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으려 해도 빼앗을 수 없는 한 가지, 즉 인간의 마지막 자유는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 자신만의 길을 택할 수 있는 자유이다'

이는 2차 세계대전 나치 수용소에서 살아남아 <죽음의 수용소>를 쓴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의 정의이다. 삶과 죽음이 수시로 오가는 수용소. 그 극한의 상황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포기하지 않을 이유에 대해, 더 나아가 인간의 존엄에 대해 빅터 프랭클은 위와 같이 말한다.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여전히 야구를 놓을 수 없지만, 야구를 할 길이 보이지 않는 '여자 야구선수'에게도 동일한 명제가 해당 될까?

프랭클은 말한다. 운명처럼, 죽음처럼, 시련은 우리 삶의 불가결한 부분이라고. 문제는 그 시련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라고. 프랭클이 경험했던 아우슈비츠나, 야구를 하고 싶지만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야구소녀 주수인이나, 어쩌면 인간 모두가 처하게 되는 '고해와 같은 인생'의 보편성이다. 그 보편의 시련 속에서의 선택, 그 선택의 방식과 기준 그리고 태도에 대해 <야구소녀>는 말하고 있다.

정답은 없다

영화 <야구소녀> 스틸 이미지

주수인(이주영 분)은 고교 야구팀의 유일한 여자 선수이다. 최고 구속 134km, '천재 야구소녀'라는 화제성에 힘입어 고등학교까지 진학하여 활동했다. 하지만 이제 고3 학생들의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가 진행되는 시절에 주수인을 위한 기회는 없다. 공장 식당에서 일하는 엄마는 이제 그만 야구를 포기하고 엄마가 부탁해서 기회를 얻은 공장에 와서 성실하게 일하라고 말한다. 학교에서는 지금까지 야구를 해온 수인에게 여자 핸드볼 팀으로 가보면 어떻겠냐고 권한다. 그러나 리틀야구시절 이래 야구만 하며 살아온 수인이는 그럼에도 야구를 놓을 수 없다. 그녀가 하고 싶은 건 '프로야구', 자신이 하고 싶고 잘할지도 모르는 야구를 이제 와 놓을 수 없는 것이다.

영화에는 수인의 미래에 대한 여러 가지 입장이 나온다. 수인과 가장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는 이는 엄마. 할 수 없을 때는 포기하는 것도 괜찮다고 수인을 설득한다. 그리고 그 말처럼 엄마는 한 가정을 이끄는 가장으로 오늘도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엄마의 말이 틀린 것일까? 최근 각종 강연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김창옥 씨의 경우 군 제대 후 경희대 성악과에 입학하였지만 자신이 성악가로서 재능이 없음을 깨닫고 깨끗하게 그 길을 포기했다고 말한다. 때로는 김창옥 씨처럼 그 길이 자신의 길이 아니라면 포기하는 것도 삶의 방식이다. 졸업을 앞두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수인이를 보며 엄마는 부모로서 어쩌면 최선의 충고를 해주고 있는 것일 게다.

영화 <야구소녀> 스틸 이미지

또 다른 포기의 권유도 있다. 야구부에 새로 부임해온 진태(이준혁 분)는 냉정한 잣대를 들이민다. 최고 구속 134km, 여자로서는 놀라운 구속이다. 하지만 진태는 말한다. 134km 가지고는 그 어떤 프로야구 구단에 명함도 못 내밀 구속이라고. 여자라서가 아니라, 실력이 안 돼서 안 되는 거라고. 고등학생이 되자 자신보다 한참 웃자라 프로야구 구단에 스카웃 된 친구. 그 친구 어깨도 못 미치는 키에, 아무리 노력해도 신체적 부족함을 버텨낼 수 없는 주수인은 그 기준에 따르면 포기하는 게 맞는 것일 수 있다.

그런데 수인은 포기할 수 없다. 힘이 없다고 하자 힘을 기르기 위해 모래주머니를 찬다. 구속이 딸린다고 하자, 피가 안 묻은 연습공이 없을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한다. 여전히 꿈은 '프로야구 선수', 아직 자신이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해 지레 주저앉고 싶지 않다. 여기서 멈출 수가 없다.

