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트라우마'란 과도한 위험과 공포,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심각한 심리적 충격을 일컫는다. 타인이 죽음이나 상해의 위험에 놓이는 사건을 목격했을 때에도 사람들은 트라우마를 겪는다.

다큐멘터리 영화 <당신의 사월>은 주디스 허먼의 저서 『트라우마』의 한 문장으로 시작된다. 2014년 4월 16일,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 학생 325명 등 승객 총 476명을 태우고 인천항을 떠난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영화 <당신의 사월> 스틸 이미지

세월호 침몰 순간부터 벌어진 많은 일들은 유가족들만의 일이 아니었다. 한 배의 침몰을 통해 우리 사회의 시스템, 결국 국가의 침몰을 확인했고 결국 그 책임을 당시 대통령에게 물었다. 세월호의 침몰은 우리 사회 전체의 상흔으로 남았다.

그리고 7년, 우리는 그해 4월로부터 어디쯤 와있을까? 타인의 죽음이나 상해의 위험에 놓이는 사건을 목격했을 때도 겪는다는 그 트라우마로부터 우리는 치유되고 회복되었을까? <당신의 사월>은 유가족이 아닌, 그 시절을 견뎌내야 했던 평범한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우리 사회에 여전히 드리워진 세월호의 그림자를 들여다본다.

그해 4월, 다른 곳에서

영화 <당신의 사월> 스틸 이미지

서촌에서 10년째 커피공방을 운영하고 있는 박철우 씨는 지난 촛불 집회 때 세월호 유가족들을 도와 심야식당을 했었다. 거리로 나온 시민들께 밥 한끼 대접하고 싶다는 세월호 유가족의 말씀에 그럼 함께하자며 나섰던 것이다. 평범했던 커피 가게 사장님이던 그에게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한 통의 전화였다. 밤 11시가 넘은 시각, 동네 박 사장의 전화였다. 여의도에서 농성을 하던 유가족들이 밤을 걸어 청와대로 향하니 뜨거운 물이라도 준비해달라는 전화 한 통에 그는 유가족을 맞이했다.

뉴스로만 접하던 세월호, 그는 유가족을 볼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아직도 추운 봄날의 새벽, 담요를 둘러쓴 채 묵묵히 걸어오는 유가족들을 보며 그분들이 조금이라도 상처받아서는 안 되겠다는 심정이 앞섰다. 차마 따뜻한 물 한 잔 마시란 말조차 걸 수 없었다. 그렇게 박철우 씨의 4월은 첫걸음을 뗐다.

진도 어민 이옥영 씨는 소식을 듣고 배를 타고 좌초 현장으로 나갔다. 거의 5~10미터 근처까지 갔을 때 왔다갔다 하는 물체를 목격했다. 미역 양식줄에 꼬여 올라온 하얀 '무언가'를 확인하기도 했다. 진도 어민의 4월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영화 <당신의 사월> 스틸 이미지

중학교 교사 조수진 씨는 옆자리 선생님이 보여주는 컴퓨터 화면에서 세월호를 만났다. 얼마 전 아이들과 함께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다녀왔기에 남의 일 같지가 않았다. 그래도 구하겠지 했었다. 계속 속보가 이어지는 상황에 본의 아니게 B급 호러무비의 관람객이 된 듯한 무력감에 빠졌다. 교실에 들어가 아이들 눈빛을 마주하기가 힘들었다.

