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혜인 기자] 한겨레가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첫 검사장급 인사를 다룬 8일 자 보도로 독자들의 항의를 받았다. 한겨레는 당시 1면 <이성윤 또 유임…‘윤석열 패싱’ 검찰 인사>, 3면 <‘친정권 검사’ 돌려막기…인사권 쥐고 검찰 통제 강한 의지>, <“이성윤 리더십 잃었는데 무리한 인사”> 제목의 기사를 냈다.

한겨레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유임을 중심 주제로 잡았다. “법무부의 이번 검찰 고위간부 인사에서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과 이종근 대검찰청 형사부장 등 이른바 ‘추미애 라인’으로 분류되던 검사들이 자리를 지켰다”고 분석했고 “박 장관이 첫 검찰 인사로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을 유임하자 검찰 내부에서는 볼멘소리가 나왔다”는 반응을 담았다.

한겨레 8일자 1, 3면 보도 (사진=한겨레)

이는 같은 날 타 매체 보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당시 1면 기사 제목으로 조선일보는 <‘정권 방패’ 이성윤 결국 유임>, 중앙일보는 <박범계 휴일 기습 인사, 윤석열 패싱>, 동아일보는 <박범계, 이성윤 유임 秋라인 그대로 남겼다>로 꼽았다. 경향신문은 8면에 <이성윤 유임…‘윤석열 고립’ 기조 그대로>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이봉현 한겨레 저널리즘책무실장은 24일 <[말 거는 한겨레] 길냥이와 도둑고양이>에서 해당 기사 제목에 놀란 독자들의 항의를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한겨레 저널리즘책무위원회의 기사 검토 과정에서 외부 위원들이 “그동안 법조기사의 기조에서 볼 때 완전히 다른 기조로 읽혔다”거나 “독자들이 느꼈을 당혹감을 충분히 이해할 것 같다”는 의견을 내놨다고 했다.

이 실장은 “평소 한겨레 논조와 다른 느낌을 주는 말들이 제목으로 강조됐기 때문”이라며 “‘패싱’, ‘또 유임’, ‘친정권’ 같은 단어는 ‘조국 사태’ 이후 윤석열 검찰과 정권의 갈등을 바라보는 특정한 관점을 불러일으킨다”고 했다.

이 실장은 ‘또 유임’의 경우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을 진작 교체했어야 한다는 말로 들린다”고 했다. 이 실장은 "그간 한겨레가 이 지검장의 과오를 지적하며 교체를 주장했다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았기에 갑작스러웠다"고 했다.

이 실장은 ‘패싱’에 대해 “윤 총장과 법무부 사이에 협의가 안 된 게 법무부만의 책임인 듯한 인상을 준다”고 했다. ‘친정권’ 표현에 대해서는 “현재 검찰 내부를 ‘살아있는 권력도 수사하는 윤석열’ 대 ‘정권에 줄서는 검사’의 대립 구도로 보는 것”이라며 “하지만 윤 총장의 행보가 검찰권력 수호를 위한 ‘정치행위’란 시각도 엄연하다”고 했다.

이 실장은 “이런 취지의 말들을 한겨레 기조에 맞게 다른 표현으로 바꿔 썼다면 느닷없다고 느끼는 독자는 줄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박 장관 인사가 ‘추-윤 갈등’의 연장선과 같아 비판 받아야 했다면서도 비판의 논거를 갈등의 다른 당사자에게서 가져온 것은 적절치 않았다고 했다.

또한 이 실장은 <친정권 검사 돌려막기>라는 기사의 제목이 취재보도 원칙에서 벗어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당 제목이 기사의 내용 중 부차적인 문구를 주제목으로 뽑은 것이고, 기사에 인용된 취재원들은 대부분 익명의 검찰 구성원 또는 검찰 출신 인사였다고 비판했다. 이 실장은 “검찰 안팎”, “일부”, “알려졌다”, “씁쓸한 뒷맛” 같은 모호한 표현도 함께 지적했다.

김영욱 책무위원은 이에 대해 “검찰 출신이 아닌 법조인이나 전문가를 취재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비판적인 내용의 발언은 최대한 실명 취재원을 인용한다’는 취재 보도준칙을 들어 “취재 보도의 원칙에서 벗어난 내용은 기사의 객관성, 공정성을 훼손했다”며 “원칙에 다가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