꿈은 포기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영화는 이런 막연한 꿈을 향한 배팅에 한 발을 건다. 오래도록 공인중개사 시험을 준비해온 아버지. 가장의 무게를 아내에게 짊어지운 채 실패를 거듭하던 아버지는 결국 꿈을 실행하기 위해 무리수를 두고 만다. 꿈이 꼭 '날개를 달고 날아 오르는' 결과를 주는 것만은 아니라고 영화는 다짐을 받는다.

포기할 수 없다면

영화 <야구소녀> 스틸 이미지

그럼에도 수인이는 야구 선수가 되고 싶다. 그리고 집요하게 노력한다. 그런데 그 무모한 노력이 주변 사람들을 돌아서게 만든다. ‘여자라서가 아니라, 실력이 안 돼서’라고 단호하게 못을 박았던 코치 진태가 수인의 '명함'과도 같았던 구속 134km를 포기하도록 만든다. 야구 선수가 되고 싶다면, 그녀가 고집했던 방식이 아닌 '돌아가는 길'에 대한 여지를 열어준 것이다. 그녀의 경기를 보러 온 엄마도 돌아섰다. 그리고 결국 그녀의 진심에 꿈이던 프로야구 구단이 답을 한다.

수인은 포기할 수 없어, 자신의 꿈을 향해 내달렸다. 그리고 그 꿈을 위해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에서 한 발 비껴 섰다. 그리고 그 꿈을 이뤘지만, 구단 대표의 말처럼 앞으로가 더 힘들어질 그런 꿈의 성취다.

주수인의 행보를 통해 <야구소녀>가 말하고자 하는 건, 우리가 오랫동안 명언으로 섬겼던 'Boys, be ambitious’의 명쾌한 논리보다는 복잡한 속내를 지닌다.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장기불황이 예견되는 사회에서 젊은이들에게 어느덧 꿈은 사치스럽고 거추장스러운 장식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야구소녀>가 말하는 건 빅터 프랭클의 그 ‘삶의 태도’에 대한 질문이다. 그럼에도 포기할 수 없는 것이 있다면 멈추지 말고 가보는 것도 괜찮지 않겠냐는 권유이다. 그건 그 일에 대한 성패와 어쩌면 무관할지도 모른다.

영화 <야구소녀> 스틸 이미지

과연 2군에 스카웃된 주수인이 얼마나 잘나갈까? 그건 여자 주수인이 아니라, 무수한 2군에서 활약하고 있는 선수들의 미래에 대한 그다지 밝지 않은 전망과도 이어진다. 영화 <보이콰이어>에서 보이소프라노로 헨델의 메시아를 성공시킨 주인공에게 변성기가 온다.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소년은 합창단에 남아 엘토 파트를 맡는 대신 새로운 기회를 찾아 떠난다. 자신이 원하던 일에 최선을 다해본 사람만이 다음 도전을 향해 자신 있게 떠날 수 있는 게 아닐까. 주수인이 하고 싶었던 것도 바로 그것이리라. 아직 스스로 도달하지 않은 꿈의 결과, 스스로 납득할 수 있는 그 순간까지 가보고자 하는 것.

우리 사회는 조급하다. 꿈을 떠올리면 꿈의 성취와 영광을 동일시한다. 하지만 때론 가보는 것만으로도 충족될 수 있는 시간이 있다. 조급하게 삶의 주판알을 튕기지 말자는 것이다. <야구소녀>가 말하고자 하는 건 바로 그 지점이다. 아직은 포기할 수 없는 꿈을 향해 달려가고자 하는 삶의 태도. 그것이야말로 빅터 프랭클이 말한 삶에 대한 자유의지이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렇게 무모해 보이는 꿈을 향해 자신의 태도를 정한 젊은이에 대한 '어른'의 태도다. 제아무리 주수인이 꿈을 포기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코치 진태가, 그에게 넌지시 볼 컨트롤이 좋다며 귀띔을 해주는 감독님이, 기꺼이 주수인의 외골수적 꿈에 기회를 준 구단이, 그리고 결국 지원군이 된 엄마가 없었다면 불가능하거나 더 고달팠을 행보이다. 때론 무모해 보일지라도 자신이 가보고자 하는 꿈을 향해 달려가고자 하는 젊은이를 위해 길 위의 돌이라도 하나 치워줄 품을 가진 '어른'의 자세 역시 <야구소녀>가 이 시대에 건네는 권고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