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방송 뉴스는 신문 기사보다 깊이가 얕은가”, “모든 언론사가 [단독] 표기를 없앤다고 가짜 단독 폐해가 없어질까”, “기자와 언론사가 갖춰야 할 자질과 원칙은 무엇인가”

언론과 기자들에게 숙제 같은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책이 지난달 25일 발간됐다. SBS 보도본부장을 역임하고 학계로 간 심석태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와 김민표 SBS 기자가 공동저술한 <새로 쓴 방송 저널리즘>(컬쳐룩)이다.

새로 쓴 방송 저널리즘 (사진=컬쳐룩)

<새로 쓴 방송 저널리즘>은 방송 저널리즘 원칙과 취재의 기초, 그리고 취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사례와 함께 풀어냈다. 또한 방송 뉴스를 제작하는 방법과 기술, 디지털 시대에 언론이 생존하는 방법 등 현직 언론인과 언론인 지망생들이 궁금해할 수 있는 이슈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저자들은 한국 언론의 저널리즘 윤리 의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저자들은 사실 검증, 추측 금지, 진실성, 신속한 정정, 독립적인 판단, 취재원과의 거리 유지, 공익 추구 등을 지켜야 할 언론 윤리로 꼽았다.

저자들은 “언론사 스스로 언론 윤리 위반을 시인하고 사과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어떠한 기준을 어떻게 위반했는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뭉뚱그려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언론인 사회에서 언론 윤리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공유가 부족하고, 개별 언론인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언론 윤리적 판단을 하는 훈련이 충분히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저자들은 “취재 과정이 법적으로도 문제가 되어서 처벌을 받아도 언론인 단체 등에서 명확하게 원칙에 따라 대응하기보다는 관행 등을 들어 엄호에 나서기도 한다”며 “우리 언론계가 아직도 언론 윤리를 막연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어떤 행위는 되고 어떤 행위는 안 되는지 등 확실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자들은 언론계의 [단독] 남발 관행과 관련해 “언론 위기 중심에는 신뢰의 위기가 있고, 신뢰의 위기는 무리한 단독 보도 경쟁이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저자들은 “현장 기자 스스로 과열 경쟁을 끊는 게 쉽지는 않다”며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언론사 차원의 결단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언론사가 [단독] 표기를 없앤다고 문제가 해결될까. 저자들은 단순히 [단독] 표기를 없애는 것은 궁극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단독 보도에만 [단독] 표기를 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단독 보도는 언론사의 중요한 경쟁력”이라며 “단독이 이름에 걸맞게 무게감과 정확성으로 단단히 무장해야 저널리즘도 견고해진다. 정확성이 떨어지는 보도나 오보가 ‘단독’이라는 모자를 쓰고 보도되면 언론에 대한 불신과 회의가 팽배하게 되고 저널리즘이 설 자리도 사라진다”고 경고했다.

저자들은 언론이 취재원을 맹신해선 안 된다고 했다. 저자들은 “취재원이 이해관계에 따라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기자에게 접근하거나 정보를 흘리는 동기가 순수하지 않을 수 있다. 취재원의 정보는 취재의 단서일 뿐”이라고 했다.

실제 KBS는 취재원이 제공한 정보를 근거로 기사를 작성했다가 정정보도를 내기도 했다. KBS는 지난해 7월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와 한동훈 검사의 대화 내용을 확보했다면서 이를 보도했다. 하지만 이 전 기자가 공개한 녹취록에는 KBS가 보도한 내용이 없었다. KBS가 녹취록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계자들의 전언을 토대로 단정적으로 보도한 것이다. KBS는 “뉴스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데 대한 비판을 뼈아프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근거 자료 없이 기자가 말로만 확보한 전언은 함부로 보도해서는 안 되고, 불가피한 이유로 보도를 할 경우에도 단정적인 표현을 피하고 최대한 복수의 취재원을 교차 검증해야 한다는 교훈을 재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자들은 기자에게 필요한 자질로 ▲세상사에 대한 관심 ▲눈치 보지 않고 진실을 가려내는 용기 등을 꼽았다. 저자들은 “기자 중에는 의사, 수의사, 변호사 같은 전문직 출신들이 있다”며 “이들이 기자를 지망한 건 월급을 더 받아서도 아니고, 더 편해서도 아니다. 병원이나 연구소, 법원에서는 할 수 없는 일을 언론에서 할 수 있다고 믿고 새로운 영역에 도전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자들은 “기자 DNA가 있다는 건 세상 돌아가는 데 관심이 많다는 의미”라며 “사회 돌아가는 데 무관심한 기자란 있을 수 없다. 분노와 연민을 유발하는 사회 이슈가 있으면 그 분노와 연민에 공감하는 감성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과거 기자들이 정치·경제 권력에 맞서야 했다면 현재 기자들은 불편한 진실과 싸워야 한다. 저자들은 “기자라면 소비자가 원하는 뉴스는 물론 불편해하는 뉴스도 보도할 용기가 있어야 한다”면서 “충성스러운 소비자가 불편해하는 뉴스를 보도하기로 결정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진실과 허위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눈치 보지 않고 진실을 가려내는 취재와 보도에도 용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자들은 방송 뉴스를 둘러싼 여러 오해를 정정했다. 저자들은 '방송 뉴스는 깊이가 얕다'는 의견에 대해 “역사가 더 오래된 신문 중심의 사고가 깊이 박혀 있으므로 나오는 주장”이라고 했다. 저자들은 “방송 뉴스는 개별 리포트로 볼 것이 아니라 전체 프로그램으로 봐야 한다”며 “개별 리포트는 얕은 깊이로 이해하기 쉽게 제작되지만, 전체 보도는 얼마든지 해당 사안을 깊이 있게 파헤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자들은 “최근 방송 뉴스는 갈수록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주요 이슈나 힘 있는 발굴 이슈는 긴 호흡으로 심층 보도하고, 대신에 단순 발생 기사는 얕게 다루거나 아예 다루지 않는 식이다. 백화점식 나열 보도에 대한 반성의 결과”라고 썼다. 저자들은 “아직도 방송 뉴스가 1분 30초 안팎의 짧은 뉴스로만 이뤄져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며 “하지만 방송사에 따라 뉴스에서 깊이를 추구하는 정도는 다를 수 있다”고 밝혔다.

'방송 뉴스는 메시지가 단순하다'는 주장에 저자들은 “오해가 아니라 맞는 말이지만 방송 뉴스의 본질적 속성에서 오는 특징”이라고 했다. 방송 뉴스는 시청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방송 뉴스를 몰입해서 시청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볼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며 “메시지가 복합적이라면 집중해서 시청하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잘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