인천항이 가까운 학교에서는 뱃고동 소리가 들렸다. 그 뱃고동 소리에 자꾸만 세월호가 오버랩됐다. 교실이 마치 배 같았다. 아이들을 구하겠다고 돌아가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 선생님, 만약 내가 그런 상황이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란 생각에 사로잡혔다. 아이들을 구할 수 있었을까. 전수영, 유니나 선생님은 자신이 살아오지 못할 거라는 걸 예상했을 것이다. 그런 선택을 해야 하는 교사의 책임이 무겁게 다가왔다. 부모님 얼굴이 스쳐 지나갔을 텐데 그 마음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런 생각들이 지난 촛불집회에 전교조 대표로 조수진 선생님을 서게 만들었다. 5년이 지났음에도 집안 곳곳에 노란 리본을 비롯하여 세월호와 관련된 기억들을 붙여놓았다. '잊지않겠습니다'라는 취지로 아이들과 함께 추모 수업을 하고 모임을 가진다. 선생님에게 세월호는 현재형이다. 자발적으로 추모 모임을 이끌어가는 아이들을 보며 '희망의 씨앗'을 느꼈다. 버티니 희망이 보였다.

영화 <당신의 사월> 스틸 이미지

인권운동가이던 정주연 씨는 진도 앞바다로 달려갔었다. 유가족 옆에 앉아 있는 것으로 주연 씨의 4월은 시작되었다. 그저 곁에서 유가족들의 슬픔을 온전히 들어드리는 것이 전부였다. 곁에서 지켜본 유가족의 무게는 무거웠고 슬픔은 깊었다. 고개를 숙이고 사람들을 피했다. 핸드폰에 저장된 사진을 꺼내 보이며 아이들을 이야기할 때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 엄마들. 하지만 관광객이라도 오면 고개를 숙였다. 사회가 짊어지우는 피해자다움, 유가족다움이 가족들을 더욱 움츠러들게 했다.

유가족만이 아니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을 정도로 고통에 시달리는 잠수사들. 하지만 마치 Delete 버튼을 누르듯 그들을 지워버리는 듯한 사회와 국가. 아직도 진실은 규명되지 않았는데 '지겹다'고만 하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었다. 악몽을 꾸어가면서도 화가인 정주연 씨 남편은 잠수사들의 모습을 남기려고 애쓴다. 정주연 씨네 방식의 '잊지않겠습니다'이다.

우리는 충분히 기억하고 애도했을까?

영화 <당신의 사월> 스틸 이미지

참사 당시 고3 학생이었던 이유경 씨는 수능이라는 현실에 가급적 세월호와 관련된 뉴스를 접하지 않으려 했었다. 수능을 마치고 세월호 기억 교실 대신 만들어진 기억저장소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이유경 씨의 미래는 달라졌다. 시간과 함께 세상에서 유실되어가는 세월호의 흔적들을 보며 '기록관리학'이라는 전공을 선택하게 되었다.

진도 앞바다를 바라보던 돔마저 철거되었지만 이옥영 씨의 집안에는 여전히 돔이 한 채 남아있다. 아이들이 보고 싶어 진도 앞바다에 온 세월호 부모들을 이옥영 씨는 그곳에서 머무르게 한다. 영화 내내 카메라로 기록을 남기던 고(故) 문지성 학생의 아버지 문종택 씨는 딸이 있는 그 바다가 가장 편하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여전히 자신들을 기억하고자 하는 이옥영 씨와 모처럼 웃음을 나눈다.

영화 <당신의 사월> 스틸 이미지

영화는 세월호로 인해 삶이 변화된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그 평범한 사람들은 어쩌면 영화의 엔딩 크레딧 '도움을 주신 분들'의 마지막의 '그리고 당신'이라는 자막처럼, 또 다른 우리들일 수도 있다. 세월호가 좌초되고 '가만히 있으라'는 말을 들은 아이들이 더이상 세상으로 돌아오지 못했을 때 우리는 모두 <당신의 사월> 속 사람들과 다르지 않은 '트라우마'를 겪었다. 그리고 그 트라우마는 그 겨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을 들게 만들었다.

<당신의 사월> 속 사람들은 아직도 저마다의 사월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들에게 노란 리본은 현재형이다. 우리의 노란 리본은 어디쯤 있을까. 시간이 흘렀다. 『트라우마』의 주디스 허먼은 '회복에는 기억과 애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우리는 충분히 기억하고 애도했을까?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