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사 국가고시를 거부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의대생 설득의 책임은 의사협회나 전공의협의회에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윤 서울대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의사협회·전공의협의회가 싸움의 주체이기 때문에 그들이 국가고시 시험 거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대 정원 확대·공공의대 설립에 반발하며 집단휴진을 주도했던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 위원회가 업무 복귀를 결정했다. 지난달 21일 집단휴진에 나선 후 18일 만이다. 하지만 ‘의대생 의사 국가고시 거부’가 불씨로 남아있다. 전공의협의회는 “국가시험을 거부한 의대생들이 피해를 입으면 다시 파업에 나설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응시대상 중 14%만이 응시 예정이며, 추가 접수는 불가능하다.

의사 국가고시 접수현장 (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김윤 교수는 8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먼저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시험을 거부한 학생들이 시험을 보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에 관한 설득의 책임은 의대 학생들과 같이 싸움한 의사협회나 전공의협의회에 일차적으로 있다”면서 “의사 국가고시의 경우 의대생 14%가 시험을 보겠다고 했기 때문에 예정대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의사 국가고시 응시자 수가 줄어들 시 공중보건의·군의관이 부족해져 의료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윤 교수는 “공중보건의는 오래전 시골에 의사가 정말 없을 때 만들어진 제도”라면서 “이번 기회에 제도를 본격적으로 개편해야 한다.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윤 교수는 “의사 국가고시 응시생 수가 줄어든다고 해서 병원에서의 업무 공백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인턴 의사들이 하는 업무는 대부분 간호사에게 위임될 수 있다. 현재 한국처럼 인턴제도를 운용하는 선진국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의과대학협의회나 의학회를 중심으로 10년 전부터 해서 인턴제를 폐지하고 1차 의료에 대한 수련 기간을 늘려야 한다는 시도들이 있었다”면서 “이번 기회에 인턴제도를 폐지하고 수련제도를 개편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