동조합·사주조합)은 설문조사를 벌였고, 찬성 39%, 반대 40% 결과가 나와 직선제가 유지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